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전기 후비의 생활공간과 의미 = The Living Space of Empresses(后妃) and the Meaning in the Early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려 전기 후비는 어디에 살았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고려의 후비는 정궁 밖의 궁(宮)·원(院)의 건물을 보유하며 궁주(宮主) 원주(院主)로 불렸다. 따라서 고려의 후비�...

      이 글은 ‘고려 전기 후비는 어디에 살았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고려의 후비는 정궁 밖의 궁(宮)·원(院)의 건물을 보유하며 궁주(宮主) 원주(院主)로 불렸다. 따라서 고려의 후비는 자신의 후비궁에서 살았는지, 정궁에서 살았는지 아니면 후비궁과 정궁 모두에서 살 수 있었는지 의문이 생겼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부왕(夫王) 생전과 사후로 구분하여 후비들의 생활공간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고려의 사회사 정치사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후비궁의 공간적 기능을 보여주는 사료를 한 데 모아, 후비궁의 공간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후비궁에서 후비의 출산, 왕자녀의 양육 그리고 왕비 책봉 의식이 거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들 기록만을 가지고 후비가 자신의 후비궁에 상주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후비는 출산 등을 위해 임시로 후비궁에 나갔던 것이다. 후비는 정궁 내 내전에 살았으며 특히 만령전(萬齡殿) 사례로 말미암아 후비는 국왕과 동일한 구역 내에 기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신왕(新王) 즉위 후 정치 세력에 변동이 생기는 것처럼, 정궁 내 후비들의 생활공간에도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 부왕 사후 태후가 되지 못한 후비들은 출궁하여 자신의 후비궁에 살았던 반면, 신왕의 친모는 태후의 지위에 올라 계속해서 정궁에 살 수 있었다. 그리고 태후가 살았던 거소(居所)가 『고려사』 「백관지 입전주부의 ‘입전(立殿)’ 조항임을 확인하였다.
      고려시대 혼인 풍속은 서류부가혼으로, 신부집에서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풍속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국왕의 아들과 딸을 외가에서 생장하게 하는 것은 외척 성장의 지름길이었다. 따라서 고려에서는 왕실과 외척, 공간적으로는 정궁과 외척집의 제3의 장소로서 후비궁이 존속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부왕 사후 태후가 되지 못한 후비는 자신의 후비궁에 나가 살았는데, 이는 고려에 일부종사와 같은 유교적 관념이 부재한 사회였기 때문으로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정궁 내 후비의 거소 변화는 고려 왕실혼에서 기인한 현상으로 이해된다. 고려의 왕실혼은 일부다처제로, 국왕 생전에 후비 내 차등이 명확하지 않다가 국왕 사후 태후로 높여지는 후비와 그렇지 않은 후비로 서열이 분명해진다. 이러한 고려의 후비제가 생활공간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부왕 생전 여러 후비들이 국왕과 동일한 구역에 기거하다가 부왕 사후 신왕의 친모만이 태후가 되어 독립 거소인 태후전을 설치하여 정궁 내에 살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Where did the empresses(后妃) of Early Goryeo live?’ The empresses of Goryeo were in possession of buildings such as palaces(宮) or courts(院) and were referred to as gungju(宮主) or wonju(院主). The...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Where did the empresses(后妃) of Early Goryeo live?’ The empresses of Goryeo were in possession of buildings such as palaces(宮) or courts(院) and were referred to as gungju(宮主) or wonju(院主). The palaces or courts owned by the empresses were buildings located outside the main palace. Therefore, the question that arose was whether the empresses of Goryeo lived in their empress palaces, the main palace, or both. To answer this query, we observed the living spaces of empresses before and after the deaths of their kings and went further to determine the social and political historic implications for Goryeo embedded in this.
      We first collected all the historical data in literature records that reveal the spatial functionality of empress palaces and made close observation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birth of empresses, nurturing of princes/princess, and queen proclamation ceremonies were performed in the empress pala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from such records that the empresses lived in their palaces. Instead, the empresses temporarily went to their empress palaces to give birth.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empresses lived in annexes of the king’s sleeping quarters inside the main palace, as in the case of Mallyeongjeon(萬齡殿).
      With the changes in political power when a king was succeeded also came changes in the living spaces of empresses inside the main palace. Empresses that could not become Empress Dowagers left the main palace to live in their empress palaces. Empresses that became Empress Dowagers as mothers of the new king were able to live in the empress quarters inside the main palace, which was confirmed to be the Ipjeon(立殿), or “entering into the quarter,” as recorded in 『Goryeosa(高麗史)』 「Baekguanji(百官志)」.
      The marriage custom during the Goryeo era was a matrilocal residence where the child was born and raised in the home of the wife. However, raising the sons and daughters of a king in the home of the wife would accelerate the growth of maternal relatives. Therefore, the empress palace acted as a third location between royalty and maternal relatives, and between the main palace and the maternal household from a spatial perspective. Empresses that failed to become Empress Dowagers would live in their empress palaces, which is understood to be because of a lack of Confucian concepts in the Goryeo society such as serving only a single husband.
      Finally, the change in the empresses’ living quarters inside the main palace was viewed as a phenomenon arising from Goryeo’s royal marriages. The royal marriage in Goryeo were polygamous events where the disparity between empresses was unclear until the death of the king, at which point there was a clear separation of empresses as some became Empress Dowagers and some did not. This empress system of Goryeo affected the living spaces where the empresses stayed in annexes of the king’s quarters, but only the mother of a new king was able to live in the main palace after establishing the empress quar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송요후, "혈분경(血盆經)의 기원과 사회 종교적 의미 : 한 중 일 삼국에서 그전파와 변용" 위더스북 2014

