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7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보조기기 영역에 따른 효과성 평가 요소, 평가 요소별 평가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RISS, KISS, DBpia를 이용하여 2013년부터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출판된 보조기기 적용의 효과성을 평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3,533편의 문헌 중 선정 기준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 13편의 문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의 요소는 활동과 참여, 만족도, 삶의 질, 심리사회적 영향, 보호자 부담, 기타 등이었고 활동 과 참여, 만족도는 모든 보조기기 유형에 사용되었으나 다른 요소들은 보조기기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총 6개 평가 요소에 19개의 평가 도구가 조사되었는데 활동과 참여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가 가장 많았고, 만족도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 삶의 질과 기타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 순이었다. 평가 도구 중 47.4%는 보조기기 분야에서 사 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QUEST 2.0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연구 결과 적용하는 보조기기 유형별 적합한 효과성 평가 요소와 평가 도구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보 조기기 유형별 효과성 평가의 요소와 평가 도구 선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보조기기 영역에 따른 효과성 평가 요소, 평가 요소별 평가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oogle Scholar, ...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보조기기 영역에 따른 효과성 평가 요소, 평가 요소별 평가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RISS, KISS, DBpia를 이용하여 2013년부터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출판된 보조기기 적용의 효과성을 평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3,533편의 문헌 중 선정 기준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 13편의 문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기기 효과성 평가의 요소는 활동과 참여, 만족도, 삶의 질, 심리사회적 영향, 보호자 부담, 기타 등이었고 활동 과 참여, 만족도는 모든 보조기기 유형에 사용되었으나 다른 요소들은 보조기기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총 6개 평가 요소에 19개의 평가 도구가 조사되었는데 활동과 참여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가 가장 많았고, 만족도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 삶의 질과 기타 요소에 해당하는 평가 도구 순이었다. 평가 도구 중 47.4%는 보조기기 분야에서 사 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QUEST 2.0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연구 결과 적용하는 보조기기 유형별 적합한 효과성 평가 요소와 평가 도구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보 조기기 유형별 효과성 평가의 요소와 평가 도구 선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factors and tool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effectiveness evaluation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pplication using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RISS, KISS, and DBpia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3. Among the 3,533 documents initially searched, 13 final docu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Element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effectiveness assessment included activit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impact, caregiver burden, and others. Activit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used for all types of auxiliary engineering devices, but other fact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 total of 19 assessment tools were investigated for 6 assessment factors, with the largest number being assessment tools corresponding to activity and participation factors. 47.4% of th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for use in the assistive device field, and the most used was QUEST 2.0.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ppropriate effectiveness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tools for each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pplied, and this can be used as data for selecting factors and evaluation tools for effectiveness assessment by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factors and tool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effectiveness evaluation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of ass...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factors and tool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effectiveness evaluation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pplication using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RISS, KISS, and DBpia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3. Among the 3,533 documents initially searched, 13 final docu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Element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effectiveness assessment included activit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impact, caregiver burden, and others. Activit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used for all types of auxiliary engineering devices, but other fact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 total of 19 assessment tools were investigated for 6 assessment factors, with the largest number being assessment tools corresponding to activity and participation factors. 47.4% of th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for use in the assistive device field, and the most used was QUEST 2.0.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ppropriate effectiveness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tools for each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pplied, and this can be used as data for selecting factors and evaluation tools for effectiveness assessment by typ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문헌 검색
      • 2. 자료 수집 과정 및 선정
      • 3. 질적 수준 평가
      • I.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문헌 검색
      • 2. 자료 수집 과정 및 선정
      • 3. 질적 수준 평가
      • 4. 분석 방법
      • Ⅲ. 연구 결과
      • 1. 연구의 질적 수준 평가
      • 2. 적용된 보조기기 유형
      • 3. 보조기기 유형별 효과성 평가 요소
      • 4. 평가 요소별 평가 도구
      • Ⅳ. 고 찰
      • Ⅴ. 결 론
      • Acknowledgement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