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설득적 요소 중 하나인 메시지 전달형태(광고 대 기사)와 정보원유형(전문가 대 유명인)이 캠페인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조사를 통해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96395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8-275(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설득적 요소 중 하나인 메시지 전달형태(광고 대 기사)와 정보원유형(전문가 대 유명인)이 캠페인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조사를 통해 알...
본 연구는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설득적 요소 중 하나인 메시지 전달형태(광고 대 기사)와 정보원유형(전문가 대 유명인)이 캠페인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들은 기사형태의 메시지를 광고형태의 메시지보다 특별히 더 신뢰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을 가진 의사가 등장하는 상황과 개인적 검진 경험을 가진 유명인이 등장하는 상황 간에 설득효과에 있어서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도 드러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기사는 광고와 비교하였을 때 제3자 진술 효과를 통해 메시지 신뢰도에 있어서 우위에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그러한 이론적 주장은 개인의 관여도가 높고 해당 이슈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정보를 가질 경우에 한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적 관여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전문가의 메시지가 강한 설득성을 가지지만, 일반인의 경우에는 유명인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암 이슈를 잠재적으로 지각시키는 데 있어 더 효과적일 수 있음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ssage type (advertising vs. editorial) and endorser type (expert vs. celebr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women`s cancer prevention campaign. The results revealed that editorial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ssage type (advertising vs. editorial) and endorser type (expert vs. celebr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women`s cancer prevention campaign. The results revealed that editorial type did not show more trustworthiness than adversing type. Also, the ANOVA to test the impact of endorser typ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 expert (medical doctor) model and a celebrity model in their persuasive effect. Although the third party endorsement theory posits that editorial is more trustworthy than advertising,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ditorial type would be effective if the recipients are highly involved in and have some information on the issue. The effects of endorser type are also likely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sonal involvement in the cancer prevention issue.
여대생 절주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음주행동 영향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