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法 제406조와 제407조는 채권자취소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데, 종래의 판례와 통설은, 채권자취소권의 성질에 관해서는 채권자 취소권을 사해행위의 취소권(형성권)과 일탈재산의 원상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民法 제406조와 제407조는 채권자취소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데, 종래의 판례와 통설은, 채권자취소권의 성질에 관해서는 채권자 취소권을 사해행위의 취소권(형성권)과 일탈재산의 원상회...
民法 제406조와 제407조는 채권자취소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데, 종래의 판례와 통설은, 채권자취소권의 성질에 관해서는 채권자 취소권을 사해행위의 취소권(형성권)과 일탈재산의 원상회복 청구권(채권)이 결합된 권리로 보고 채권자취소 소송을 형성의 소와 이행의 소의 병합형태로 파악하는절충설의 입장을 취하고, 사해행위 취소의 효과에 관해서는 채권자취소의효력은 그 소를 제기한 채권자와 그 상대방인 수익자나 전득자의 상대적 관계에서만 생길 뿐 그 소송의 당사자나 참가인이 아닌 채무자나 채무자와 수익자 사이의 법률관계에서는 생기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상대적 무효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례ㆍ통설은 실제 적용과정에서 무수한 법리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판례ㆍ통설은 원상회복의 방법에 관해가액배상의 법리를 창안해서 운용하고 있는데, 이 법리 역시 일관된 법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갖가지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 필자는 먼저 가액배상에 관한 문제를 검토ㆍ비판하는 과정에서 판례ㆍ통설이 노정하고 있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판례ㆍ통설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론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민법 제406조 제1항과제407조가 채권자취소권의 내용에 관해 ‘사해행위의 취소’와 ‘일탈재산의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는 취지로 규정하고 있음에 착안해서채권자취소권에 관한 새로운 해석론을 제시했는데, 그 해석론은 주요 쟁점에 관해 ‘소권설’, ‘형성의 소와 형성의 소의 병합소송설’, ‘집행력 회복설’로이름 붙일 수 있다. 그리고 필자는 법무부가 주관해서 마련한 민법 개정안에대한 간단한 소감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les 406 and 407 of Civil Act provide for a creditor’s right to revoke fraudulent juridical acts by a debtor.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d the view of the majority of scholars, the character of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s...
Articles 406 and 407 of Civil Act provide for a creditor’s right to revoke fraudulent juridical acts by a debtor.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d the view of the majority of scholars, the character of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s considered as mixed rights of the right to revoke the fraudulent act, and the right to be returned property wrongfully taken from the creditor revoking the fraudulent act. Thus the legal effect of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act (so called relative invalidity theory) reaches only to the creditor revoking the fraudulent act and the opponent (which is usually the beneficiary or transferee of the transfer) but does not reach a debtor who is not a participant in the sui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btor and their beneficiary. This character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pursuant to the decisions and majorities of scholars’ view caused numerous legal problems when applied to real-life cases to vindicate creditors’ rights.