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상북도지역 학교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of Several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4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haracterized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used for drinking water in 30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3% of groundwater and 45% of purified water were not suitable for drinkin...

      This study characterized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used for drinking water in 30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3% of groundwater and 45% of purified water were not suitable for drinking. Among them, microbial contaminations were the most serious problem. In raw groundwater, the exceeding rates of total colony counts was the highest in August (53.6%). Purified water samples showed high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ony counts while showing low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in March and August. Overall, proper managements for microbial contaminations are required for both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Furthermore, special attention should toward students not to drink water when groundwater or purified water exceeds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효, "토양지하 수환경," 17 : 2006

      2 환경부,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

      3 양성기, "제주도 지하수관정의 오염저감방안" 한국환경과학회 16 (16): 735-743, 2007

      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5 경상북도, "소규모수도시설 개선대책"

      6 이승민, "부산지역 다중이용시설의 정수기물에 대한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연구" 16 (16): 121-126, 2007

      7 이승현, "도시화에 의한 장기 지하수 함양량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9 (19): 779-785, 2010

      8 김종수, "도내 학교급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 구" 14 : 113-120, 2001

      9 연합뉴스, "농․어촌지역 부적합식수 공급받는 초 등학교 증가 안전한 상수도 공급 시급"

      10 김연희, "광주지역 빗물과 지하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9 : 181-211, 2006

      1 이민효, "토양지하 수환경," 17 : 2006

      2 환경부,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

      3 양성기, "제주도 지하수관정의 오염저감방안" 한국환경과학회 16 (16): 735-743, 2007

      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5 경상북도, "소규모수도시설 개선대책"

      6 이승민, "부산지역 다중이용시설의 정수기물에 대한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연구" 16 (16): 121-126, 2007

      7 이승현, "도시화에 의한 장기 지하수 함양량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9 (19): 779-785, 2010

      8 김종수, "도내 학교급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 구" 14 : 113-120, 2001

      9 연합뉴스, "농․어촌지역 부적합식수 공급받는 초 등학교 증가 안전한 상수도 공급 시급"

      10 김연희, "광주지역 빗물과 지하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9 : 181-211, 2006

      11 김승현,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질 특성조사" 7 (7): 859-865, 1998

      12 박용배, "경기북부지역의 정수기물 관리실태조사" 18 (18): 1-7, 2003

      13 Montgomery, J. M., "Water Treatment Principles and Design" John Wiley & Sons 327-330, 1985

      14 Scanduraa, J. E., "Viral and bacterial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on-site sewage treatment systems" 35 (35): 141-146, 1997

      15 Saffigna, P. G, "Nitrate and Chloride in Ground Water Under Irrigated Agriculture in Central Wisconsin" 15 (15): 170-177, 1977

      16 Conboy, M. J., "Identification of an assemblage of indicator organisms to assess timing and sourc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129 : 101-118, 2001

      17 Gitanjali,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tatus of courtallam water, Chapter 10. Ground Water Quality in Courtallam area" Salim Ali School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Pondicherry University, 2010

      18 Lamka, K. G, "Bacterial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in a Modern Rural Neighborhood" 39 (39): 734-738, 1980

      19 USGS, "Arsenic, Nitrate, and Chloride in Groundwater"

      20 Steets, B. M, "A mechanistic model of runoff-associated fecal coliform fate and transport through a coastal logoon" 37 : 589-608, 2003

      21 환경부, "2009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2-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CI등재
      2011-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52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