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율경,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93-, 2005
2 기상청, "한국기후표."
3 안영희,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 조건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4 송종석, "안동부근 낙동강 본류 일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예비조사" 11 : 107-117, 2000
5 송종석, "안동댐 건설에 의한 식생변화와 그 요인" 15 : 411-431, 1992
6 송종석, "안동 임하댐 일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16 : 439-457, 1993
7 조광진,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 28 (28): 15-23, 2005
8 이율경, "둑중개 서식지의 하천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390-399, 2007
9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791-, 1989
10 송종석, "낙동강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5 : 104-117, 2001
1 이율경,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93-, 2005
2 기상청, "한국기후표."
3 안영희,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 조건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4 송종석, "안동부근 낙동강 본류 일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예비조사" 11 : 107-117, 2000
5 송종석, "안동댐 건설에 의한 식생변화와 그 요인" 15 : 411-431, 1992
6 송종석, "안동 임하댐 일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16 : 439-457, 1993
7 조광진,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 28 (28): 15-23, 2005
8 이율경, "둑중개 서식지의 하천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390-399, 2007
9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791-, 1989
10 송종석, "낙동강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5 : 104-117, 2001
11 송종석, "낙동강 상류 한천 일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9 : 431-451, 1996
12 송종석, "낙동강 상류 검암습지의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4 : 32-44, 2004
13 정흥락, "금호강(대구, 경북) 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19 : 239-247, 2001
14 안영희,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15 奧田重俊, "關東平野における河邊植生の植物社會學的硏究" 4 : 43-112, 1978
16 新山馨, "石狩川に沿ったヤナギ科植物の分布と生育地の 土壤の土性" 37 : 163-174, 1987
17 藤原陸夫, "千曲川中流域の河邊植生- 現狀と 保全" 6 : 1-22, 2003
18 Ohno, K., "Vegetation-geographic evaluation of the syntaxonomic system of valley bottom forests occurring in the cooltemperate zone of the Japanese Archipelago" Ecology of Riparian Forests in Japan, Springer
19 Maarel, E. van der,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39 : 97-114, 1979
20 Miwayaki, A., "Pflanzensoziologische Untersuchungen über die Auen-Vegetation des Flusses Tama bei Tokyo, mit einer Vergleichenden Betrachtung über die Vegetation des Flusses Tone" 24 : 229-311, 1972
21 Dierschke, H., "Pflanzensoziologie, Grundlagen und Methoden" Ulmer, Stuttgart 683-, 1994
22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Aufl. Springer, Wien. 865-, 1964
23 Kovach Computing Services, "MVSP(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version 2.2 Users' Manual"
24 Weber, H. E., "International Code of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11 : 739-768, 2000
25 Kim, J.-U.,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of Forest Vegetation of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31 : 33-39, 1988
26 Barkman, J.J.,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67 : 145-195,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