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 On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in Balha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the Balhae(Bohai) fortresses in Northeast China and in Primorye-Priamurye, there ar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nd then repaired or re-built in the Liao-Jin period. In this regard, there were ...

      Among the Balhae(Bohai) fortresses in Northeast China and in Primorye-Priamurye, there ar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nd then repaired or re-built in the Liao-Jin period. In this regard, there were not a few cases when the fortresses, which have clear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Liao-Jin period, were represented as Balhae ones. Because of this, mistakes in systematization of the Balhae fortresses and in locating the centers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districts and counties of Balhae are inevitabl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were studying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of Balhae, on the basis of excavated Balhae fortress walls, because the author of the article considers that the basis for studying the Balhae fortresses is the identification of features of fortresses which were exactly built in Balhae period. For the present, there are known 18 Balhae fortresses which fortress walls excavations’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5 more Balhae fortresses were taken into account, where the profile of fortress walls was met during the field studies.
      The Balhae fortresses, whose profile of walls have been studie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construction: built before Balhae then re-built in Balhae and after Balhae no used more(Sinelnikovo 1),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only during Balhae(Upper capital, Xigucheng, Baliancheng, Xingnonggucheng, Nikolaevka 1, Nikolaevka 2, Starorechenskoe, Kraskino),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mainly before the Jin period(Koksharovka 1, Okrainka, Smolnoye),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up to the Jin period(Sumicheng, Marianovka, Novogordeevka, Izvestkovaya Sopka), and built by Malgal tribes during Balhae (fortresses of the northeast coast of Primorye Jeegitovka, Krasnoe Ozero).
      The fortress walls built or re-built during Balhae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and structure are divided under: entirely earth, earth with stone facing, earth with stones, entirely stone, stone with earth filling inside, stone with earth under, wooden pal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was studied, and we distinguished in it the prepared base, the fundamental part, the central-internal part and the side-protection walls.
      Fortress walls of the Liao-Jin period built mostly of earth. The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is typical for the Liao-Jin period, most of all built of the earth of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composition as the layered siruttok walls. But the Balhae walls in most cases are built of the earth of almost the similar or small different color and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layers is not even, and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but are replaced by other layers in the middle. However, during Dongxia state of Jin period we can see walls of earth with stone facing, stone walls and walls of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where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very rarely, but their general character differs from the Balhae ones. In addition, although in this paper we do not touch on this, planimetric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also differ from the Liao-Jin ones.
      Consequently, up to now the fortresses of Liao-Jing have been studied as Balhae ones, so in the future a cautious study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아무르지역에 분포하는 발해의 성들 중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도 있고, 발해 때에 축조된 다음 이후 요·금대에 수축이나 증축을 거쳐 계속해서 사용�...

