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중세 賣茶圖의 찻집문화 고찰 = A study of Tea Houses on the Medieval Pictures of Tea Vendors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0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중세 서민의 차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賣茶圖에 나타난 찻집문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당시의 賣茶문화를 空間, 商人, 道具로 나누어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중세찻집에서의 ...

      본고에서는 일본중세 서민의 차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賣茶圖에 나타난 찻집문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당시의 賣茶문화를 空間, 商人, 道具로 나누어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중세찻집에서의 飮茶法을 조명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다 공간으로서 찻집의 형태는 이동식 찻집과 가옥형 찻집으로 나타났는데, 전자는 흔히 '一服一錢'으로도 불리며 立차賣와 座賣로 세분화되고, 후자는 '見世賣'로 불리며 간이찻집(掛茶屋)과 家屋형 찻집으로 구분되었다. 찻위치는 社寺門前이 가장 많았다.
      둘째, 매다 상인은 승복풍의 모습을 한 사람이 많았는데, 대부분 승려가 아니고, 신분 또한 河原者와 같이 천대받는 하층민에 가까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地藏菩薩霊験記繪>의 매다인이 승려일 가능성으로 茶磨의 존재에 주목하였다.
      셋째, 매다 도구는 정교하고 값비싼 차도구는 아니지만, 점다법에 필요한 도구인 물통, 탕관, 풍로, 다완, 칠다탁, 차선 등을 갖추고 시행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 세 가지의 연구주제 결과를 종합하여 <일본중세 찻집의 음다법 순행도>로 정리함으로써, 중세찻집에서 매다인은 어떤 방법으로 차를 점다하였고, 손님은 어떤 방식으로 마셨는지 조명하였다.
      일본중세의 잣집을 고찰한 결과, 거친 실외환경에 '한사발에 한냥'하는 질 좋은 차를 마신 것은 아니지만, 사원참배나 사계 명소에 보이는 찻집의 풍경은 功德과 즐거움이 살아있는 건강한 모습으로 투영되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e of tea houses on the medieval pictures of tea vendors in Kamakura and Muromachi period. This article employs two methods to inquire the medieval literatures and pictures of tea houses. For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e of tea houses on the medieval pictures of tea vendors in Kamakura and Muromachi period. This article employs two methods to inquire the medieval literatures and pictures of tea houses.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four subjects are conducted tea houses, tea vendors, tea utensils, and How to drink and make whisked t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tea houses divided into mobile tea houses and fixed ones and are mostly located the entrance of temple or shrine. Second, the class of tea vendors was known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by researching the literatures of occupation as handicraftsmen. Third, tea utensils consisted tea kettles, braziers, tea bowls, lacquer tea bowl stand, containers for powdered tea, tea whisks, fresh-water containers, ladles etc. A hand millstone for tea was appeared nothing but a work of art. Four, The development picture of Whisked tea on medieval tea houses showed to be reconstructed how to drink and make whisked tea in medieval times by putting previous three subjects toge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중세 문헌에 나타난 찻집
      • Ⅲ. 중세 賣茶圖에 나타난 찻집
      • Ⅳ. 중세 찻집의 賣茶 文化 분석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중세 문헌에 나타난 찻집
      • Ⅲ. 중세 賣茶圖에 나타난 찻집
      • Ⅳ. 중세 찻집의 賣茶 文化 분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