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자주성 · 전문성 ·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방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1991년 제정되고, 지방교육자치가 시행된 지 10여 년이 지났다. 그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873328
대전 :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학위논문(석사) --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 공공정책학과 교육정책전공 , 2005. 2
2004
한국어
371 판사항(4)
대전
77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73-7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의 자주성 · 전문성 ·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방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1991년 제정되고, 지방교육자치가 시행된 지 10여 년이 지났다. 그러�...
교육의 자주성 · 전문성 ·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방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1991년 제정되고, 지방교육자치가 시행된 지 10여 년이 지났다. 그러나 교육자치를 위한 지방자치의 상호관계의 차원에서 볼때 지방교육자치의 본질은 도외시된 채 교육자치의 명맥만을 이어가기 위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자치는 그 전문성, 특수성 때문에 지방자치와 독립되어야 하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재정문제나 의결, 집행문제 등에서 지방자치와 협력되어야 하는 측면도 가지고 있다. 이 두가지 측면을 조화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치의 독립성을 인지한 후 지방자치와의 조화점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지역주민들을 주축으로 하는 실질적인 지방교육자치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제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외국의 지방교육자치제를 비교 · 분석함으로써 교육자치의 개념을 역사와 문화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다. 이어서 교육과 자치에 대한 국내외의 사례를 검토하면서 바람직한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 방안을 모색한 후 이 안에서 현행 지방교육자치의 문제 개선방안을 고찰해보았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육자치제와 지방자치제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 두 자치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미국, 영국, 일본 3개국을 선정, 그 나라의 교육자치제를 비교 · 분석하여 보았으며 특히, 교육의 자주성과 중립성이 보장되고 교육자치제가 획일적 교육을 지양하고 지방의 특수성 및 지역실정에 맞는 다양한 교육자치제를 운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재의 교육자치제의 현황을 ① 교육자치제의 실시범위, ② 교육위원회의 성격과 권한, ③ 교육재정의 실태, ④ 교육위원 · 교육감 선출제도 등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현행 교육자치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하였습니다.
넷째, 현행 교육자치제에서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발전적 관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지방교육자치제는 교육의 민주화 · 자율화 · 전문화 및 효율화를 실현하는 초석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식 발전의 원동력이다. 지방교육자치의 발전과 정착을 위해 제도의 개선 · 보완과 함께 교육 관련 당사자들 모두가 역사적 책임 의식과 소명을 가지고 지방교육자치제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