      중국 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아무르지역에 분포하는 발해의 성들 중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도 있고, 발해 때에 축조된 다음 이후 요·금대에 수축이나 증축을 거쳐 계속해서 사용된 것들도 있다. 그 결과 외견상 요·금대의 특징을 가진 성들도 여러 가지 이유로 발해의 성으로 소개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발해 성곽의 일반적인 특성 도출과 나아가 발해 부(府), 주(州), 현(縣)의 치소성 비정 등에서 오류가 없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가 된 발해성벽들을 중심으로 발해성벽의 축조방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을 논의의 중심에 둔 것은 발해 때에 쌓은 것이 분명한 성벽들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발해성곽 연구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되고 그 내용이 보고된 발해성은 모두 18개소로 집계된다. 이 자료들 이외에도 답사를 통해 성벽 단면이 확인된 5개소의 발해성도 함께 참고하였다.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된 발해의 성들은 축조 시기 혹은 주체로 볼 때에 발해 이전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 증축되고 발해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시넬니꼬보 1산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만 사용된 것(상경성, 서고성, 팔련성, 흥농고성, 니꼴라예브까 1성, 니꼴라예브까 2성, 스따로레첸스꼬예 성, 끄라스끼노 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주로 금대 이전까지 사용된 것(꼭샤로브까 1성, 오끄라인까 성, 스몰노예 성), 발해 때에 초축되고 금대에도 사용된 것(소밀성, 마리야노브까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이즈베스뜨꼬바야 소쁘까 성), 그리고 발해시기 말갈계통 부족들이 축조한 것(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지기또브까 성과 끄라스노예 오제로성)으로 구분된다.
      발해 때에 축조한 혹은 증축한, 다시 말해서 발해 때에 쌓은 성벽은 축조재료와 세부구성 양상에 따라 전체 토축성벽, 토축즙석성벽, 토축혼석성벽, 전체 석축성벽, 토심석축성벽, 하토석축성벽, 그리고 목책성벽으로 구분하였다. 그 외에도 발해의 성벽을 지반정지부, 기초부, 중심부, 측면보호벽으로 구분하여서도 검토해 보았다.
      요·금대의 성벽은 대부분이 전체 토축성벽이다. 판축다짐은 요·금대 성벽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색깔과 성분의 토층을 거의 매번 되풀이하여 시루떡모양으로 정연하게 쌓았다. 이에 반해 발해의 판축다짐성벽은 대부분 비슷한 혹은 약간 차이가 나는 색깔과 성분의 토층들을 일정 높이 반복적으로 쌓아 올렸다는 점, 토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점, 토층이 양단까지 계속 이어진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다른 토층들로 대체된다는 점 등이 차이를 보인다. 다만 금대 동하국 시기의 성벽 중에는 토축즙석성벽, 석축성벽, 토층이 중간에 다른 토층과 대체되는 판축다짐성벽도 예외적으로 확인되고는 있지만 전반적 특징이 발해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도 본고에서는 논의하지 않았지만 성의 평면적 특징과 성벽부속시설도 발해와 요·금대 성들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발해 성곽연구에 요·금대의 성들이 포함되곤 하였는데 앞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성벽 단면이 조사된 발해의 성들
      • Ⅲ. 발해 성벽축조의 특징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성벽 단면이 조사된 발해의 성들
      • Ⅲ. 발해 성벽축조의 특징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 축조기법에 대한 검토" (25) : 2014

      2 디야꼬바 O.V., "중부 시호테-알린의 군사건축" 2009

      3 니끼친 Yu.G., "이즈베스또꼬바야 소쁘까 성 조사 결과들" (3) : 2015

      4 이혁희,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성곽" 국립중앙박물관 2016

      5 사끄마로프 S.A., "오끄라인까 성 예비조사 결과" (4) : 2016

      6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콕샤로프카-1 평지성Ⅰ" 2012

      7 아르쩨미예바 N.G., "연해주의 중세 유적들 제1호" 2012

      8 샤브구노프 V.E., "연해주의 스몰이노 문화 유적들(스몰노예 성과 샤이가-레두뜨 성 발굴 자료를 통해)" (4) : 2015

      9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발해유적Ⅰ" 2007

      10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콕샤로프카 유적: 콕샤로프카-1 평지성, 콕샤로프카-8 석축구조물" 2015

      1 심정보, "증평 이성산성 축조기법에 대한 검토" (25) : 2014

      2 디야꼬바 O.V., "중부 시호테-알린의 군사건축" 2009

      3 니끼친 Yu.G., "이즈베스또꼬바야 소쁘까 성 조사 결과들" (3) : 2015

      4 이혁희,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성곽" 국립중앙박물관 2016

      5 사끄마로프 S.A., "오끄라인까 성 예비조사 결과" (4) : 2016

      6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콕샤로프카-1 평지성Ⅰ" 2012

      7 아르쩨미예바 N.G., "연해주의 중세 유적들 제1호" 2012

      8 샤브구노프 V.E., "연해주의 스몰이노 문화 유적들(스몰노예 성과 샤이가-레두뜨 성 발굴 자료를 통해)" (4) : 2015

      9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발해유적Ⅰ" 2007

      10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콕샤로프카 유적: 콕샤로프카-1 평지성, 콕샤로프카-8 석축구조물" 2015

