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보건소 보건사업 담당자와 주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 = Comparison of discrepancy in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abd residents ba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9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was to find out whether health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own communication skills were different from or consistent with those of residents in a health center setting. The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interactions between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through three key measures: agreement, congruency, and accuracy. For the analysis, a survey targeting 263 health workers and 1,146 resident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health workers perceived their own communication activities more highly than the residents perceived their own. Moreover, they presumed that the residents ha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 residents’ actual perception of the health workers’ communication activities was lower than what the health workers estimated the residents’ perception to be. The residents presumed that the health workers had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on health care communication for health workers. Another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both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 and narrow down the discrepancy in self-estimated and actual perception between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번역하기

      The aim was to find out whether health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own communication skills were different from or consistent with those of residents in a health center setting. The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interactions between hea...

      The aim was to find out whether health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own communication skills were different from or consistent with those of residents in a health center setting. The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interactions between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through three key measures: agreement, congruency, and accuracy. For the analysis, a survey targeting 263 health workers and 1,146 resident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health workers perceived their own communication activities more highly than the residents perceived their own. Moreover, they presumed that the residents ha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 residents’ actual perception of the health workers’ communication activities was lower than what the health workers estimated the residents’ perception to be. The residents presumed that the health workers had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on health care communication for health workers. Another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both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 and narrow down the discrepancy in self-estimated and actual perception between health workers and resi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담당자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해 자신과 주민이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객관적 일치도(agreement), 주관적 일치도(congruency), 정확도(accuracy)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보건담당자 263명, 주민 11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보건소 담당자들은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해 주민들 의 평가보다 스스로를 더 높게 평가했다. 또한, 주민들이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과소 평가한 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 주민들이 평가한 보건소 담당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은 보건소 담당자들의 추측한 주민들의 평가 점수보다도 더 낮았다. 주민들은 보건소 담당자들이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을 과대 평가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본 연구는 보건소 담당자들의 보건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보건소 담당자들의 스스로에 대한 평가와 주민들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담당자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해 자신과 주민이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객관적 일치도(agreement), 주관적 일치도(congruency)...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담당자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해 자신과 주민이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객관적 일치도(agreement), 주관적 일치도(congruency), 정확도(accuracy)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보건담당자 263명, 주민 11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보건소 담당자들은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해 주민들 의 평가보다 스스로를 더 높게 평가했다. 또한, 주민들이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과소 평가한 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 주민들이 평가한 보건소 담당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은 보건소 담당자들의 추측한 주민들의 평가 점수보다도 더 낮았다. 주민들은 보건소 담당자들이 자신들의 커뮤니케이션을 과대 평가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본 연구는 보건소 담당자들의 보건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보건소 담당자들의 스스로에 대한 평가와 주민들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언아, "한국의 보건소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03-215, 2019

      2 한경순, "인천광역시 보건소 이용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728-735, 2015

      3 박진영,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30-54, 2015

      4 이종학,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자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49-260, 2013

      5 유재웅,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대한 환자의 인식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치료 만족도와 의사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77-101, 2010

      6 최명일,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의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5 (15): 115-143, 2011

      7 신현희,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의 자발적인 자기정보공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179-198, 2011

      8 윤은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상호지향성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14, 2016

      9 손민성, "융합적 요소를 고려한 의료서비스 질 인식도와 의료이용의 관련성: 서울시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45-356, 2015

      10 강두선,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 비교" 한국소비자학회 27 (27): 47-77, 2016

      1 박언아, "한국의 보건소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03-215, 2019

      2 한경순, "인천광역시 보건소 이용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728-735, 2015

      3 박진영,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30-54, 2015

      4 이종학,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자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49-260, 2013

      5 유재웅,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대한 환자의 인식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치료 만족도와 의사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77-101, 2010

      6 최명일,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의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5 (15): 115-143, 2011

      7 신현희,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의 자발적인 자기정보공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179-198, 2011

      8 윤은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상호지향성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14, 2016

      9 손민성, "융합적 요소를 고려한 의료서비스 질 인식도와 의료이용의 관련성: 서울시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45-356, 2015

      10 강두선,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 비교" 한국소비자학회 27 (27): 47-77, 2016

      11 이명희, "상담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차이 비교: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21 (21): 115-139, 2018

      12 박귀화,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24-433, 2018

      13 김성기, "보건소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8 (18): 33-43, 2016

      14 이혜순, "보건소 보건서비스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261-285, 2003

      15 오은환, "보건소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원 11 (11): 27-33, 2017

      16 이수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획자, 경험자, 비경험자간 인식 차이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213-257, 2018

      17 권미형,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보건소 공무원의감염병 대처에 대한 주관적 인식" 한국주관성연구학회 (40) : 47-68, 2018

      18 손애리, "마약류 및 약물 오⋅남용 예방사업 성과지표 개발"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18 (18): 67-79, 2017

      19 정미경, "군과 지역사회 간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이해도"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7-205, 2014

      20 김봉철,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한국광고학회 25 (25): 179-201, 2014

      21 김찬석, "공영방송 수신료에 대한 시청자와 KBS 직원의 상호 이해와 곡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5) : 68-101, 2014

      22 정수연, "간호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환자 만족도 연구"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8 (8): 35-44, 2013

      23 Chaffee, Steven H., "Sensitization in Panel Design: A Co-orientational experiment" 45 (45): 661-669, 1968

      24 Zandbelt, L. C., "Patient participation in the medical specialist encounter: Does physicians'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matter?" 65 : 396-406, 2007

      25 van Ryzin, G. G., "An experimental test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 of citizen satisfaction" 32 : 597-61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