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산 쌍계사의 근대 불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9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논산 쌍계사 대웅전에는 1923년 대규모 불사 당시 제작된 <삼불회도>와 <신중도>가 봉안 되어 있다. 두 점의 불화는 청암 김윤환이 발원하고 시주했으며, 계룡산 화파로 알려져 있는 湖隱定淵, 普應文性, 春花万聰 등에 의해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쌍계사의 연혁과 불화의 발원자, 제작자, 화풍을 순서로 두 점의 불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당시 쌍계사의 상황, 사찰과 지역유지와의 연관성, 계룡산 화파의 불화 불사 현황과 화풍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1923년 쌍계사의 불사를 주도했던 김윤환은 공주 부호로, 고종 재위에 관리로 지냈고 자선사업과 불사로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김윤환의 후원으로 인해 사세가 기운 쌍계 사는 대규모 불사를 감행할 수 있었으며, 매년 물품을 시주받을 수 있었다. 당시 <삼불회도>와 <신중도>의 제작은 계룡산 화파인 정연, 문성, 만총이 주도하였는데, 이들 은 189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그룹으로 활동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세 화승은 중국화보와 서양 화법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드러나며, 해당 작품의 상호나 옷, 구름에 음영을 주고 그림자를 표 현한 것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신중도>에서 사화상이나 관운장이 신장상으로 표현된다. 1923년이 되면 정연, 문성, 만총은 후배들은 거느리고 불사에 참여했던 시기였기에 개인의 화 풍이 뚜렷한데, 이는 특히 만총이 출초로 기재된 <신중도>에서 확인된다. 화면 중앙에 조선 후기 관리형 도상 4위는 다른 신중도에서 볼 수 없는 유일한 사례인데, 이는 만총은 산신도, 현왕도 등 의 불화에 관리형 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지닌 화승이기에 가능하였다. 이에 선행연 구에서는 조선시대 관리형 도상이 고종과 흥선대원군일 것이라는 추측 하였으나, 당시 사회 통념 상 임금의 의복과 얼굴을 공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당시 쌍계사의 불사에 중요한 인물인 김윤환의 모습을 4위의 관리형 도상으로 형상화하였을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된다. 특히 김윤환은 관직 생 활 중 4가지 품계를 받았는데, 이는 <신중도>에서도 네 가지 색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색상들은 실제로 계급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김윤환은 1923년 불사 당시 사세가 기운 쌍계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많은 돈을 백성과 사찰의 불사 등 사회에 환원했다는 점, 당시 여러 회사 를 차려 충청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높은 관직에 올랐던 명망 높은 인물인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
      번역하기

      현재 논산 쌍계사 대웅전에는 1923년 대규모 불사 당시 제작된 <삼불회도>와 <신중도>가 봉안 되어 있다. 두 점의 불화는 청암 김윤환이 발원하고 시주했으며, 계룡산 화파로 알려져 ...

