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달라에서 네트워크로: 므란따우(Merantau) 예술가의 귀환과 장소성의 재배치 = From Mandala to Network: The Return of Merantau Artists and the Reconfiguration of P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69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conduc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intricate interconnections within the Indonesian art scen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artistic endeavors of Seniman Merantau. These artists have establishe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

      In this article, I conduc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intricate interconnections within the Indonesian art scen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artistic endeavors of Seniman Merantau. These artists have establishe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prominent artistic centers like Yogyakarta and Bandung in Indonesia, while also demonstrating a propensity for settling in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ir hometown. The study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Tambo Art Center (TAC) in Bukittinggi, West Sumatra, and explores the alternative art community of Omnispace, which exists on the periphery of the 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ITB), a crucial hub for art education in Java. These entities actively challenge the prevailing Javacentrism paradigm and seek innovative approaches to redefine and relocate artistic spaces. To illustrate these concepts, a detailed case study of the avant-garde art project, Omnispace, operating on the fringes, is presented.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focus on the tangible, political influence, and situational aspects of territory often encapsulated in the mandala model,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artists who endeavor to establish renewed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by harnessing the agency inherent in their artistic creations. By adopting a holistic perspective that intertwines the practices of Merantau artists, I assert the significance of acknowledging the dynamic and open circulation of mediation and exchange facilitated by non-human actors and the materiality of art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반둥과 같은 예술창작의 ‘중심’과 공생 관계를 맺고, 자신의 고향이나 타지에 정착한 므란따우 예술가(Seniman Merantau)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도네시아 예술...

      이 글은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반둥과 같은 예술창작의 ‘중심’과 공생 관계를 맺고, 자신의 고향이나 타지에 정착한 므란따우 예술가(Seniman Merantau)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도네시아 예술장의 중층성과 연결성을 검토한다. 특히 자바중심주의를 넘어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새로운 장소성의 재배치를 모색하는 서수마트라 부낏띵기의 땀보 아트센터(TAC: Tambo art center)와 자바의 가장 주요한 예술 교육기관인 반둥공대(ITB: Institut Teknologi Bandung)의 곁(para-)에 위치하고 있는 옴니스페이스(Omnispace)의 대안예술프로젝트를 사례 분석한다.
      므란따우 예술가의 ‘주변성’으로 시작한 예술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예술계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다. 므란따우 예술가들은 예술계의 매개자, 특히 갤러리 관계자와 컬렉터들의 네트워크를 지방에 이식할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하며 확장된 글로벌 현대미술의 장소성을 부여한다. 미디어 아트나 에코 아트와 같이 기존의 예술 장르와 문법에서 벗어난 예술생산-수집 방식들을 통해 지역의 토착 지식과 비인간행위자들이 작품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계기들이 생성된다.
      만달라 모델이 포착할 수 있었던 영토의 물리적, 정치적 영향력 또는 상황적 귀속성과는 별개로, 이 글은 예술작품이라는 준-대상의 행위자성을 끌어와 새로운 공생적 교환관계를 갱신하고자 했던 예술가들의 상징적 조합으로 므란따우 예술가들의 실천에 접근할 것을 제안하고, 비인간행위자 내지는 작품의 물성(materiality)이 만들어 낸 매개와 교환의 열린 순환에 주목할 것을 주장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