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책갈등프레임워크(PCF)모형에 의한 부울경 메가시티 갈등 구조 분석: 경남도내 지역격차를 중심으로 = Effects of Policy Conflicts between the Busan-Ulsan-Gyeongsangnamdo Megacity(Bu-Ul-Gyeong Megacities) Based on Policy Conflict Framework(PCF): Focusing on Regional Conflicts within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29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l policy conflict within Gyeongsangnamdo that occurred during the pursuit of the Busan-Ulsan-Gyeongsangnamdo megacity(Bu-Ul-Gyeong megacity), based on the Policy Conflict Framework (PCF) proposed by Webile and Heikkila (...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l policy conflict within Gyeongsangnamdo that occurred during the pursuit of the Busan-Ulsan-Gyeongsangnamdo megacity(Bu-Ul-Gyeong megacity), based on the Policy Conflict Framework (PCF) proposed by Webile and Heikkila (2017). The results revealed that until the abandonment of the Busan-Ulsan-Gyeongsangnamdo megacity project, Regional Inequalities within Western Gyeongnam and Eastern Gyeongnam played a role as a crucial factor in the policy environment. These regional Inequalities acted as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Relative deprivation for policy actors, leading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mergence of policy conflicts among key actors in Western and Eastern Gyeongnam. In particular, after Gyeongsangnamdo could no longer mediate the conflict when the vacant post of the governor of Gyeongsangnamdo, it expanded to discussions opposing the Megacity and the demanded to relocate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office back to Jinju. As a result, the conflict influenced the threat perceptions and resistance to compromise among policy actor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Western and Eastern Gyeongnam faced with a transformation, intensifying the conflict. Furthermore, these shifts in positions were evident in the expressions and promises of candidates running for the 8th term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conducting a PCF analysis of the Gyeongsangnamdo case, confirming the impact of internal conflicts from regional Inequalities on the Busan-Ulsan-Gyeongsangnamdo megacity pursuit process. The study suggests that, for pursuing similar cases like the Megacity in future, effective management and resolution of policy conflicts rooted in regional disparities should be proactively addressed, offering valuable policy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Weible과 Heikkila(2017)의 정책갈등프레임워크(PCF) 모형을 활용하여 부울경 메가시티추진 과정에서 경남도 내부 갈등의 강도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메가시티가 무산되기까...

      본 연구는 Weible과 Heikkila(2017)의 정책갈등프레임워크(PCF) 모형을 활용하여 부울경 메가시티추진 과정에서 경남도 내부 갈등의 강도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메가시티가 무산되기까지서부 경남 및 동부 경남의 정책환경 기저에는 경남 내부의 지역 격차가 중점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던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지역 격차는 주요 행위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인지적 특성으로 작용하여서부 경남 및 동부 경남 주요 행위자 간 정책갈등이 강화되는 행태적 특성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해당갈등은 도지사 궐위 이후 경남도가 더 이상 내부 갈등의 조정자로서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자, 서부 경남을 중심으로 경남도청의 진주 환원 요청 및 서부 경남을 소외하는 메가시티 반대 논의로까지 확장되는 모습도 노출하게 된다.
      본 연구의 주요 의의는 경남도 갈등 사례에 대한 PCF 모형에 의거, 지역 격차에 따른 내부 갈등이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 과정에 미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있다. 특히 메가시티가 무산에 이르렀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경남도 내부의 정치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등의 정책환경을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이들 요인이 주요 정책행위자들에게 미친 영향과 이로 인한 정책행위자 간의 관계 변화, 그 결과로 표출된 정책갈등의 증감 등의 양태 변화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주요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