      현재 논산 쌍계사 대웅전에는 1923년 대규모 불사 당시 제작된 <삼불회도>와 <신중도>가 봉안 되어 있다. 두 점의 불화는 청암 김윤환이 발원하고 시주했으며, 계룡산 화파로 알려져 있는 湖隱定淵, 普應文性, 春花万聰 등에 의해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쌍계사의 연혁과 불화의 발원자, 제작자, 화풍을 순서로 두 점의 불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당시 쌍계사의 상황, 사찰과 지역유지와의 연관성, 계룡산 화파의 불화 불사 현황과 화풍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1923년 쌍계사의 불사를 주도했던 김윤환은 공주 부호로, 고종 재위에 관리로 지냈고 자선사업과 불사로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김윤환의 후원으로 인해 사세가 기운 쌍계 사는 대규모 불사를 감행할 수 있었으며, 매년 물품을 시주받을 수 있었다. 당시 <삼불회도>와 <신중도>의 제작은 계룡산 화파인 정연, 문성, 만총이 주도하였는데, 이들 은 189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그룹으로 활동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세 화승은 중국화보와 서양 화법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드러나며, 해당 작품의 상호나 옷, 구름에 음영을 주고 그림자를 표 현한 것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신중도>에서 사화상이나 관운장이 신장상으로 표현된다. 1923년이 되면 정연, 문성, 만총은 후배들은 거느리고 불사에 참여했던 시기였기에 개인의 화 풍이 뚜렷한데, 이는 특히 만총이 출초로 기재된 <신중도>에서 확인된다. 화면 중앙에 조선 후기 관리형 도상 4위는 다른 신중도에서 볼 수 없는 유일한 사례인데, 이는 만총은 산신도, 현왕도 등 의 불화에 관리형 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지닌 화승이기에 가능하였다. 이에 선행연 구에서는 조선시대 관리형 도상이 고종과 흥선대원군일 것이라는 추측 하였으나, 당시 사회 통념 상 임금의 의복과 얼굴을 공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당시 쌍계사의 불사에 중요한 인물인 김윤환의 모습을 4위의 관리형 도상으로 형상화하였을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된다. 특히 김윤환은 관직 생 활 중 4가지 품계를 받았는데, 이는 <신중도>에서도 네 가지 색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색상들은 실제로 계급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김윤환은 1923년 불사 당시 사세가 기운 쌍계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많은 돈을 백성과 사찰의 불사 등 사회에 환원했다는 점, 당시 여러 회사 를 차려 충청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높은 관직에 올랐던 명망 높은 인물인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nsan Ssanggyesa Temple enshrines two Buddhist paintings at Daeungjeon Hall, the temple’s Buddhist sanctum: Three Buddhas Painting(三佛繪圖),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神衆圖). They were created at the time of a mass Buddhist service held in 1923. The two paintings were commissioned and donated by Cheongam Kim Yun-hwan, and created by Hoeun Jeongyeon, Boeung Munseong, and Chunhwa Manchong, who are known as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creators, commissioners, and styles of the two paint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Ssanggyesa Temple at the time, its relationship with local leaders, the status and style of the Gyeryongsan school. First, Kim Yun-hwan, who led the Buddhist service at the temple in 1923, w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Joseon. Being a man of vast wealth, he built a high reputation with charity works and Buddhist services. With support from Kim Yun-hwan, the Ssanggyesa Temple was able to hold large-scale services. Kim donated goods to the temple every year. The creation of Three Buddhas Painting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were led by Jeongyeon, Munseong, and Manchong, who were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e three artists worked as a group from the 1980’s to the 1930’s, which may explain their shared use of Chinese pictorial an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is is evidenced by the shading of clothes and clouds and the expression of shadows in the two paintings. In addition, the guardians depicte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include Sha Wujing and Guan Yu. Their paintings in 1923 and later years show clearer marks of their individual styles, as the painters began to participate in Buddhist services with younger artists. This trend can be foun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for which Manchong is credited as having drawn the sketch. The painting is the only painting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that features four iconographies of government official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possible because Manchong was a monk painter who actively utilizes government official iconographies in his works. Previous studies speculat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 figures represent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four iconographies represent Kim Yunhwan, a key benefactor of the Ssanggyesa Temple because, at the time, the king’s closthes and face were not allowed to be disclosed. During his years as a government official, Kim Yun-hwan was granted four different ranks.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may represent the four ranks with four different colors.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a number of facts: at the time of the 1923 Buddhist service, when the Ssanggyesa Temple suffered from financial distress, Kim Yun-hwan fully supported the temple; Kim committed large amounts of money 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help the people and Buddhist temples; and he was a man of great reputation who founded several companies, had influence in Chungcheong-do, and rose high positions within the government.
      번역하기

      Nonsan Ssanggyesa Temple enshrines two Buddhist paintings at Daeungjeon Hall, the temple’s Buddhist sanctum: Three Buddhas Painting(三佛繪圖),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神衆圖). They were created at the time of a mass Buddhis...

      Nonsan Ssanggyesa Temple enshrines two Buddhist paintings at Daeungjeon Hall, the temple’s Buddhist sanctum: Three Buddhas Painting(三佛繪圖),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神衆圖). They were created at the time of a mass Buddhist service held in 1923. The two paintings were commissioned and donated by Cheongam Kim Yun-hwan, and created by Hoeun Jeongyeon, Boeung Munseong, and Chunhwa Manchong, who are known as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creators, commissioners, and styles of the two paint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Ssanggyesa Temple at the time, its relationship with local leaders, the status and style of the Gyeryongsan school. First, Kim Yun-hwan, who led the Buddhist service at the temple in 1923, w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Joseon. Being a man of vast wealth, he built a high reputation with charity works and Buddhist services. With support from Kim Yun-hwan, the Ssanggyesa Temple was able to hold large-scale services. Kim donated goods to the temple every year. The creation of Three Buddhas Painting and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were led by Jeongyeon, Munseong, and Manchong, who were members of the Gyeryongsan school. The three artists worked as a group from the 1980’s to the 1930’s, which may explain their shared use of Chinese pictorial an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is is evidenced by the shading of clothes and clouds and the expression of shadows in the two paintings. In addition, the guardians depicte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include Sha Wujing and Guan Yu. Their paintings in 1923 and later years show clearer marks of their individual styles, as the painters began to participate in Buddhist services with younger artists. This trend can be found in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for which Manchong is credited as having drawn the sketch. The painting is the only painting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that features four iconographies of government official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possible because Manchong was a monk painter who actively utilizes government official iconographies in his works. Previous studies speculat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 figures represent King Gojong and Heungseon Daewongu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four iconographies represent Kim Yunhwan, a key benefactor of the Ssanggyesa Temple because, at the time, the king’s closthes and face were not allowed to be disclosed. During his years as a government official, Kim Yun-hwan was granted four different ranks.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may represent the four ranks with four different colors.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a number of facts: at the time of the 1923 Buddhist service, when the Ssanggyesa Temple suffered from financial distress, Kim Yun-hwan fully supported the temple; Kim committed large amounts of money 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help the people and Buddhist temples; and he was a man of great reputation who founded several companies, had influence in Chungcheong-do, and rose high positions within the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연혁과 불화의 제작배경
      • III. 쌍계사 불화의 화풍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연혁과 불화의 제작배경
      • III. 쌍계사 불화의 화풍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찰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집:충청남도, 대전광역시 편" 사찰문화재연구소 2004