      3 洪亨沃, "한국 住居史" 민음사 1992

      4 신명호, "조선왕실의 책봉의례" 세창출판사 2016

      5 이강근, "조선시대의 궁궐 침전 용어에 대한 辨證" 백산학회 (110) : 201-230, 2018

      6 한희숙, "조선시대 선왕 후궁에 대한 처우와 궁가(宮家)의 변천" 한국여성사학회 (30) : 179-214, 2019

      7 신명호, "조선시대 宮中의 出産風俗과 宮中醫學" 한국고문서학회 21 : 199-226, 2002

      8 리화선, "조선건축사Ⅰ" 발언 1983

      9 "동문선"

      10 孫世寬,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2001

      1 "禮記"

      2 송요후, "혈분경(血盆經)의 기원과 사회 종교적 의미 : 한 중 일 삼국에서 그전파와 변용" 위더스북 2014

      3 洪亨沃, "한국 住居史" 민음사 1992

      4 신명호, "조선왕실의 책봉의례" 세창출판사 2016

      5 이강근, "조선시대의 궁궐 침전 용어에 대한 辨證" 백산학회 (110) : 201-230, 2018

      6 한희숙, "조선시대 선왕 후궁에 대한 처우와 궁가(宮家)의 변천" 한국여성사학회 (30) : 179-214, 2019

      7 신명호, "조선시대 宮中의 出産風俗과 宮中醫學" 한국고문서학회 21 : 199-226, 2002

      8 리화선, "조선건축사Ⅰ" 발언 1983

      9 "동문선"

      10 孫世寬,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2001

      11 채웅석,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학회 (38) : 335-372, 2014

      12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국학연구원 (189) : 31-57, 2019

      13 장지연, "고려의 황도 개경" 창작과 비평사 2002

      14 권순형,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혜안 2006

      15 이정란, "고려의 왕비: 내조자와 국모로서의 삶" 경인문화사 2015

      16 김아네스,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경인문화사 2019

      17 권순형, "고려시대 절부(節婦)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사학회 (27) : 167-192, 2017

      18 박은경, "고려시대 재가에 대한 검토-유교사상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26) : 111-140, 2017

      19 신수정, "고려시대 신정왕태후 황보씨의 위상 변화 - 왕실 근친혼과 관련하여 -" 한국여성사학회 (23) : 131-166, 2015

      20 이정란, "고려시대 后妃府에 대한 기초적 검토" 한국중세사학회 (20) : 55-94, 2006

      21 "고려사절요"

      22 "고려사"

      23 이종서, "고려·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 친족관계의 정형과 변동" 신구문화사 2009

      24 이혜옥, "고려 후비의 정치적 위상과 영향력에 대한 재조명" 한국역사연구회 (71) : 185-210, 2009

      25 이정란, "고려 전기 太后의 이념적 지위와 ‘太后權’의 근거" 한국사학회 (111) : 191-228, 2013

      26 남창근, "고려 본궐 만월대 주요전각 위치와 배치체계" 중앙문화재연구원 (32) : 105-140, 2020

      27 김창현,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경인문화사 2011

      28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시굴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29 박성진,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발굴조사의최신 조사성과" 서울학연구소 (63) : 1-18, 2016

      30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남국공동 발굴조사보고서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31 김창현, "高麗開京의 構造와 그 理念" 신서원 2002

      32 豊島悠果, "高麗王朝の儀礼と中国" 汲古書院 2017

      33 鄭容淑, "高麗王室族內婚硏究" 새문社 1998

      34 김영미, "高麗時代여성의 出家" 25·26 : 1999

      35 김기덕, "高麗時代封爵制硏究" 청년사 1998

      36 이정란, "高麗后妃의 號稱에 관한 考察" 2 : 1996

      37 朴性鳳, "高麗史의 諸問題, 上" 삼영사 1986

      38 남인국, "高麗中期政治勢力硏究" 신서원 1999

      39 "風俗通義"

      40 前間恭作, "開京宮殿簿" 26 : 1963

      41 范帅, "浅析宋代皇子的赐名,冠礼与出阁制度" (2) : 2015

      42 王子今, "汉代“乳舍”及相关问题的社会史考察" (4) : 2019

      43 陈豆豆, "明代宫廷诞育制度管窥— 以月子房为例" 6 : 2019

      44 김용선, "改訂版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學校아시아文化硏究所 1997

      45 天野ひろみ, "平安朝物語における皇子女の居住空間: 『源氏物語』を中心に" 54 : 2019

      46 山本一也, "平安京の住まい" 2007

      47 "宣和奉使高麗圖經"

      48 李貞德, "女人的中國醫療史: 漢唐之間的健康照顧與性別" 三民書局 2008

      49 谢元鲁, "唐代诸王和公主出阁制度考辨" (1) : 2010

      50 朱子彦, "后宮制度硏究" 華東師范大學出版社 1999

      51 "同人之文四六"

      52 "全唐文"

      53 方建新, "中国妇女通史, 宋代卷" 杭州出版社 2011

      54 허흥식, "『韓國金石文全文』 中世上" 서울亞細亞文化社 1984

      55 권순형,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 국사편찬위원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5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