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73년 고구려 율령의 반포 배경과 그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는 290년대에 5부체제를 극복하고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4~5세기에 국왕이 내린 敎令을 기초로 법제적인 규정을 制定하거나 改修하였다. 당시에 律과 令은 동질적인 성...

      고구려는 290년대에 5부체제를 극복하고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4~5세기에 국왕이 내린 敎令을 기초로 법제적인 규정을 制定하거나 改修하였다. 당시에 律과 令은 동질적인 성격의 법제적 규정이었고, 율령은 단행법을 집성한 성격을 지녔는데, 4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도 이와 같은 법체계를 바탕으로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운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 소수림왕대에 주몽과 유리왕, 대무신왕계 및 태조왕계를 결합하여 새로운 왕계를 정립하였고, 고구려의 지배층을 天孫인 太王을 정점으로 하는 일원적인 신분체계에 편제하였다. 새로운 왕계의 정립과 신분체계의 정비에 따라 왕릉의 수묘와 제사, 관등체계 및 이것과 연동시켜 운영한 衣冠制나 보수체계 등을 개정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나아가 전연과 백제와의 잇따른 전쟁에서 패배함에 따라 지배체제의 안정을 위한 여러 가지 행정적인 법규의 개정도 요구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수림왕은 국가적인 사업으로 율령을 수정, 보완하여 정리한 다음, 373년에 새롭게 정비한 율령을 대내외에 頒布한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uryeo overcame the five Bu System and restructured the centralized ruling system in 290s. Goguryeo enacted and improved the legal rules based on the Royal orders. At that time, the Yul and Ryeong were legal rules that were similar in their characte...

      Goguryeo overcame the five Bu System and restructured the centralized ruling system in 290s. Goguryeo enacted and improved the legal rules based on the Royal orders. At that time, the Yul and Ryeong were legal rules that were similar in their character, and the Law codes(Yulryeong) had a characteristic of being compiled individual law codes and the nation was estimated to be run by based on this kind of legal system around the 4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the Jumong, King Yuri, Daemusingroup and Taejogroup led to establishment of the new loyal genealogy, and the ruling class of Goguryeo was organized into an unitary hierarchy centered by a heavenly son, Taewang(Grate King), in the late 4th century, King Sosurim’s period. So there was a need to revise the guarding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royal tombs, the ritual system and the rank system and the system that managed with a linkage to these systems, such as the Uigwan office system and the remuneration system.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also a need for several amendments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to stabilize its ruling system because of the defeat in the wars with the Former Yan dynasty and Paekje that occurred in succession. The King Sosurim is understood to revise and arrange the Law Codes as a national project and promulgated the newly arranged the Law Codes internally and externally for these reas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와 그 시기
      • Ⅲ. 4~5세기 율령의 내용과 그 성격
      • Ⅳ. 373년 율령 반포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앙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와 그 시기
      • Ⅲ. 4~5세기 율령의 내용과 그 성격
      • Ⅳ. 373년 율령 반포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백, "한국사강좌Ⅰ(고대편)" 일조각 1982

      2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정병준, "중국 율령의 백제 전래 -백제 육좌평제를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1989

      5 민경삼, "신출토 高句麗 遺民 高質 墓誌" 9 : 2007

      6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7 전덕재,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1996

      8 전덕재, "신라 화백회의의 성격과 그 변화" 역사학회 (182) : 1-31, 2004

      9 전덕재, "신라 율령 반포의 배경과 의의" 역사교육연구회 (119) : 57-90, 2011

      10 전덕재,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가뭄 발생 현황과 정부의 대책" 한국사연구회 (160) : 1-46, 2013

      1 이기백, "한국사강좌Ⅰ(고대편)" 일조각 1982

      2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정병준, "중국 율령의 백제 전래 -백제 육좌평제를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1989

      5 민경삼, "신출토 高句麗 遺民 高質 墓誌" 9 : 2007

      6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7 전덕재,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1996

      8 전덕재, "신라 화백회의의 성격과 그 변화" 역사학회 (182) : 1-31, 2004

      9 전덕재, "신라 율령 반포의 배경과 의의" 역사교육연구회 (119) : 57-90, 2011

      10 전덕재,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가뭄 발생 현황과 정부의 대책" 한국사연구회 (160) : 1-46, 2013

      11 이종욱, "백제의 좌평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45 : 1978

      12 전덕재, "백제의 율령 반포 시기와 그 변천" 백제문화연구소 1 (1): 105-128, 2012

      13 노중국, "백제 율령에 대하여" 17 : 1986

      14 임임화, "백제 율령 반포 시기에 대한 일고찰" 7 : 1994

      15 권덕영, "백제 유민 禰氏 一族 묘지명에 대한 斷想" 한국사학회 (105) : 1-36, 2012

      16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17 노중국, "고구려율령에 관한 일시론" 21 : 1979

      18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19 임기환,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체제" 14 : 1987

      20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21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22 윤성룡, "고구려 귀족회의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 11 : 1997

      23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24 김창석, "고구려 守墓法의 제정 경위와 布告 방식 -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분석" 국학연구원 (169) : 75-100, 2015

      25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26 徐永大, "韓國古代 神觀念의 社會的 意味" 서울대학교 1991

      27 조우연,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0) : 139-179, 2013

      28 廣瀨薰雄, "秦漢律令硏究" 汲古書院 2010

      29 최상기, "禰軍墓誌의 연구동향과 전망" 12 : 2014

      30 홍승우, "百濟 律令 반포 시기와 지방지배" 한국고대사학회 (54) : 217-260, 2009

      31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37

      32 井上秀雄, "律令制(中國·朝鮮の法と國家)" 汲古書院 1986

      33 오준석, "張家山漢簡<二年律令>傳食律(228簡-238簡)" 5 : 2010

      34 池田溫, "中國古代籍帳制度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79

      35 민경삼, "中國 洛陽 신출토 古代 韓人 墓誌銘 연구 —高質 墓誌銘을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15) : 215-246, 2009

      36 김영관, "中國 發見 百濟 遺民 祢氏 家族 墓誌銘 檢討" 신라사학회 (24) : 89-158, 2012

      37 김수태,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율령제" 한국고대사학회 (72) : 37-82, 2013

      38 백승옥, "‘辛卯年銘 청동 방울’과 太王陵의 주인공" 부산경남사학회 (56) : 129-161, 2005

      39 홍승우, "<集安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 律令의 형식과 守墓制" 한국고대사학회 (72) : 83-117, 2013

      40 이성제, "<集安 高句麗碑>로 본 守墓制" 한국고대사학회 (70) : 181-218, 2013

      41 김창석, "5세기 이전 고구려의 王命體系와 집안고구려비의 ‘敎’ㆍ‘令’" 한국고대사학회 (75) : 265-304, 2014

      42 조인성, "4, 5세기 고구려 왕실의 세계인식 변화" 4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