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 A Study on Economic Value of Daegu Arboretum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59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reshment spaces according to the laws concerned. The public, however, recognize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functions on plants of arboretum more importantly compared with the roles to survey, collect, and proliferate plants as regulated by the laws. In particular, arboretum plays a role to offer a pivotal educational place in urban area where the public can obtain an hands-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stimate the non market environmental values of Daegu Arboretum opera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which yields the current monetary estimates for the arboretum. The value estimation was undertaken by using the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DBDC) method, and each estimated value was derived from respective functions based on a logit distribution known to include relatively stable estim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statistical fitness test results, the author estimated the amounts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such as mean WTP of 12,718 KRW, median WTP of 11,033 KRW, and truncated mean WTP of 11,468 KRW, which represented the annual recreational values per a person visiting Daegu Arboretum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Daegu Arboretum created the annual environmental values which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19 billion KRW. The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that the valuation method for the environment of Daegu Arboretum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values of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goods by altering the locations or goods to be analyzed.
      번역하기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reshment spaces according to the laws concerned. The public, however, recognize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functions on plants of arboretum more importantly compared with the roles to survey, collect, and proliferate plants as regulated by the laws. In particular, arboretum plays a role to offer a pivotal educational place in urban area where the public can obtain an hands-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estimate the non market environmental values of Daegu Arboretum opera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 which yields the current monetary estimates for the arboretum. The value estimation was undertaken by using the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DBDC) method, and each estimated value was derived from respective functions based on a logit distribution known to include relatively stable estimat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statistical fitness test results, the author estimated the amounts of the Willingness To Pay (WTP) such as mean WTP of 12,718 KRW, median WTP of 11,033 KRW, and truncated mean WTP of 11,468 KRW, which represented the annual recreational values per a person visiting Daegu Arboretum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Daegu Arboretum created the annual environmental values which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6 to 19 billion KRW. The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that the valuation method for the environment of Daegu Arboretum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estimating the values of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goods by altering the locations or goods to be analy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번역하기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주한, "충청북도 미동산수목원의 자생 초본군락 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 33 (33): 48-59, 2005

      2 백동렬, "충남금강수목원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6 (6): 14-24, 2003

      3 강기래,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 측정" 한국조경학회 37 (37): 42-52, 2009

      4 표희동,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 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한국해양연구원 26 (26): 77-86, 2004

      5 강기래, "자연휴양림 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 38 (38): 25-36, 2010

      6 조 우, "인천광역시 수목원 조성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 31 (31): 96-107, 2003

      7 김상오, "완도 난대림 수목원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삼림군락구조" 한국임학회 91 (91): 781-792, 2002

      8 여호근, "실험적 가상가치평가법(CVM-X)을 이용한 녹차밭의 관광가치평가: 하동군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6 (16): 189-200, 2007

      9 강신구, "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8 (98): 703-711, 2009

      10 홍성권, "수목원 방문자들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 한국임학회 99 (99): 517-527, 2010

      1 유주한, "충청북도 미동산수목원의 자생 초본군락 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 33 (33): 48-59, 2005

      2 백동렬, "충남금강수목원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6 (6): 14-24, 2003

      3 강기래,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 측정" 한국조경학회 37 (37): 42-52, 2009

      4 표희동,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안면도 갯벌의 생태관광에 대한 경제적 가치추정" 한국해양연구원 26 (26): 77-86, 2004

      5 강기래, "자연휴양림 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 38 (38): 25-36, 2010

      6 조 우, "인천광역시 수목원 조성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 31 (31): 96-107, 2003

      7 김상오, "완도 난대림 수목원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삼림군락구조" 한국임학회 91 (91): 781-792, 2002

      8 여호근, "실험적 가상가치평가법(CVM-X)을 이용한 녹차밭의 관광가치평가: 하동군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6 (16): 189-200, 2007

      9 강신구, "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8 (98): 703-711, 2009

      10 홍성권, "수목원 방문자들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 한국임학회 99 (99): 517-527, 2010

      11 홍성권,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수목원의 경제가치 추정" 한국조경학회 37 (37): 1-11, 2010

      12 Hanemann,W.M,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Reply" 71 (71): 1989

      13 Jhanson, P.B.,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Comment" 71 : 1054-1055, 1989

      14 Hanemann,W.M,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71 (71): 1057-1061, 1984

      15 Lee, C.K., "Tourism in Applied Economics" Illshinsa 2003

      16 Davis, R.K.,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ic Study of the Maine Woods" Harvard University 1963

      17 Kevin, J.B., "Starting Point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Bidding Games" 61 (61): 188-, 1985

      18 Yim, Y.J, "On the Flowering Dates of the Woody Plant Species in the Hongneung Arboretum, Seoul" 1 (1): 17-43, 1977

      19 McConnell, K.E., "Models for Referendum Data :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18 : 19-34, 1990

      20 In-cheon City, "Master plan of Incheon-arboretum" 2003

      21 Roh, H.J., "Hangul by SPSS 10.0 statistical analysis and survey methods" Hyungsu Chulpansa 2001

      22 Shim, J.W., "Estimating the Value of the Classified School Park Project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Han Yang University 2008

      23 Kwon, O.S., "Environmental Economics" Bakyoungsa 1999

      24 Cameron, T. A,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69 : 269-276, 1987

      25 Bae, J.K., "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aksom at Chollipo Arboretum, Korea(1)" 13 (13): 109-117, 2000

      26 Kopp, R.J,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KLUWER ACADEMIC 1997

      27 Kopp, R.J.,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7

      28 Sung, S.W., "City Neighborhood estimates the value of neighborhood park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s(CVM)" Han Yang University

      29 Ciraicy-Wantrup, S.V.,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es" 29 : 1181-1196, 1947

      30 Ra,J.H, "Analysis of Biotop Structure in Daegok Botanical Garden Planning" 17 (17): 167-172, 1999

      31 Kim, B.J., "Analysis for Benefit Estimation of Environmental Valu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 In the case of the Mt. Bukhan National Park"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32 Mitchell, R.C, "An Experiment in Determining Willingness to pay for National Water Quality Improvement. Resources for the Futur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1

      33 Kim, T.K., "A Survey Design for Reducing Hypothetical Bias in the Contingent Valuation" 40 (40): 167-182, 1999

      34 Park, U.S., "A Analysis on the Valuation of Recreation Forest in the Nature Conservation Zone" Cheongju University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