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ㆍ허가의제와 集中效  :  쟁점사안을 중심으로 =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ㆍPermission & Concentration Effect - A Point at Issue betwee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nd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행정의 팽창에 효율성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전자행정의 효율성이 그 하나이듯 행정단계면에서도 제도적으로 여러 認ㆍ許可의 요건을 갖추어야 할 때 그 절차적 과정을 통합하여 일거에 해결하려는 인ㆍ허가의제제도가 행정의 간소화와 민원처리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 바 크다.
      그와 궤를 같이 하는 제도가 집중효인데 곧 행정상 인ㆍ허가 단계는 바로 인ㆍ허가의제와 集中效라는 이름으로 종래부터 논의되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 그 개념들을 둘러싼 異同이나 효력문제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과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사이에서 인ㆍ허가의제 등 입법상 의제의 기법이 많이 등장하는데 현실적으로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사이에 견해가 대립되어 법제처 질의까지 거친 사안을 중심으로 법실천적 관점에서 풀어본다.
      사안의 대상조항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45조의 4 제1항 제6호와 관련하여, 동규정이 인ㆍ허가의제만을 규정한 것인지 아니면 ‘의제의 의제’를 규정한 것인지 아니면 集中效를 규정한 것인지 등에 관해서 견해가 갈릴 수 있고, 그 결론 여하에 따라 인ㆍ허가의제와 관련되는 국토계획법상 용도변경의 결정권한의 귀속도 달라지는 것이었다. 본고에서 문제삼은 사안의 경우는 인ㆍ허가의제로 보기보다는 사실은 集中效의 대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에서 예외없이 용도변경권은 당연히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인데도 적어도 위 사안의 경우에는 용도변경권한을 어느 정도 지식경제부장관이 행사하는 결과적 현상으로 볼 여지도 있었다. 결론은 그 사안에서의 용도변경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결정권을 갖는 것으로 귀결되었지만, 그것은 논쟁의 대상이었던 당해 조항(위 제6호)의 해석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으로 다른 조항이 용도변경권한은 명백히 인ㆍ허가의제나 集中效의 대상에서 배제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으로 남겨두고 있기 때문에 결론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인 것으로 귀결된 것이었다.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인지 인ㆍ허가의제를 규정한 조항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은 행정조직법정주의 내지 행정권한법정주의의 취지를 충분히 살리는 길이다. 또한 입법의 내용이 명확해야 한다는 것은 입법원칙상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모호한 규정을 둘 것이 아니라 학계에서 集中效와 인ㆍ허가의제가 논란이 되고 있으니만치 그 학설의 전개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별에 상응한 사려깊은 입법론이 요청되는 것이다.
      해석상 인ㆍ허가의제인지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인지 의문이 들 때에는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해석론적 방향도 충분히 감안한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은 행정기관 자체도 혼란을 겪을 뿐만 아니라 국민도 혼란스럽게 만들어 법적안정성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다. 최근 ‘입법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명확성의 원칙은 입법에 있어서의 빠질 수 없는 중추 개념이라 할 것이기에 더욱 명확성 확보에 비중을 두고 입법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행정의 팽창에 효율성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전자행정의 효율성이 그 하나이듯 행정단계면에서도 제도적으로 여러 認ㆍ許可의 요건을 갖추어야 할 때 그 절차적 과정을 통합하여 ...

      현대행정의 팽창에 효율성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전자행정의 효율성이 그 하나이듯 행정단계면에서도 제도적으로 여러 認ㆍ許可의 요건을 갖추어야 할 때 그 절차적 과정을 통합하여 일거에 해결하려는 인ㆍ허가의제제도가 행정의 간소화와 민원처리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 바 크다.
      그와 궤를 같이 하는 제도가 집중효인데 곧 행정상 인ㆍ허가 단계는 바로 인ㆍ허가의제와 集中效라는 이름으로 종래부터 논의되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 그 개념들을 둘러싼 異同이나 효력문제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과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사이에서 인ㆍ허가의제 등 입법상 의제의 기법이 많이 등장하는데 현실적으로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사이에 견해가 대립되어 법제처 질의까지 거친 사안을 중심으로 법실천적 관점에서 풀어본다.
      사안의 대상조항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45조의 4 제1항 제6호와 관련하여, 동규정이 인ㆍ허가의제만을 규정한 것인지 아니면 ‘의제의 의제’를 규정한 것인지 아니면 集中效를 규정한 것인지 등에 관해서 견해가 갈릴 수 있고, 그 결론 여하에 따라 인ㆍ허가의제와 관련되는 국토계획법상 용도변경의 결정권한의 귀속도 달라지는 것이었다. 본고에서 문제삼은 사안의 경우는 인ㆍ허가의제로 보기보다는 사실은 集中效의 대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에서 예외없이 용도변경권은 당연히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인데도 적어도 위 사안의 경우에는 용도변경권한을 어느 정도 지식경제부장관이 행사하는 결과적 현상으로 볼 여지도 있었다. 결론은 그 사안에서의 용도변경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결정권을 갖는 것으로 귀결되었지만, 그것은 논쟁의 대상이었던 당해 조항(위 제6호)의 해석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으로 다른 조항이 용도변경권한은 명백히 인ㆍ허가의제나 集中效의 대상에서 배제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으로 남겨두고 있기 때문에 결론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소관인 것으로 귀결된 것이었다.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인지 인ㆍ허가의제를 규정한 조항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은 행정조직법정주의 내지 행정권한법정주의의 취지를 충분히 살리는 길이다. 또한 입법의 내용이 명확해야 한다는 것은 입법원칙상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모호한 규정을 둘 것이 아니라 학계에서 集中效와 인ㆍ허가의제가 논란이 되고 있으니만치 그 학설의 전개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별에 상응한 사려깊은 입법론이 요청되는 것이다.
      해석상 인ㆍ허가의제인지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인지 의문이 들 때에는 集中效를 규정한 조항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해석론적 방향도 충분히 감안한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은 행정기관 자체도 혼란을 겪을 뿐만 아니라 국민도 혼란스럽게 만들어 법적안정성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다. 최근 ‘입법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명확성의 원칙은 입법에 있어서의 빠질 수 없는 중추 개념이라 할 것이기에 더욱 명확성 확보에 비중을 두고 입법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so much in quantity and has coped with the problems by electromagnet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at,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to mitigate mutual contradiction and extravagance has appeared as a legal system and has led to the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and the effectivity of treating public grievance
      If there were many steps to get to the final purpose, it would be very uncertain to be able to carry out the project. If just the procedure which is united into one could cope with the undertaking of the project, the undertaker would be able to save the useless efforts
      Tradionally, there has been two issues which are called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and concentration effect. But there are so much contradictory issues about them and we can see only some fragmentary debates.
      In this point, in connection with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rticle 45-4 (1) 6. A Point at Issue betwee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nd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has been treated by which the return of administrative powers are determined.
      It is not fixed whether the true meaning of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rticle 45-4 (1) 6. means only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or means fiction of legal fiction or Concentration effect. But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at, the owner of authorized administrative power is fixed.
      However, The owner of the administrative power of change of land purpos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is determined to be the Minister of Department of Land & Sea.
      It is not because of the clarity of the legal provisions bu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legal article which excludes the administrative power of change of land purpose.
      It is demand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and concentration effect should appear clear on the concerned legal provisions. If not so, it would shake legal stability and make all confusing.
      번역하기

