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범대 예비교사들의 학과 만족과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in Pre-Service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6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공과 연계된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진로교육서비스 공급자인 사범대학이라는 환경적 요인의 학과 만족과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전공과 연계된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진로교육서비스 공급자인 사범대학이라는 환경적 요인의 학과 만족과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교사를 목표로 하고 사범대학 소속 학과의 전공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사 재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요인 간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계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학과 만족에 따른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 만족과 진로결정 효능감의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과 만족과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은 성별에 따른 학과 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과 만족과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의 세부 요인별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college of education, a career education service provid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a career related to a major and the major-related ca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college of education, a career education service provider affecting the selection of a career related to a major and the major-related career decision efficacy. Research subjects were 369 pre-service teachers who aimed to be teachers and were taking major classes in the department in a college of edu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apply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to examine the similarity between factors were conducted, and for the difference in major-related career decision efficacy according to department satisfaction, a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major-related career decision efficacy only in depart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pectively between the sub-factors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major-related career decision effic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상헌, "환대산업관련 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속성이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4 : 205-229, 2014

      2 김서리, "취업준비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진로장벽 및 취업준비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8

      3 김효순, "최근 노동시장 동향, 어떻게 볼 것인가" 고용노동부 고용지원정책관

      4 김우경,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65-77, 2012

      5 이양구,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융합인재교육 방안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487-496, 2016

      6 전호성, "진로교육, 대입 넘어 평생교육 개념으로"

      7 김시정, "직무불일치가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공계 박사인력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3 (23): 125-150, 2017

      8 양정승, "지난 10년간 4년제 대졸자 노동시장의 변화" (126) : 2017

      9 이종훈,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4 (14): 77-96, 2018

      10 한국고용정보원,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유형 및특성 분석" 2018

      1 임상헌, "환대산업관련 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속성이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4 : 205-229, 2014

      2 김서리, "취업준비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진로장벽 및 취업준비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8

      3 김효순, "최근 노동시장 동향, 어떻게 볼 것인가" 고용노동부 고용지원정책관

      4 김우경,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65-77, 2012

      5 이양구,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융합인재교육 방안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487-496, 2016

      6 전호성, "진로교육, 대입 넘어 평생교육 개념으로"

      7 김시정, "직무불일치가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공계 박사인력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3 (23): 125-150, 2017

      8 양정승, "지난 10년간 4년제 대졸자 노동시장의 변화" (126) : 2017

      9 이종훈,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4 (14): 77-96, 2018

      10 한국고용정보원,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청년층의 직무불일치 유형 및특성 분석" 2018

      11 정재엽,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도와 학과만족도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7 (7): 33-38, 2013

      12 고영남, "사범대학 학생들의 입학 선택 계기, 교직 지향성 및 교직 진출준비 실태" 35 (35): 1-17, 2015

      13 박대성,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15-423, 2014

      14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5 유은영,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와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57-568, 2013

      16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7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대한 연구" 12 (12): 127-136, 2000

      18 김현미, "대학생의 직업희망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497-504, 2018

      19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20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습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55-374, 2015

      21 조윤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39-264, 2017

      22 이순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7 (37): 81-107, 2018

      23 고미나, "대학생의 성인애착, 교수-학생 상호작용,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73-84, 2015

      24 김유호, "대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진로선택‧만족 및 전공적응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보건의료계열과 사회과학계열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65-182, 2013

      25 박해임, "대학 신입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1, 2017

      26 이만기,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기업규모별을중심으로" 712-735, 2013

      27 유진성, "대졸 청년취업 의 요인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7 (17): 1-24, 2017

      28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청년일자리 대책 보도자료"

      29 지윤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의 실효성에 관한실증 연구: 국내 전문대학 호텔경영 관련 전공 계열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05-227, 2015

      30 이현우, "교수들이 인식하는 대입전형별 입학생의 학업,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37-158, 2018

      31 조정인, "경상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357-375, 2017

      32 김덕진,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244-254, 2014

      33 Betz, N. E., "The relationship of career related self-efficacy expensive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28 : 399-410, 1981

      34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1977

      35 Wallace, G. R., "Self concept, vocational interests and choice of academic major in college students" 23 (23): 361-367, 1990

      36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1-215, 1994

      37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155-176, 2005

      38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39 한국경제연구원, "2017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 한국경제연구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연구소 ->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