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motional Regulation and Resili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0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개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사전검사의 점수차가 가장 적은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주 2회, 4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 고학년용 정서조절능력 척도와 탄력성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 아동에게 학급 단위로 실시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적·행동적·체험적 수준을 모두 포함하고 탄력성 변인을 반영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초등 상담에서 학급 단위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개 학...

      본 연구는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개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사전검사의 점수차가 가장 적은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주 2회, 4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 고학년용 정서조절능력 척도와 탄력성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 아동에게 학급 단위로 실시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적·행동적·체험적 수준을 모두 포함하고 탄력성 변인을 반영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초등 상담에서 학급 단위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 of the 4 6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metro city, one clas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with the lowest pre-test score difference as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10 40-minute sessions.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lassroom-based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classroom-based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implements activities including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 component of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resili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 of the 4 6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 of the 4 6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metro city, one clas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with the lowest pre-test score difference as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10 40-minute sessions.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lassroom-based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classroom-based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implements activities including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 component of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resil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2018

      2 이재규, "학교에서의 집단상담" 교육과학사 2005

      3 변창진, "프로그램개발" 홍익출판사 1994

      4 장용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조절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81-198, 2017

      5 전미래,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145-165, 2017

      6 김교헌,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113-126, 2005

      7 조붕환,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1, 2006

      8 이혜미,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경험과 분노수준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359-379, 2015

      9 이미경, "초등학생 부모-자녀 관계 척도개발" 한국상담학회 12 (12): 997-1017, 2011

      10 강민정,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61-76, 2016

      1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2018

      2 이재규, "학교에서의 집단상담" 교육과학사 2005

      3 변창진, "프로그램개발" 홍익출판사 1994

      4 장용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조절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81-198, 2017

      5 전미래,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145-165, 2017

      6 김교헌,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113-126, 2005

      7 조붕환,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1, 2006

      8 이혜미,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경험과 분노수준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359-379, 2015

      9 이미경, "초등학생 부모-자녀 관계 척도개발" 한국상담학회 12 (12): 997-1017, 2011

      10 강민정,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61-76, 2016

      11 윤정훈,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117-134, 2017

      12 오영숙,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우미혜,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7 (17): 151-167, 2016

      14 박정희,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279-303, 2008

      15 이원진,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 16 : 69-83, 2012

      16 김형태,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8

      17 정종진, "제대로 알고 대처하는 학교폭력 상담" 학지사 2012

      18 김미선,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Elliott, R., "정서중심치료의 이해: 변화를 위한 과정-경험적 접근[Learning Emotion-focused Therapy: The Process-experiential Approach to Change]" 학지사 2013

      20 김영근,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상담학회 18 (18): 225-248, 2017

      21 오수현,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초기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격성·스트레스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 : 지원형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22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709-727, 2010

      23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24 이아영, "정서조절 프로그램이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519-536, 2015

      25 이봉은,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외상 경험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2018

      26 강소연,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5

      27 남성희,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15

      28 최은실,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9 최은실,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6 (26): 17-39, 2013

      30 Kalat, J. W., "정서심리학[Emotion]" 시그마프레스 2007

      31 곽윤정, "정서 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2 김은희,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박은혜,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623-640, 2016

      34 박원주,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17-141, 2016

      35 이선영,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6 박병기,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61-82, 2010

      37 황혜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20 (20): 139-151, 1999

      38 황해익,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낙관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3-346, 2014

      39 김상옥, "아동의 또래 간 의사소통, 우울감 및 자아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213-230, 2018

      40 주소영, "아동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등학교 4-6학년용" 한국아동학회 28 (28): 91-113, 2007

      41 김소영,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2 (12): 1097-1108, 2011

      42 강은아,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2017

      43 곽호완,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2008

      44 정다운,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초등학생의 사회기술과 정서 인식 및 표현에 초점을 맞춘 인지 행동적 치료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321-344, 2015

      45 나옥희, "비폭력대화와 감정코칭을 통합한 청소년 정서조절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2017

      46 김유미,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안정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14 : 1-25, 2007

      47 손경숙,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8 박명심,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2008

      49 김수정, "가출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409-439, 2007

      50 Cicchetti, 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8, 1991

      51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52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9): 185-211, 1990

      53 Mayer, J.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Harper Collins 3-34, 1997

      54 Greenberg, L. S.,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55 Salovey, P.,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5-154, 1995

      56 Garmezy, N., "Acute reactions to stress" 2 : 152-176, 1985

      57 통계청, "2017 청소년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