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A분석을 활용한 아시아-미주 항로의 해운네트워크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Structural analysis of the liner shipping network of the Asia-North America trade route adopting Social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6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시아-미주 해운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SNA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시아-미주 항로에 기항중인 56개 항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29개국 89개 항만이 포함되었다. 전체 분석결과, ...

      아시아-미주 해운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SNA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시아-미주 항로에 기항중인 56개 항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29개국 89개 항만이 포함되었다. 전체 분석결과, 연결중심성 중 Out Degree의 경우 Busan항이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났고, Singapore항, Kaohsiung항, Oakland항, Yantian, Tokyo항이 뒤를 이었다. In Degree에서는 Busan항, Singapore항, Ningbo항, Shanghai항, Xiamen항, Qingdao항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에서는 Singapore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고, Busan항, Kaohsiung항, Haifa항, Port Kelang항이 다음 순위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에서는 Singapore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antian항, Busan항, Kaohsiung항, Xiamen항이 다음 순위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순위를 가지는 Singapore항과 Busan 항은 천혜의 지리요건을 갖추고, 글로벌 환적항에 맞는 전략적 인센티브 지급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사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재편되는 얼라이언스에 대비하고, 경쟁력 있는 항만을 고려한 항로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SNA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Asia-U.S. shipping network structure. 56 routes on the Asia-U.S. route were targeted to analysis, with only 89 ports from 29 countries. Holistically, Busan port ranked highest in terms of out degree central...

      An SNA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Asia-U.S. shipping network structure. 56 routes on the Asia-U.S. route were targeted to analysis, with only 89 ports from 29 countries. Holistically, Busan port ranked highest in terms of out degree centrality, followed by the Port of Singapore, Kaohsiung Port, Port of Oakland, Yantian Port and Tokyo Port. As for the in degree centrality, Busan Port was followed by the port of Singapore, Ningbo Port, Shanghai Port, Xiamen Port and Qingdao Port. Meanwhile, in regards to the betweenness centrality, Port of Singapore showe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Busan port and Kaohsiung Port, Port of Haifa and Port Kelang. It also ranked highest in the closeness centrality, followed by Yantian port, Busan port, Kaohsiung port, and Xiamen port. The top-ranked ports of Singapore and Busan are known to have geographical requirements and secure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strategic incentives to meet global transshipment ports. Using the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hipping companies will be able to consider competitive ports to propose a route establishment strategy as well as prepare for any reorganization of allia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재, "퍼지이론을 활용한 수도권항만의 기항지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7 (27): 39-57, 2011

      2 황인수, "웹의 연결구조로부터 Hub와 Authority를 효과적으로도출하기 위한 상호강화모델의 확장" 한국경영과학회 30 (30): 1-12, 2005

      3 신유정, "새로운 Hub Port를 고려한 정기선의 최적항로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4

      4 고재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여객항로 분석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9 (39): 217-222, 2015

      5 송선욱, "미국의 100% 컨테이너 검색법 시행을 대비한 한국의 대응" 한국관세학회 14 (14): 87-108, 2013

      6 남풍우, "미국 컨테이너보안협정(CSI)의 운용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2651-2671, 2004

      7 이탁, "동북아시아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비교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9 (39): 55-60, 2015

      8 하명신, "동북아 지역과 미국 주요 컨테이너항만간의 효율성 비교 - DEA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29-250, 2009

      9 여기태,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쟁력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항만 인프라를 중심으로" 11 (11): 179-203, 2001

      10 김성국, "대륙횡단철도를 고려한 아시아-유럽 컨테이너 화물 운송수단 선택에 관한 시험적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44) : 139-165, 2005

      1 유성재, "퍼지이론을 활용한 수도권항만의 기항지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7 (27): 39-57, 2011

      2 황인수, "웹의 연결구조로부터 Hub와 Authority를 효과적으로도출하기 위한 상호강화모델의 확장" 한국경영과학회 30 (30): 1-12, 2005

      3 신유정, "새로운 Hub Port를 고려한 정기선의 최적항로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4

      4 고재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여객항로 분석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9 (39): 217-222, 2015

      5 송선욱, "미국의 100% 컨테이너 검색법 시행을 대비한 한국의 대응" 한국관세학회 14 (14): 87-108, 2013

      6 남풍우, "미국 컨테이너보안협정(CSI)의 운용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2651-2671, 2004

      7 이탁, "동북아시아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비교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9 (39): 55-60, 2015

      8 하명신, "동북아 지역과 미국 주요 컨테이너항만간의 효율성 비교 - DEA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29-250, 2009

      9 여기태,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쟁력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항만 인프라를 중심으로" 11 (11): 179-203, 2001

      10 김성국, "대륙횡단철도를 고려한 아시아-유럽 컨테이너 화물 운송수단 선택에 관한 시험적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44) : 139-165, 2005

      11 김석수,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와 국내 컨테이너 선사의 아시아 역내 해운 네트워크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8

      12 김현진, "글로벌 선사간의 인수 합병을 통한 얼라이언스 재편과 국내 해운사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6

      13 전준우, "SNA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크루즈 항로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7-28, 2016

      14 최두원, "SNA를 이용한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네트워크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소 42 (42): 339-362, 2019

      15 박성훈, "SNA 방법을 통한 연안해운 승객 중심성이동변화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34 (34): 527-544, 2018

      16 Jun Woo JEON, "SNA Approach for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of International Port Competition" 한국해운물류학회 32 (32): 165-172, 2016

      17 Wen LU, "Network Connection Strategy for Small and Medium-sized Ports (SMPs)" 한국해운물류학회 34 (34): 19-26, 2018

      18 Frement, A., "Golbal maritime networks: The case of Maerk" 15 (15): 431-442, 2007

      19 Hu, Y.,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88 (88): 2061-2071, 2009

      20 "Drewry Container Forecast Q2 2019 Drewry Maritime Research"

      21 Clott, C., "Container repositioning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 shipping soybeans by container from US hinterland to overseas markets" 14 : 56-65, 2015

      22 Fan, L., "Congestion, port expansion and spatial competition for US container imports" 48 (48): 1121-1136, 2012

      23 Ducruet, C.,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networks : Revisiting the Northeast Asian port hierarchy" 37 (37): 17-36, 2010

      24 "Alphaliner Monthly Monitor June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8 0.943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