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말선초 관음보살상 중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취하는 좌법으로 알려진 윤왕좌(輪王坐, Maharaja-lila 또는 Rajalilasana)를 취하고 있는 조각이 다수 확인된다. 기존의 불교조각사에서 제작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5319
2019
-
학술저널
181-200(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여말선초 관음보살상 중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취하는 좌법으로 알려진 윤왕좌(輪王坐, Maharaja-lila 또는 Rajalilasana)를 취하고 있는 조각이 다수 확인된다. 기존의 불교조각사에서 제작된 ...
여말선초 관음보살상 중에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취하는 좌법으로 알려진 윤왕좌(輪王坐, Maharaja-lila 또는 Rajalilasana)를 취하고 있는 조각이 다수 확인된다. 기존의 불교조각사에서 제작된 바 없는 작례로서 활발한 대외교섭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 관음신앙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윤왕좌를 취하고 있는 관음보살상의 도상을 살펴보면 보타락가산(補陀洛迦山)에 상주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는데, 중국 송대 제작된 수월관음보살의 모습에서 그 원류를 확인할 수 있다. 윤왕좌를 취하고 있는 관음보살상의 양식적 특징은 여말선초 불교조각의 양식사적 흐름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통일신라 양식을 기반으로 외래양식을 적절히 수용한 전통양식과 원·명대의 독특한 티베트계 양식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제작경향을 살펴보면 소형의 호지불상(護持佛象)이나 경상(鏡像)과 같은 휴대용 불교용구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어 독특하다. 이들은 제난구제(諸難救濟)나 안산(安産) 등 현세이익적인 원(願)이나 정토로 향하고 싶은 내세에 관한 염원을 담을 수 있는 대상으로서 이를 성취하고자 하는 강한 마음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ere is a bodhisattva with a distinctive posture called < The Bodhisattva seated in Maharaja-lila Asana(輪王坐) > that could not be seen in previous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This position k...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ere is a bodhisattva with a distinctive posture called < The Bodhisattva seated in Maharaja-lila Asana(輪王坐) > that could not be seen in previous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This position known as the Cakravartin’s posture is seated with one lap set upright and arm in same direction rests on it naturally, while the other lap sit crossedlegged on the floor and the same direction hand touches the bottom. This sculptures are frequently confirmed during Goryeo Dynasty because of two factors; active international interaction on the maritime route between Goryeo and Southeastern seaside of China and the prevalence of Bodhisattva belief(觀音信仰) in the Goryeo Dynasty.
This posture covers 70 pieces of sculpture and painting, and about 40 of them were produced intensive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After analyzing them, the iconic and stylistic features indicate that Avalokitesvara sitting at mountain potalaka(補陀洛山). Looking at the making tendency of these sculptu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small buddhist statue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quantity, and that specific Buddhist implements like the buddhist amulet and the bronze mirror make up the majority. And the areas where artifacts were excavated, the districts were important traffic hubs and were located under the influence of local magnates(土豪). These tendency indicates that they could understand and want to acquire the essence of supernatural power. This posture was applied intensively to buddhist sculptures. and became a major figure in paint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Монголын эртний нүүдэлчид, Хүннүгийн хадны зураг
Хүннүгийн адууны тоног хэрэгсэл ба тэрэ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