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編諸宗敎藏總錄』 所收 現存本의 調査現況과 DB 活用方案 = A Study for Examine Present Condition and Application Plan Research of Database on the Annotation Books Version of Shinpyon-jejong-kyojang-chongn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의 집성 천년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구축된 DB의 가치와 조사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결과물이 활발하게 쓰이며 후속 작업에 힘을 보탤 수 있도록 활용 ...

      이 논문에서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의 집성 천년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구축된 DB의 가치와 조사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결과물이 활발하게 쓰이며 후속 작업에 힘을 보탤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현존 『신편제종교장총록』 유통본 조사 현황을 보면 초기 조사 보다는 수치적으로 증가했지만 아직도 찾지 못한 장소가 많다. 『신편제종교장총록』 DB는 실전(失傳)자료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고려 종파 불교 및 불교체계 연구의 메타데이터로 한국불교학의 응용과 불교문화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콘텐츠가 될 것이다.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각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의 실증적 조사가 지속되어야하며 수집된 간본을 통해 동아시아 나라별 간행본 대조 연구, 불교사상과 판본유통, 시기별 간행본의 불교서지학 연구의 확장도 가능해질 것이다.
      조사를 통해 구축된 『신편제종교장총록』 DB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 여러 종파[諸宗]의 불교체계 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침서로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불교기록유산의 보존, 문화 공공재로써 문화생산을 위한 집단 지식의 전수와 공유, 불교문화유산의 보존, 유관 연구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불교학의 새로운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수집된 유통본과 학술연구는 오픈아카이브Open Archives와 오픈액세스 Open Access를 통해 공공재로 다각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이후 정본화, 원문입력, 해제, 한글화 작업 등 후속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아시아 불교체계 연구를 비롯하여 불교 주석서의 한글화, 대중화 등 다양한 불교플 형성의 새로운 기반이 되는 콘텐츠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value and research status of the DB that was built at the time of the millennium of the “Shinpyon-jejong-kyojang-chongnok” was reviewed and the utilization methods were explored to ensure that the results could be used vigorou...

      In this article, the value and research status of the DB that was built at the time of the millennium of the “Shinpyon-jejong-kyojang-chongnok” was reviewed and the utilization methods were explored to ensure that the results could be used vigorously and it could become the base of follow-up works.
      First,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distribution of the “Shinpyon-jejong -kyojang-chongnok” shows that the number of copies discovered has increased comparing to the initial survey, but there are still many places where the copies have not been found. The “Shinpyon-jejong-kyojang-chongnok” DB can be the contents that can influence the application of Korean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as meta data of denominations of Buddhism in Goryeo Dynasty and the Buddhist system in Korea through the continuing excavation of the actual data.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aterials stored in the institu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collected texts, and to expand the study of Buddhist biblical studies of Buddhist thought, editions, and periodicals according to the times.
      The applications of the “Shinpyon-jejong-kyojang-chongnok” DB can are the like the followings.
      First, it can be an alternative as a new guideline for studying the various Buddhist denominations in East Asia.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new contents in Buddhism in Korea that can provide useful materials to those who transfer and share collective knowledge for culture production, preserve and research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create contents as public assets for the preservation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Third, the collected editions and the academic studies can be utilized diversely through Open Archives and Open Access as public assets.
      With following works such as computerization, text input, interpretation and annotation, and translation into Korean, it will become a new basis to form a Buddhist platform for the study of Buddhism in East Asia and translation of Buddhist commentaries into Korean for the popularization of those commenta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교장총록의 가치(價値)
      • Ⅲ. 현존 교장총록 유통본 조사 현황
      • Ⅳ. 구축 DB 활용방안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교장총록의 가치(價値)
      • Ⅲ. 현존 교장총록 유통본 조사 현황
      • Ⅳ. 구축 DB 활용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진, "훈민정음의길 : 혜각존자신미평전" 나녹 2015

      2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7

      3 서혜란, "학술정보 공유 플랫폼 필요하다" 디지털타임즈

      4 조은수, "철학 고전 주해 방법론 연구;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6 :

      5 오윤희, "일꾼 의천" 불광출판사 2012

      6 임혜경, "의천의 ≪新編諸宗敎藏總錄≫ 편찬과 그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성수, "신편제종교장총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8 이재수,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의 방향" 대각사상연구원 (18) : 461-493, 2012

      9 김현,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사례"

      10 박순철, "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의 구축과 활동 -20세기민중생활사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4) : 35-62, 2008

      1 박해진, "훈민정음의길 : 혜각존자신미평전" 나녹 2015

      2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7

      3 서혜란, "학술정보 공유 플랫폼 필요하다" 디지털타임즈

      4 조은수, "철학 고전 주해 방법론 연구;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6 :

      5 오윤희, "일꾼 의천" 불광출판사 2012

      6 임혜경, "의천의 ≪新編諸宗敎藏總錄≫ 편찬과 그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성수, "신편제종교장총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3

      8 이재수,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의 방향" 대각사상연구원 (18) : 461-493, 2012

      9 김현,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사례"

      10 박순철, "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의 구축과 활동 -20세기민중생활사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4) : 35-62, 2008

      11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 인문콘텐츠학회 (29) : 9-26, 2013

      12 서은경,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구적 보존을 위한 개념적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8 (38): 13-34, 2004

      13 의천, "대각국사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14 김현, "뉴 미디어와 인문 지식" (여름) : 2004

      15 김규환,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수용과 추진방식에 대한 제안"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111-131, 2014

      16 고려대장경연구소, "교장총록 결집 및 DB구축사업" 고려대장경연구소 2011

      17 오용섭, "교장의 간행방식과 망실" 한국서지학회 (54) : 137-165, 2013

      18 강구열, "고문서, 한류 지속발전의 소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6

      19 박용진,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과 법화․천태장소"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5

      20 박용진, "高麗 諸宗敎藏과 華嚴經章疏"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4

      21 김성수, "高麗 諸宗敎藏과 華嚴經 章疏"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4

      22 박용진, "韓國學中央硏究院資料集" 2012

      23 名古屋 鳳左文庫, "豊かなる朝鮮王朝の文化" 圖錄 2015

      24 서수정, "義天「新編諸宗敎藏總錄」의 佛敎書誌學的 硏究" 동국대 2003

      25 최애리, "新編諸宗敎藏總錄의 편성체계 고찰" 서지학회 (31) : 2007

      26 落合俊典, "徳川美術館蔵『神通論』の解読ー著者同定への階梯ー" 東アジア仏教写本研究 2014

      27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大覺國師文集 권 15" 東國大學校出版部 1979

      28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大覺國師文集 권 14" 東國大學校出版部 1979

      29 이기운,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63 :

      30 장동익, "佛典의 流通을 통해 본 高麗時代의 韓·日關係" 석당학술원 (58) : 123-194, 2014

      31 최애리,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2 서대원, "『신편제종교장총록』 총람의 기초" 고려 제종교장 학술조사 4차 보고회 2016

      33 최은영, "『新編諸宗敎藏總錄』에 대한 재고찰 -일본 章疏目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57) : 89-116, 2011

      34 김현,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보급판)》간행 과정"

      35 Lines M E, "On the Shoulders of Giants" CRC Press 1994

      36 박보람, "21세기 과학과 불교"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ㆍ인문한국(HK)연구단 2016

      37 고려대장경연구소, "(21세기 디지털 대장경)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