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고통이 없는 것을 행복이라고 여기는 우리 시대의 행복관을 비판적 으로 보고 상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본고는 서구 종교사상과 철학에서 몸의 고통 담론이 변화하는 것을 사상사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19822
최정화 (원광대학교)
2014
-
고통 ; 몸 ; 중세 신비주의 ; 하인리히 소이세 ; Pain ; Body ; Medieval Mysticism ; Heinrich Seuse
100
KCI등재
학술저널
153-181(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몸의 고통이 없는 것을 행복이라고 여기는 우리 시대의 행복관을 비판적 으로 보고 상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본고는 서구 종교사상과 철학에서 몸의 고통 담론이 변화하는 것을 사상사적...
몸의 고통이 없는 것을 행복이라고 여기는 우리 시대의 행복관을 비판적
으로 보고 상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본고는 서구 종교사상과 철학에서 몸의 고통
담론이 변화하는 것을 사상사적으로 추적해 보고자 한다. 서구 사상의 뿌리인 그리
스도교 사상과, 그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현대 철학에서 몸의 고통에 대한 의미
의 변화지점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고통 담론들을 다루어 본다.
구약 성경의 욥기와 중세 신비주의 사상가 하인리히 소이세(Heinrich Seuse)를 통
해서 그리스도교 전통 내에서 중세기에 들어가면서 고통이 종교적으로 긍정되는 현
상을 살펴보겠다. 그러한 그리스도교적 고통 담론에 대한 유보적 비판자로서의 프
리드리히 니체의 금욕주의적 고행에 대한 비판지점을 검토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
스 게오르그 가다머를 통해서 현대의 지성적인 고통 이해 방식을 모색해 본다. 고
통에 대한 정신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는, 몸을 미적이고 물질적인 대상으로 축소시
키는 현대의 몸 이해를 비판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가 된다. 이러한 사고는 고통
의 치유 문제를 다룸에 있어 의학과 더불어 종교적 통찰과 철학적 사고가 어우러
져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몸의 고통을 치유할 때 단순히 통증을 없애는 것을 넘
어서서, 고통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문화적이나 실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간학
적 틀에서 접근하기를 희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기, "큰 이성으로서의 몸과 니체의 유물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68 : 341-376, 2010
2 정달용, "중세독일 신비사상" 분도 2007
3 Sampedro, R., "죽음은 내게 주어진 마지막 자유였다" 지식의 숲 2006
4 박승찬, "인간 고통의 의미. 그리스도교의 고통 이해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창간) : 159-189, 2000
5 강영옥, "우리말 철학사전 5" 지식산업사 61-79, 2007
6 하경택, "욥과 욥기의 문제: 욥기의 연구사에 관한 소고" 한국기독교학회 (31) : 47-76, 2004
7 Eliade, M., "영원회귀의 신화. 원형과 반복" 이학사 2003
8 Eckhart, M., "연대별로 읽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선집" 누멘 2009
9 Wilber, K.,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기. 세계적 지성 켄 윌버와 아내 트레야의 죽음을 초월한 러브스토리" 한언 2006
10 Geertz, C., "문화의 해석" 까치 2009
1 김종기, "큰 이성으로서의 몸과 니체의 유물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68 : 341-376, 2010
2 정달용, "중세독일 신비사상" 분도 2007
3 Sampedro, R., "죽음은 내게 주어진 마지막 자유였다" 지식의 숲 2006
4 박승찬, "인간 고통의 의미. 그리스도교의 고통 이해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창간) : 159-189, 2000
5 강영옥, "우리말 철학사전 5" 지식산업사 61-79, 2007
6 하경택, "욥과 욥기의 문제: 욥기의 연구사에 관한 소고" 한국기독교학회 (31) : 47-76, 2004
7 Eliade, M., "영원회귀의 신화. 원형과 반복" 이학사 2003
8 Eckhart, M., "연대별로 읽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선집" 누멘 2009
9 Wilber, K.,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기. 세계적 지성 켄 윌버와 아내 트레야의 죽음을 초월한 러브스토리" 한언 2006
10 Geertz, C., "문화의 해석" 까치 2009
11 임홍빈, "몸과 이성, 자아:『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한 해석" 한국니체학회 (10) : 175-194, 2006
12 길희성,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영성 사상" 분도 2003
13 Inge, W, "독일 신비주의 선집: 에크하르트, 타울러, 수소, 루이스브뤼크" 누멘 2010
14 Nietzsche F., "니체전집 13" 책세상 2002
15 김정현, "니체의 몸 철학" 문학과현실사 2000
16 Nietzsche F., "니체 전집 14" 책세상 2002
17 나종근, "꾸란. 천여 년을 이어 온 알라의 음성" 시공사 2003
18 손희송, "그리스도교의 고통 이해" 신학과 사상학회 19 : 75-97, 1997
19 박승찬, "괴로움, 어디서 오는가" 운주사 141-194, 2013
20 대한성서공회, "공동번역성서 개정판"
21 Gadamer, H. G., "고통 - 의학적, 철학적, 치유적 관점에서 본 고통" 철학과현실사 2005
22 이노우에 요시야스, "건강의 배신. 건강불안과 과잉의료의 시대 의료화 사회의 정체성을 묻다" 돌베개 2014
23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욥기』 구약성서 새 번역 3"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24 최정화, "‘르상티망(Ressentiment)’과 그리스도교적 윤리에 대한 재고" 원불교사상연구원 0 (0): 281-329, 2014
25 최정화, "‘두려운 힘’으로서의 신에 대한 경외 ―욥의 종교 경험―" 신학과사상학회 (73) : 249-285, 2014
26 Seuse, H., "Heinrich Seuses deutsche Schriften. Zweiter Band" Jena 1922
27 Beling M., "Der Körper als Text: die Versprachlichung religiöser Erfahrung bei Meister Eckhart und Heinrich Seuse" Münster 2006
28 King, U.,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New Jersey 2001
29 Abramović, M., "7 easy pieces" New York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1-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1 | 1.274 | 0.32 |
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