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中學校 미학교육의 필요성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sthetic Education and Its Teaching & Learning Method in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64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글초록: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은 일반적 학교지식과는 달리 “문제해결을 위한지식”이 중심이 된다. 이는 지식의 양적 팽창이 또 다른 지식 생산의 동기를 형성함에 따라 상호 연결적인 지식과 함께 거대한 양의 정보와 지식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넘쳐나는 지식 속에서 양질의 지식을 선별해야만 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미술의 역할은 무엇인가?현재 우리나라 학교미술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지식기반사회의 성격에 부응하지 못하고.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술교육의 규범이나 준거를 지나치게 의식해서인지 제작활동에 치우친 학습으로 일관되어 학생들이 미술의 이해 및 감상을 돕는 이론적 미적준거를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학교육이 미술제작 활동 외에 미술이 지닌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공헌, 또는 미술작품을 어떻게 보고 분석하며 의미해석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미술 교육을 실현하는 데에 필수적임을 밝히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미학교육의 필요성과 정확한 개념을 밝히고, 선진국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 미학교육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미학교육의 접근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미술을 구체적 지식체계의 하나로 보고, 넘지 못할 감상의 영역에서 탈피하여 보다 미술의 본질에 관해 논리적으로 비평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응용하여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이 단지 실기활동 뿐 아니라 미적 안목을 길러주는데 더 큰 의미가 있음을 인식하여, 미학교육의 필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인정할 때 학생들은 보다 균형적인 미술교육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미학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양하고 체계적인 학습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둘째, 학생들은 본 연구의 교수.학습안을 상황에 맞게 응용해 만든 교사들의 미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술 그 자체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 외에 학교 밖의 삶속에서 그것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글초록: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은 일반적 학교지식과는 달리 “문제해결을 위한지식”이 중심이 된다. 이는 지식의 양적 팽창이 또 다른 지식 생산의 동기를 형성함에 따라 상호 연결적...

      한글초록: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은 일반적 학교지식과는 달리 “문제해결을 위한지식”이 중심이 된다. 이는 지식의 양적 팽창이 또 다른 지식 생산의 동기를 형성함에 따라 상호 연결적인 지식과 함께 거대한 양의 정보와 지식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넘쳐나는 지식 속에서 양질의 지식을 선별해야만 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미술의 역할은 무엇인가?현재 우리나라 학교미술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지식기반사회의 성격에 부응하지 못하고.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술교육의 규범이나 준거를 지나치게 의식해서인지 제작활동에 치우친 학습으로 일관되어 학생들이 미술의 이해 및 감상을 돕는 이론적 미적준거를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학교육이 미술제작 활동 외에 미술이 지닌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공헌, 또는 미술작품을 어떻게 보고 분석하며 의미해석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초적인 미술 교육을 실현하는 데에 필수적임을 밝히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미학교육의 필요성과 정확한 개념을 밝히고, 선진국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 미학교육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미학교육의 접근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미술을 구체적 지식체계의 하나로 보고, 넘지 못할 감상의 영역에서 탈피하여 보다 미술의 본질에 관해 논리적으로 비평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응용하여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이 단지 실기활동 뿐 아니라 미적 안목을 길러주는데 더 큰 의미가 있음을 인식하여, 미학교육의 필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인정할 때 학생들은 보다 균형적인 미술교육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미학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양하고 체계적인 학습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둘째, 학생들은 본 연구의 교수.학습안을 상황에 맞게 응용해 만든 교사들의 미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술 그 자체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 외에 학교 밖의 삶속에서 그것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문초록:Th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s focused on the knowledge for solving a problem,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informationin school. It is because that the knowledge about how to handle it in numerous inter-connected ones is necessary. Then what can be the role of Fine Art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needs to choose the one with good quality? Since our esthetic education could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was focused on only practical exami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orm and the reference of the esthetic education, most students would have had some difficulties building the theoretical learning basis helping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fine ar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hetic education is necessary to actualize the basic art education which can give information about the cultural meaning of fine arts, its historical contribution, how to see the work of art, analyze, and find its meaning including making it. In addition, it showed the necessity of the esthetic education and its exact concept by reviewing literatures concerned, and also covered the esthetic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by examining some cas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ways to logically criticize the nature of arts by not appreciating but regarding it as one of the substantial knowledge. On this context,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as give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middle-school curriculum by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when teachers admit the necessity of the esthetic education, recognizing that the fine arts is meaningful in not only practical training, but also cultivating the aesthetic sense, students can experience more balanced arts education. Second, teachers should apply the teaching method derived from this study to its environment and devise the esthetic education program which can suit its environment. Then, through that, students can not only understand and enjoy the arts itself through this program, but also make the most of it in his or her daily lives
      번역하기

      영문초록:Th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s focused on the knowledge for solving a problem,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informationin school. It is because that the knowledge about how to handle it in numerous inter-connected ones is nec...

      영문초록:The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is focused on the knowledge for solving a problem,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informationin school. It is because that the knowledge about how to handle it in numerous inter-connected ones is necessary. Then what can be the role of Fine Art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needs to choose the one with good quality? Since our esthetic education could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was focused on only practical exami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orm and the reference of the esthetic education, most students would have had some difficulties building the theoretical learning basis helping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fine ar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thetic education is necessary to actualize the basic art education which can give information about the cultural meaning of fine arts, its historical contribution, how to see the work of art, analyze, and find its meaning including making it. In addition, it showed the necessity of the esthetic education and its exact concept by reviewing literatures concerned, and also covered the esthetic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by examining some cas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ways to logically criticize the nature of arts by not appreciating but regarding it as one of the substantial knowledge. On this context,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as give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middle-school curriculum by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when teachers admit the necessity of the esthetic education, recognizing that the fine arts is meaningful in not only practical training, but also cultivating the aesthetic sense, students can experience more balanced arts education. Second, teachers should apply the teaching method derived from this study to its environment and devise the esthetic education program which can suit its environment. Then, through that, students can not only understand and enjoy the arts itself through this program, but also make the most of it in his or her daily liv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