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적 상황과 소비자 애국심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 연구: 제품관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by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s Patriotism:focus on Product Invol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0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 patriotism on the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social situation was divided to positive situation(2002 Korea-Japan World Cup), negative situation(IMF) and general situation(neutral) because many patriotic advertising tended to concentrate in specific situa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by 3×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s a study results, first,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was shown some difference through social situation. Advertisement appealing patriotism effect was appeared more higher in positive or negative social situation than general social situation. It is shown that social situation can function as a context in the patriotic advertising and it c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rough this result. Second, it was shown that 25% high rank group's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is more positive than 25% low rank group. These result agreed with existing result that consumer patriotism work as important variable to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is study cleared that social situation can be the important considerable fact with consumer patriotism i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 patriotism on the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social situation was divided to positive situation(2002 Korea-Japan World Cup), negative situation(IMF) and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 patriotism on the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social situation was divided to positive situation(2002 Korea-Japan World Cup), negative situation(IMF) and general situation(neutral) because many patriotic advertising tended to concentrate in specific situa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by 3×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s a study results, first,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was shown some difference through social situation. Advertisement appealing patriotism effect was appeared more higher in positive or negative social situation than general social situation. It is shown that social situation can function as a context in the patriotic advertising and it c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rough this result. Second, it was shown that 25% high rank group's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is more positive than 25% low rank group. These result agreed with existing result that consumer patriotism work as important variable to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is study cleared that social situation can be the important considerable fact with consumer patriotism i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애국심소구 광고가 IMF외환위기와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특정시기에 그 집행빈도가 높아지는데 주목하여 사회적 상황을 세가지(긍정적, 부정적, 일반적)로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 애국심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제품관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2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상황(3)과 소비자애국심(2) 및 제품관여(2)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황을 조작하기 위해 세가지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뉴스를 편집하여 10분정도의 분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상황에 비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상항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소비자 애국심 수준이 높은 집단이 애국심이 낮은 집단보다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여부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쇄광고를 실험자극물로 사용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기업은 사회적 상항에 주목하여 특정상황에서 애국심소구 광고를 제작하여 집행하게 되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애국심소구 광고가 IMF외환위기와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특정시기에 그 집행빈도가 높아지는데 주목하여 사회적 상황을 세가지(긍정적, 부정적, 일반적)로 구분하여 각각의 ...

      본 연구는 애국심소구 광고가 IMF외환위기와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특정시기에 그 집행빈도가 높아지는데 주목하여 사회적 상황을 세가지(긍정적, 부정적, 일반적)로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 애국심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제품관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2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상황(3)과 소비자애국심(2) 및 제품관여(2)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황을 조작하기 위해 세가지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뉴스를 편집하여 10분정도의 분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상황에 비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상항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소비자 애국심 수준이 높은 집단이 애국심이 낮은 집단보다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여부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쇄광고를 실험자극물로 사용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기업은 사회적 상항에 주목하여 특정상황에서 애국심소구 광고를 제작하여 집행하게 되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주의 애국심광고 사례" (7-8월호) : 70-73, 2002

      2 "프로그램의 상황 및 배경이 광고의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28호 : 36-64, 1995

      3 "프로그램 속성과 광고제시방법에 따른 광고모델 맥락효과" 13 (13): 131-152, 2002

      4 "제품관여 및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애국심호소광고 효과연구" 중앙대학교 1999

      5 "정보원 출처에 따른 광고태도의 매개효과" (53) : 31-46, 2001

      6 "외국브랜드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자동차 브랜드 중심으로" 13 (13): 27-42, 1998

      7 "애국심호소형, 향수형, 격려형 광고등장." (9월호) : 56-59, 1998

      8 "애국심광고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9 "애국심 호소 광고의 효과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1996

      10 "애국심 강도와 메시지소구유형에 따른 애국심 호소광고의 효과연구" (41) : 169-192, 1998

      1 "호주의 애국심광고 사례" (7-8월호) : 70-73, 2002

      2 "프로그램의 상황 및 배경이 광고의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28호 : 36-64, 1995

      3 "프로그램 속성과 광고제시방법에 따른 광고모델 맥락효과" 13 (13): 131-152, 2002

      4 "제품관여 및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애국심호소광고 효과연구" 중앙대학교 1999

      5 "정보원 출처에 따른 광고태도의 매개효과" (53) : 31-46, 2001

      6 "외국브랜드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자동차 브랜드 중심으로" 13 (13): 27-42, 1998

      7 "애국심호소형, 향수형, 격려형 광고등장." (9월호) : 56-59, 1998

      8 "애국심광고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9 "애국심 호소 광고의 효과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1996

      10 "애국심 강도와 메시지소구유형에 따른 애국심 호소광고의 효과연구" (41) : 169-192, 1998

      11 "소비자의 애국심이 국산품과 수입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90

      12 "소비자의 애국심이 광고에 미치는 영향" 1992

      13 "소비자관여의 개념화와 측정 산업 및 조직" 4 (4): 110-135, 1991

      14 "소비자 애국심의 구성요인과 외국제품평가와의 관계" 25 (25): 287-316, 2000

      15 "설득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16 "매체수용자의 심리적 특성이 광고재인에 미치는 영향 광고 혼잡도를 중심으로" 12 (12): 73-96, 2001

      17 "대의명분 마케팅-애국심 전략" (4월호) : 36-40, 1998

      18 "국내외 상품 및 광고에 대한 태도비교분석" (6) : 165-185, 1990

      19 "광고의 맥락효과 연구 선행광고의 감정이 유머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8

      20 "경제개방화에 따른 대응전략" (1) : 1984

      21 "The Role of Mood i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3-214, 1990

      22 "The Role of Consumer Patriotism in the Choice of Domestic versus Foreign Produc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32, 1988

      23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untry of Origin and Consumer Patriotism in Consumer Multiattribute Attitudes Toward Foreign Bran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17, 1989

      24 "The Differential Effect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543-548, 1984

      25 "TV프로그램 맥락무드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00

      26 "Market Patriotism" 42 : 67-70, 2002

      27 "Involvement level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Processing of the 1992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46-54, 1992

      28 "Foreign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American Consumers' Predispositons toward European Product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45-356, 1980

      29 "Effects of advertised customer satisfaction claim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4-40, 1992

      30 "Country of Origin Effects and their Impact upon Consumers' Perception of Quali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5, 1985

      31 "Country Image Halo or Summary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2-229, 1989

      32 "Context Is Key : The Effect of Program-Induced Mood on thoughts about the Ad" 27 : 17-31, 1998

      3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CETSCAL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consumer eth (consumer eth): 280-288, 1987

      34 "Assessing the Impact of Country of Origin o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maka) : 388-396, 1985

      35 "Advertising Strategy for Foreign Produ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1-44, 1974

      36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Septemer 11 Attack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58호 : 163-175, 2003

      37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 Attitudes toward foreign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68-74,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5 2.11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