      11 스토야킨 막심, "연해주 발해성곽의 구조와 성격" 중앙문화재연구원 (22) : 25-66, 2017

      12 이병건, "연변지구 내 추정 요금시기 평지성의 조영과 성곽시설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56 : 107-146, 2016

      13 양시은,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38) : 101-134, 2012

      14 심광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방안" 한강문화재연구원 2014

      15 샤브꾸노프 V.E., "스몰노예 성의 편년에 대해" (1) : 2007

      16 샤브꾸노프 V.E., "스몰노예 성 조사(예비적 결과들)" (1) : 2001

      17 볼딘 V.I., "소비에트 극동 중세고고학의 신자료들" 1989

      18 정석배,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고구려발해학회 54 : 87-125, 2016

      19 구난희, "발해유적사전 -중국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20 방학봉,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2

      21 방학봉, "발해성곽" 연변인민출판사 2001

      22 리정봉, "발해사연구 4" 연변대학출판사·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23 세메니첸꼬 L.E., "발해국시기(8~10세기) 연해주의 물질문화" 1981

      24 디야꼬바 O.V., "발해국: 고고, 역사, 정치" 2014

      25 송기호, "발해 성지의 조사와 연구" (19) : 1991

      26 볼딘 V.I., "러시아와 아시아태평양지역" 1998

      27 볼딘 V.I.,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성과들 권11 극동고고학의 당면문제들" 2002

      28 에.붸.샤브꾸노프,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 역사" 민음사 1996

      29 김동훈,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제1차 발굴조사 성과"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30 이블리예프 A.L., "극동과 중부아시아의 고고학과 민족지학" 1998

      31 이블리예프 A.L., "고대와 중세의 러시아 극동 -발견들, 문제들, 가설들" 2005

      32 니끼친 Yu.G., "고대와 중세의 러시아 극동 -발견들, 문제들, 가설들" 2005

      33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5) : 2011

      34 안성현,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에 대한 재검토" (11) : 2016

      35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黑龍江海林市興農渤海時期城址的發掘" (3) : 2005

      36 王禹浪,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汇編 下篇 渤海國古城址" 哈尒浜出版社 1994

      37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西古城 -2000~2005年度渤海國中京顯德府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07

      38 김호준, "美湖川 中上流의 百濟土城 現況과 特徵" 백제학회 (10) : 105-141, 2013

      39 朱國忱, "渤海遺跡" 文物出版社 2002

      40 Stoyakin Maksim, "渤海城郭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1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 上京城 -1998~2007年度考古發掘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9

      42 陳相偉, "扶餘縣文物志" 1982

      43 吉林省文物志編委會, "延吉市文物志" 1985

      44 吉林大學邊疆考古硏究中心, "吉林敦化市敖東城遺址發掘簡報" (9) : 2006

      4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八連城 -2004~2009年度渤海國東京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14

      46 E.I.GELMAN,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excavations of Balhae Sites in Russian Primorye" 고구려발해학회 38 : 233-254, 2010

      47 문화재청, "9. 8 국립문화재연구소 보도자료"

      48 니끼친 E.Yu., "2010~2011년도 연해주 미하일로브까 지구와 아누치노 지구에서의 고고학지표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2011

      49 クラスキノ土城發掘調査團, "2004年度 ロシア·クラスキノ土城發掘調査槪要報告" 2005

      50 볼딘 V.I., "1999년도 연해주 끄라스끼노 성과 시넬니꼬보 1성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99

      51 볼딘 V.I., "1997년도 연해주 끄라스끼노 성과 시넬니꼬보 1성 및 아누치노 지구에서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97

      52 볼딘 V.I., "1987년도 연해주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과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발굴조사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87

      53 세메니첸꼬 L.E., "1982년도 연해주 스따로레첸스꼬예 성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82

      54 볼딘 V.I., "1975년도 연해주 니꼴라예브까 2성 고고학조사에 대해"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75

      55 갈락찌오노프 O.S., "1971년도 연해주와 하바롭스크 지역에서의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