      2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 麻谷寺 本末寺篇 (上) 15" 성보문화재연구원 2000

      3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6 류정해, "조선시대 제석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성실, "조선시대 어진(御眞)과 어의(御衣)" 석주선기념박물관 (35) : 4-35, 2016

      8 신광희, "조선 후기 완주 화암사의 불화 연구" 한국선학회 (55) : 97-125, 2020

      9 김경미, "조선 전반기 三身ㆍ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소 (49) : 5-34, 2014

      10 최 엽, "여수 興國寺의 諸尊集會圖 도상 연구" 동국대학교 박물관 25 : 2014

      1 사찰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집:충청남도, 대전광역시 편" 사찰문화재연구소 2004

      2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불화 – 麻谷寺 本末寺篇 (上) 15" 성보문화재연구원 2000

      3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6 류정해, "조선시대 제석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성실, "조선시대 어진(御眞)과 어의(御衣)" 석주선기념박물관 (35) : 4-35, 2016

      8 신광희, "조선 후기 완주 화암사의 불화 연구" 한국선학회 (55) : 97-125, 2020

      9 김경미, "조선 전반기 三身ㆍ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소 (49) : 5-34, 2014

      10 최 엽, "여수 興國寺의 諸尊集會圖 도상 연구" 동국대학교 박물관 25 : 2014

      11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동악미술사학회 (9) : 91-118, 2008

      12 김수영, "부산 圓光寺 소장 釋迦說法圖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소 16 (16): 77-108, 2009

      13 이종수, "보응당 문성 작품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0

      14 도윤수, "논산학총서 2 - 논산지역의 불교" 논산문화원 2018

      15 권중서, "논산 쌍계사의 꽃살문과 翼善冠을 한 神衆圖 보기" 태학사 78 : 2017

      16 김소의, "금호당 약효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7 김정희, "금호당 약효와 남방화소 계룡산파-조선후기 화승연구(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26): 711-752, 2006

      18 최엽, "근현대 畵僧 일섭 佛畵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2) : 31-56, 2017

      19 최엽, "근대기 불교계와 佛畵의 제작" 동악미술사학회 (13) : 269-295, 2012

      20 최 엽, "근대 화승 고산당 축연의 불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1 김재영, "근대 신중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22 이승혜, "근대 불화승의 서양화법 수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3 "공주 부호 김윤환과 자선활동"

      24 최 엽, "고산당 축연의 불화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5) : 2004

      25 "高宗實錄"

      26 문화재청, "雙溪寺 大雄殿 : 實測調査報告書 3" 문화재청 1999

      27 신은미, "金魚 金蓉日燮의 『年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28 "金閏煥氏의功德-破寺破像重修에勞力" 佛敎社 (33) : 50-, 1927

      29 정병국, "金泉 七佛寺 三世佛會圖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7) : 2006

      30 이민주, "肖像畵를 통해 본 麗末鮮初 冠服" 포은학회 8 : 127-154, 2011

      31 "紺綬褒賞을 탄公州의金閏煥氏그의적덕은 이러하얏나"

      32 김소의, "畵僧 錦湖堂 若效의 佛畵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4 : 107-137, 2012

      33 이규희, "畵僧 普應堂 文性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34 박은경, "玩虎作 釋迦說法圖 연구" 석당학술원 (42) : 381-412, 2008

      35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東亞經濟時報社 1923

      36 大垣丈夫, "朝鮮紳士大同譜" 朝鮮紳社大東普發行事務所 1913

      37 "朝鮮王朝實錄"

      38 김현중, "朝鮮時代 神衆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39 윤서정, "朝鮮時代 三佛會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40 손수연, "朝鮮後期 畵僧 霞隱堂 應祥의 佛畵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41 안귀숙, "朝鮮後期 佛畵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上)" 미술사연구회 8 : 1994

      42 강민선, "普應堂 文性의 불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43 "承政院日記"

      44 "大典會通"

      45 "公州活佛 金閏煥氏 數百乞人에계 衣食을 給與"

      46 정우택, "佛敎美術 서술의 用語 문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7 : 2003

      47 "一般公開는 中止"

      48 김현중, "19세기 경기지역 신중도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17) : 45-69, 2015

      49 이현아, "1884년 甲申衣制改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ak Art History -> Association of Dongak Art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1 0.80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