      Modern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so much in quantity and has coped with the problems by electromagnet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at,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to mitigate mutual contradiction and extravagance has a...

      Modern administration has increased so much in quantity and has coped with the problems by electromagnet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at,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to mitigate mutual contradiction and extravagance has appeared as a legal system and has led to the administrative simplification and the effectivity of treating public grievance
      If there were many steps to get to the final purpose, it would be very uncertain to be able to carry out the project. If just the procedure which is united into one could cope with the undertaking of the project, the undertaker would be able to save the useless efforts
      Tradionally, there has been two issues which are called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and concentration effect. But there are so much contradictory issues about them and we can see only some fragmentary debates.
      In this point, in connection with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rticle 45-4 (1) 6. A Point at Issue betwee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nd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has been treated by which the return of administrative powers are determined.
      It is not fixed whether the true meaning of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rticle 45-4 (1) 6. means only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or means fiction of legal fiction or Concentration effect. But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at, the owner of authorized administrative power is fixed.
      However, The owner of the administrative power of change of land purpos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is determined to be the Minister of Department of Land & Sea.
      It is not because of the clarity of the legal provisions bu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legal article which excludes the administrative power of change of land purpose.
      It is demand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permission and concentration effect should appear clear on the concerned legal provisions. If not so, it would shake legal stability and make all confu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論議現況과 事案整理
      • Ⅲ. 認ㆍ許可의제의 意義
      • Ⅳ. 集中效의 適用問題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論議現況과 事案整理
      • Ⅲ. 認ㆍ許可의제의 意義
      • Ⅳ. 集中效의 適用問題
      • Ⅴ. 事案에의 具體的 適用
      • Ⅵ. 맺음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선, "행정법특강(9판)" 박영사 2010

      2 박균성, "행정법강의(제7판)" 박영사 2010

      3 김재호, "행정계획론 소고" 18 (18): 2007

      4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9

      5 정형근, "집중효가 발생하는 건축신고에 관한 법률적 검토" 법학연구소 34 (34): 279-295, 2010

      6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04

      7 박균성, "인ㆍ허가의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6) : 33-57, 2010

      8 선정원, "인ㆍ허가의제와 심사촉진" 2009

      9 김재광, "사회갈등시설법론" 한국학술정보 2007

      10 한귀현, "독일행정법상의 집중효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6) : 249-276, 2004

      1 홍정선, "행정법특강(9판)" 박영사 2010

      2 박균성, "행정법강의(제7판)" 박영사 2010

      3 김재호, "행정계획론 소고" 18 (18): 2007

      4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9

      5 정형근, "집중효가 발생하는 건축신고에 관한 법률적 검토" 법학연구소 34 (34): 279-295, 2010

      6 김성수, "일반행정법" 법문사 2004

      7 박균성, "인ㆍ허가의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6) : 33-57, 2010

      8 선정원, "인ㆍ허가의제와 심사촉진" 2009

      9 김재광, "사회갈등시설법론" 한국학술정보 2007

      10 한귀현, "독일행정법상의 집중효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6) : 249-276, 2004

      11 박종국, "독일법상의 계획확정결정의 集中效" 法制處 (555) : 2004

      12 김종보, "건축허가에 존재하는 재량문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 : 1998

      13 남대하, "集中效가 발생하는 건축법상 건축신고에 관한 고찰" 大邱判例硏究會 17 : 2008

      14 山田洋, "計劃確定決定の集中效 : 西ドイツ行政手續法の現狀と課題" 有斐閣 中 : 1990

      15 金載光, "行政法上 集中效制度의 檢討" 韓國土地公法學會 9 : 2000

      16 徐元宇, "大規模施設計劃確定節次의 集中效 : 독일에서의 論議를 중심으로" 考試硏究社 11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