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부모의 자녀관과 부부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Family Planning Decisions of Mothers who have 2 year old Children: Focusing on Parents' Values on Children and Characteristics of Cou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1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모의 자녀관과 부부특성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연구 2010...

      본 연구는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모의 자녀관과 부부특성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연구 2010년(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1,366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패널 아동의 출생순위가 셋째 이상보다 첫째와 둘째일 경우, 아동 성별이 남아보다 여아일 경우, 그리고 부모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수가 많을수록, 부의 정서적인 자녀가치 수준이 높을수록, 모의 결혼만족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추가 출산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가 출산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가치관과 부부특성 등 개인․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실증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민,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0) : 1-31, 2012

      2 최은영, "후속출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판별분석" 2011

      3 장경섭,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4 김은설, "한국아동패널 2012" 육아정책연구소 2012

      5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1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6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기초분석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7 김은정,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자녀가치와 출산율 관계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8 민현주, "출산순위별 출산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198-222, 2011

      9 이주리, "출산 의도 및 부․모 양육참여와 영아 발달 간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43-57, 2011

      10 은기수, "첫 출산부터 마지막 출산까지 출산기간의 차별성" 26 (26): 14-26, 2001

      1 이형민,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0) : 1-31, 2012

      2 최은영, "후속출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판별분석" 2011

      3 장경섭,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4 김은설, "한국아동패널 2012" 육아정책연구소 2012

      5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1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6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기초분석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7 김은정,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자녀가치와 출산율 관계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8 민현주, "출산순위별 출산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198-222, 2011

      9 이주리, "출산 의도 및 부․모 양육참여와 영아 발달 간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43-57, 2011

      10 은기수, "첫 출산부터 마지막 출산까지 출산기간의 차별성" 26 (26): 14-26, 2001

      11 보건복지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 보건복지부 2012

      12 하준경, "저출산의 경제적 요인 분석: 소득불평등 및 교육비 부담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경제학회 (39) : 137-174, 2012

      13 손승영,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가족관계의 변화" 10 : 5-25, 2005

      14 동아일보, "저출산-고령화의 늪… 2040년 2명이 일해 노인 1명 부양해야"

      15 도미향, "저출산 시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11 (11): 93-112, 2006

      16 김승권,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정부 추진체계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17 민희철, "임금 및 소득이 출산 간격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한국재정학회 1 (1): 41-61, 2008

      18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19 이정원,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 분석 - 가치관적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23-351, 2009

      20 서문희, "영유아 양육비용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0

      21 송영주,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85-206, 2011

      22 임현주, "부부특성, 출산관련 정서, 어머니의 정서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탐색 -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83-202, 2011

      23 차승은,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111-134, 2008

      24 Bigner, J. J., "부모-자녀관계-부모교육의 이해" (주)교문사 2007

      25 김나영,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이화사회과학원 26 : 5-23, 2011

      26 공미혜, "무자녀 기혼여성의 무자녀 결정경험" 한국가족학회 24 (24): 39-63, 2012

      27 마미정,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8 도남희, "만 1세 영아가구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아동패널 2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2011

      29 정은희, "둘째자녀 출산제약 요인분석과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0 강유진,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 (18): 639-653, 2007

      31 박수미,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회 31 (31): 55-73, 2008

      32 천혜정,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25-33, 2005

      33 도미향,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63-178, 2011

      34 이성용, "남아선호와 출산력간의 관계" 한국인구학회 26 (26): 31-57, 2003

      35 헤럴드경제, "남아선호 옛말, 요즘 아빠는 딸바보"

      36 김정석,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30 (30): 97-116, 2007

      37 전나리,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25-143, 2012

      38 양명희, "기초학력 도달 여부 분석을 위한 로지스틱 모형 적용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99-118, 2005

      39 법제처, "근로기준법 2012년 8월 2일 시행"

      40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가족정책팀 2005

      41 Hoffman, L. W., "The value of children to parents, In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pulation" Basic Books 19-76, 1973

      42 OECD, "Society at a glance 2011: OECD social indicators"

      43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2013

      44 Kohler, H. P., "Parity progression ratios with continued fertility postponement: Assessing the implications of delayed childbearing for fertility in Sweden, the Netherlands and Spa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ow fertility: Trends" Mauldin 2001

      45 김두섭,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30 (30): 67-95, 2007

      46 Markman, H.,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 revised" Jossey-Bass Publishers 2001

      47 Mitchell, D., "Declining fertility: Intention, attitudes and aspiration" 43 (43): 23-44, 2007

      48 Chung, H.,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95 : 1015-1022, 2004

      49 Peng, C., "An introduction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porting" 96 (96): 3-14, 2002

      50 이삼식,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보건복지가족부, 보건사회연구원 2009

      51 이삼식,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2 김미정, "20-30대 유자녀 모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18, 2011

      53 박찬화,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1 (21): 95-11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