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조선 지방군제의 동요 - 牙兵의 형성 배경 - = Disturbance of Joseon’s Local Military System during the 16th Century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Ivory Troops (Aby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eals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how the local military system was turned upside down during early Joseon by introducing the backdrop to the formation of the so-called ivory troops(牙兵, abyeong). The ivory troops were military forces...

      This study reveals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how the local military system was turned upside down during early Joseon by introducing the backdrop to the formation of the so-called ivory troops(牙兵, abyeong). The ivory troops were military forces that gathered under an ivory flag(牙旗, agi) set in the location where the General(大將) was situated. While not even regarded as a type of local military unit during the 15th century, the abyeong had become an official military force by the 17th century. This change was a result of the social situation in 16th century Joseon, and inparticular, during the reigns from Yeonsangun to King Myeongjong. Joseon society was marked in the 16th century by the advent of a phenomenon in which the number of low borners exceeded that of commoners. Many citizens of Joseon no longer able to cope with the burden of military duty and corvée labor effectively left society to join groups of robbers and thieves. Under growing pressure, the local governors and magistrates felt a strong need to develop their own military forces. Despite the shortage of commoners available for military duty, there were large numbers lowborners who could be mobilized for military service. Consequently, the powers that be found themselves with little other choice than to mobilize public and private slaves, who had heretofore not been subject to military or corvée labor, as soldiers. As such a change in the military system was sought during the 16th century in which the existing order of Joseon society collapsed a mid the reversal in the numbers of commoners and low born individuals. It was against this backdrop that ivory troops(牙兵, abyeong) began to be formed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abyeong functioned as bodyguards for local governors and magistrates in the face of the growing misbehavior being displayed by commoners. The military significance of the abyeong was further emphasiz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25th year of King Seonjo). Following the end of the massive crisis wrought by these wars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the abyeong were established as a type of local milit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牙兵의 형성 배경을 살핌으로서 조선 전기 지방군 체제가 동요하는 역사적 실상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아병은 大將이 있는 곳에 세워진 牙旗 아래 집결한 수하 병사였다. 아...

      본 연구는 牙兵의 형성 배경을 살핌으로서 조선 전기 지방군 체제가 동요하는 역사적 실상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아병은 大將이 있는 곳에 세워진 牙旗 아래 집결한 수하 병사였다. 아병은 15세기 조선의 지방군 병종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17세기에 정식 병종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6세기 조선에 해당되는 연산군~명종대의 사회적 상황에서 초래되었다. 16세기 조선사회는 양인보다 천인이 더 많은 良少賤多 현상이 전개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군역의 부담에 지친 조선 백성들은 양천을 막론하고 떼도둑이 되어 사회적 일탈 행위를 자행했다. 이 과정에서 지방의 수령과 관찰사는 극도로 위협받았다. 그러자 이들은 휘하의 병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 시기에 군액에 충정할 양인은 부족해졌지만 대신 군역을 감당할 만한 천인은 넘쳐났다. 결국 종래 군역의 대상이 아니었던 公私賤에서도 군사를 징발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16세기 양천의 수가 역전되는 조선 사회의 기존 질서가 붕괴되는 속에서 군사적 변화가 모색되었다. 그 선상에서 16세기 말 ‘아병’이 형성되었다. 당초 피역민의 일탈 행위에 대처하기 위한 지방관의 수하 친병으로 기능했던 아병은 1592년(선조25)의 임진왜란을 통해 그 군사적인 의미가 특히 강조되었다. 그 결과 아병은 전란을 수습한 이후인 17세기에 지방군의 정식 병종으로 성립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용한, "한국군사사6-조선전기Ⅱ" 2012

      2 임용한, "한국군사사5-조선전기Ⅰ" 2012

      3 "중종실록"

      4 김우철, "조선후기 지방군제사" 경인문화사 2000

      5 서태원, "조선후기 지방군제 연구" 혜안 1999

      6 김종수, "조선후기 중앙군제 연구-훈련도감의 성랍과 사회변동" 혜안 2003

      7 김성우,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2001

      8 최선혜,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경인문화사 2007

      9 송양섭,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003

      10 "연산군일기"

      1 임용한, "한국군사사6-조선전기Ⅱ" 2012

      2 임용한, "한국군사사5-조선전기Ⅰ" 2012

      3 "중종실록"

      4 김우철, "조선후기 지방군제사" 경인문화사 2000

      5 서태원, "조선후기 지방군제 연구" 혜안 1999

      6 김종수, "조선후기 중앙군제 연구-훈련도감의 성랍과 사회변동" 혜안 2003

      7 김성우,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2001

      8 최선혜,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경인문화사 2007

      9 송양섭,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003

      10 "연산군일기"

      11 "세조실록"

      12 "성종실록"

      13 "선조실록"

      14 "명종실록"

      15 김종수, "군역제도의 붕괴" 국사편찬위원회 28 : 1996

      16 李泰鎭, "韓國軍制史 近世朝鮮前期篇" 1968

      17 오종록, "韓國史學報" 창간호 1996

      18 한희숙, "燕山君代 盜賊活動의 사회적 조명" 6 : 1996

      19 宮原兎一, "李朝의 軍役制度 ‘保’의 成立" 28 : 1963

      20 金錫亨, "李朝初期 國役編成의 基底" 14 : 1941

      21 송양섭, "朝鮮後期 屯田 硏究" 경인문화사 2006

      22 李載龒, "朝鮮前期 良人農民의 軍役과 土地所有" 9 : 1979

      23 金光哲, "朝鮮前期 良人農民의 軍役-正兵을 중심으로" 3 : 1980

      24 민현구,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한국연구원 1983

      25 韓嬉淑, "朝鮮初期 軍役과 農民經營에 관한 硏究" 61 : 1995

      26 李志雨, "朝鮮初期 奉足制의 推移와 實態" 2 : 1989

      27 李成茂, "朝鮮初期 兩班硏究" 1980

      28 李志雨, "朝鮮初期 保法의 推移와 實態" 3 : 1990

      29 한희숙, "朝鮮 明宗代 群盜의 발생 배경과 활동의 특징" 10 : 1999

      30 한희숙, "朝鮮 中宗代 盜賊의 활동과 그 특징-16세기 民의 動向에 대한 一硏究-" 157 : 1998

      31 李載龒, "奉足에 대하여" 2 : 1964

      32 김순남, "16세기 조선의 피역승의 증가와 승도 조직의 재건" 조선시대사학회 (66) : 53-88, 2013

      33 김순남, "15세기 중반~16세기 조선 북방 軍役의 폐단과 軍額 감소" 조선시대사학회 (61) : 43-77,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