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d the majority of scholars, with regards to the recovery of wrongfully taken property, invented and applied the theory of price distribution which also brought out several problems that could not be resolved consistently with the theory. In the process of reviewing and criticizing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theory of price distribution, I realized the necessity of a new interpretative theory replacing the above decisions and majority scholars’ view and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This is based on the provisions of Articles 406 and 407 of the Civil Act which set forth that “the obligee may apply to the court for the revocation of the juridical act by the obligor disposing of property rights]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The new interpretation can be named “the theory of the right to sue,” “the theory of joinder lawsuit of cancellation and recovery of wrongfully taken property,” or “the theory of enforcement recovery.” I further added a brief reflection on the amendments to the Civil Act proposed by the Department of Jus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형, "채권자취소권의 본질과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변호사협회 (329) : 108-126, 2004
2 양형우,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한국민사법학회 69 : 471-510, 2014
3 김재형,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개정안 - 개정안에 관한 기본구상과 민법개정위원회의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68 : 43-121, 2014
4 윤진수,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연구" 한국민사법학회 66 : 503-548, 2014
5 김가을, "일본민법제정사에 있어서 채권자취소권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소 13 (13): 29-59, 2012
6 김대정, "韓國民法理論의 發展(2) [債權編]" 博英社 1999
7 오영준, "詐害行爲取消權과 債權者平等主義" 法院圖書館 32 : 2001
8 손흥수, "詐害行爲 取消의 效力과 配當" 서울大學校 法學評論 編輯委員會 4 : 2013
9 金龍潭, "註釋 民法 [債權總則(2)]" 韓國司法行政學會 2013
10 潮見佳男, "法律學の森 債權總論Ⅱ-債權保全ㆍ回收ㆍ歸屬變更-" 信山社 2008
1 김재형, "채권자취소권의 본질과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변호사협회 (329) : 108-126, 2004
2 양형우,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한국민사법학회 69 : 471-510, 2014
3 김재형,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개정안 - 개정안에 관한 기본구상과 민법개정위원회의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68 : 43-121, 2014
4 윤진수,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연구" 한국민사법학회 66 : 503-548, 2014
5 김가을, "일본민법제정사에 있어서 채권자취소권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소 13 (13): 29-59, 2012
6 김대정, "韓國民法理論의 發展(2) [債權編]" 博英社 1999
7 오영준, "詐害行爲取消權과 債權者平等主義" 法院圖書館 32 : 2001
8 손흥수, "詐害行爲 取消의 效力과 配當" 서울大學校 法學評論 編輯委員會 4 : 2013
9 金龍潭, "註釋 民法 [債權總則(2)]" 韓國司法行政學會 2013
10 潮見佳男, "法律學の森 債權總論Ⅱ-債權保全ㆍ回收ㆍ歸屬變更-" 信山社 2008
11 小野秀, "法律學の森 債權總論" 信山社 2013
12 池元林, "民法講義" 弘文社 2015
13 郭潤直, "民法注解[Ⅸ]-債權(2)" 博英社 1995
14 川井 健, "民法槪論3 (債權總論)" 有斐閣 2008
15 內田 貴, "民法Ⅲ 債權總論ㆍ擔保物權" 東京大學出版會 2009
16 이계정, "民法 제407조(債權者平等主義)의 法律關係에 관한 硏究" 法院圖書館 47 : 2008
17 정종휴, "日本民法典의 編纂" 한국법사학회 (36) : 101-152, 2007
18 法務部 民法改正事務局, "日本民法典" 法務部 2011
19 可藤雅信, "新民法大系Ⅲ 債權總論" 有斐閣 2005
20 李淳東, "改訂ㆍ增補 債權者取消權" 육법사 2012
21 윤경, "大法院判例解說 제40호" 法院圖書館 2002
22 이우재, "債權者取消의 效力과 配當節次에서의 取扱-債權者取消의 效力을받는 ‘모든 債權者’의 範圍와 關聯된 問題" 韓國司法行政學會 5 : 2009
23 徐光民, "債權者取消權의 法的 構成" 考試界社 38 (38): 1993
24 高翔龍, "債權者取消權의 法的 性質" 考試界社 26 (26): 1981
25 李在性, "債權者取消 訴訟의 性質" 法曹協會 22 (22): 1973
26 金亨培, "債權者 取消權制度의 再構成" 考試界社 31 (31): 1986
27 李銀榮, "債權總論" 博英社 2009
28 中田裕康, "債權總論" 岩波書店 2014
29 金亨培, "債權總論" 博英社 1998
30 宋德洙, "債權法總論" 博英社 2015
31 정다영, "佛蘭西 民法上 債權者取消權 制度" 韓國民事法學會 (67) : 2014
유치권에 기한 경매에서 소멸주의 적용여부 - 대법원 2011. 6. 15. 2010마1059 결정 판례를 중심으로 -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에 제공된 토지 및 건물의 경매절차에 대한 소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6 | 0.683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