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 생활문화축제의 참여 활성화 제고 방안 연구: 우쿨렐레 생활문화동호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ving Culture Festivals: Focusing on the Ukulele Community Based Cultural Clu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9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남시를 중심으로 활동 중인 우쿨렐레 생활문화동호회를 사례로 하여, 지역 생활문화축제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설문조사와 동호회 리더 8인 및 관련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한 정성적 심층면접을 통해 혼합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쿨렐레는 접근성과 친밀감, 공동체 형성 측면에서 생활문화축제의 주제 장르로서 높은 적합성을 보였으며, 응답자들은 공연·체험·교류가 결합된 복합형 축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경쟁보다는 협력과 경험 중심의 프로그램 구성을 원하며, 기획 단계에서 주민 의견 반영과 축제 이후의 지속 가능한 활동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조사에서는 동호회 활동의 안정성을 위한 공간·강사·예산 지원과 동호회 간 네트워크 구축, 민관 협력형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 장르 기반의 생활문화축제가 지역 공동체 형성과 문화적 자립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지역과 장르를 아우르는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남시를 중심으로 활동 중인 우쿨렐레 생활문화동호회를 사례로 하여, 지역 생활문화축제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

      본 연구는 성남시를 중심으로 활동 중인 우쿨렐레 생활문화동호회를 사례로 하여, 지역 생활문화축제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설문조사와 동호회 리더 8인 및 관련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한 정성적 심층면접을 통해 혼합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쿨렐레는 접근성과 친밀감, 공동체 형성 측면에서 생활문화축제의 주제 장르로서 높은 적합성을 보였으며, 응답자들은 공연·체험·교류가 결합된 복합형 축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경쟁보다는 협력과 경험 중심의 프로그램 구성을 원하며, 기획 단계에서 주민 의견 반영과 축제 이후의 지속 가능한 활동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조사에서는 동호회 활동의 안정성을 위한 공간·강사·예산 지원과 동호회 간 네트워크 구축, 민관 협력형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 장르 기반의 생활문화축제가 지역 공동체 형성과 문화적 자립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지역과 장르를 아우르는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promo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festivals by examining ukulele-based cultural clubs actively operating in Seongnam, Korea.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nsisting of a quantitative survey of 300 residents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club leaders and six exper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kulele possesses high suitability as a thematic genre for community festivals due to its accessibility, familiarity, and potential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Respondents preferred composite-type festivals that integrate performances, participatory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exchange over competition-oriented formats. There was also a shared perception of the need to incorporate resident input during the planning stage and to ensure institutional support for sustainable post-festival activities. Qualitative findings fur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hearsal spaces, instructor fees, budget support, and inter-club networking, along with a collaborative governance structure involving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citizens. This study suggests that single-genre-based cultural festival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building cultural autonomy and local ident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es across regions and genr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promo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festivals by examining ukulele-based cultural clubs actively operating in Seongnam, Korea.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nsisting of a quantitativ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promo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festivals by examining ukulele-based cultural clubs actively operating in Seongnam, Korea.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nsisting of a quantitative survey of 300 residents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club leaders and six exper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kulele possesses high suitability as a thematic genre for community festivals due to its accessibility, familiarity, and potential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Respondents preferred composite-type festivals that integrate performances, participatory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exchange over competition-oriented formats. There was also a shared perception of the need to incorporate resident input during the planning stage and to ensure institutional support for sustainable post-festival activities. Qualitative findings fur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hearsal spaces, instructor fees, budget support, and inter-club networking, along with a collaborative governance structure involving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citizens. This study suggests that single-genre-based cultural festival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building cultural autonomy and local ident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es across regions and genr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