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看話禪(간화선)과 華嚴敎(화엄교)의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11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간화선과 화엄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차별적 우위를 논한 갈등양상을 보여 왔으나 상통성 또한 없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특히 양자의 특징적인 수행법인 화두...

      본고는 간화선과 화엄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차별적 우위를 논한 갈등양상을 보여 왔으나 상통성 또한 없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특히 양자의 특징적인 수행법인 화두참구와 보현관행 역시 깨달음에 이르고 중생교화하는 방편임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화두참구에 있어서 선지식의 수많은 해탈법문이 공안이라면, 화엄행자의 구체적인 보현관행은 활구화두가 된다고 하겠다. 공안에서 화두를 간택하지만 간화행자에게 공안이 다 활구화두는 아닌 반면, 보현관행이 화엄행자에 따라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이 된다. 화두삼요가 대신심·대분심·대의단이라면, 신해심·행원력·지혜심(현전지견)은 관행삼요라 할 수 있다. 이 지혜심은 여래성기구덕심의 일체지를 발현시키는 문수대지이다. 활구화두로 견성한 것이 불성을 드러낸 현성이듯이, 여래성 일심을 관조하여 여래지를 발현시킨 것이 성기이다. 화엄교의 보현관행은 중생계가 다하도록 이어지는 동체대비의 오후수이며, 간화선은 대혜도 늘 강조하듯이 일용득력을 중시한다. 보현행을 여의지 않는 화두참구와 내증과 외화가 둘이 아닌 보현관행은 불일불이로서 무애자재함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revealed to conflicts aspects about differential discussed between them but they have intercommunication after comparing the thought and practice of Ganhwa Seon and Hwaeom Thought. Especially,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

      This paper has revealed to conflicts aspects about differential discussed between them but they have intercommunication after comparing the thought and practice of Ganhwa Seon and Hwaeom Thought. Especially,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f expedient method that their characteristic methods of practice of a seek topic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If numerous Dharma`s Liberation is the Gongan as a seek topic, the specif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practitioner may be a living top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becomes a shortcut way according Hwaeom practitioner. If three elements of a topic can be a great devout disposition, a great inflexible resolve and a great doubt resolution, faith and interpretation determination, action and vow`s mind and wisdom mind can be three elements of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is wisdom mind is Manjusri who generates all wisdom of fully spreading mind of Buddha`s virtue. Like enlightenment by a living topic is as real appearance, arising of buddha`s wisdom to seek a mind of buddha`s nature is arising from the primal nature.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Thought is enlightenment after practice of feeling and compassion as the same nature as oneself until sentient beings world disappears and Ganhwa Seon as always emphasized great mercy think to important to the usual realization. A seek topic that is not over rely on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at is not two between inward enlightenment and outward enlightenment are not separate can see non impeding untrammeled freedom as neither the same as nor different fr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