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22개 특수학교의 교사 350명이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462959
용인 :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특수교육전공 , 2006. 2
2005
한국어
379.5 판사항(4)
371.9 판사항(21)
경기도
vii, 68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7-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22개 특수학교의 교사 350명이었...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22개 특수학교의 교사 350명이었으며, 연구방법은 편의표본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등으로 구성하였고,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조사는 이상진(2003)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α가 직무스트레스에서 .683, 직무만족에서 .659로 모두 .6 이상으로, 조사도구는 신뢰할만한 수준이다.
본 연구결과의 자료처리는 수집된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LSD 방법을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성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경력개발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인간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경력이 많을수록 인간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교육경력이 6-10년일 때 경력개발 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월수입이 높을수록 인간관계와 조직특성에서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변인 중 인간관계와 경력개발은 초임교사 일 때보다 경력교사일 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교육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5년 미만경력과 11년이상의 경력인 경우에 6-10년인 경력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직무특성과 역할관계, 보상제도, 경력개발, 조직특성은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직무다양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조건은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역할명료는 인간관계와 경력개발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의 경력개발 변인은 직무만족의 직무다양, 직무조건, 역할명료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다 미쳤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A total of 350 teachers from 22 special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were inclu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A total of 350 teachers from 22 special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demographic factors,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etc. Lee Sang-Jin's questionnaire (2003) was used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reliable with the reliabilities of Cronbach’α .683 in occupational stress and Cronbach’α .659 in job satisfaction.
The data was process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demographic factors afte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stimated. The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demographic factors were identified by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the one-way ANOVA and the LSD was used as a tool for post-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occupational stress factors which would affect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by sex, in that male teachers had higher occupational stress than female teachers in career development. By age, the older the respondents were, the higher occupational stress they had in human rel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eachers with longer career had higher occupational stress in human relations and teachers with 6-10 years of career showed higher occupational stress in career development. Occupational stress of teachers with higher monthly wages had more influences on human relation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stressful than newly-employed teachers in human rel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male teachers and highly-educated teacher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female teachers and less-educated teachers.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 career and more than 11 year career was higher than those with 6-10 year experience.
Third, job characteristics, role relations, compensation system,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ub-variables of occupational stress had effects on job variety as a sub-variable of job satisfaction. Job conditions also had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and role intelligibility had influence on human rel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as a sub-variable of occupational stress affected job variety, job conditions and role intelligibil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