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을규,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기업, 학교, 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29-60, 2009
2 강여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조사" 한국행정연구소 41 (41): 85-116, 2003
3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4 구병림,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미래전망" 73 : 47-54, 1995
5 최창환,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47-274, 2008
6 윤미경, "신입사원 입문교육에서 상사지원, 전이기회, 교육내용의 직무관련성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전이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2016
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통계연보 2019년판"
8 박상규, "대학관리제도변화의 특성분석:사회학적 신제도화이론에 입각하여" 한국공공관리학회 21 (21): 1-29, 2007
9 이찬, "대학 행정직원 직무공통 역량모델 개발 및 요구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01-121, 2017
10 김진수, "대학 행정직원 역량의 학습방식, 학습전이 수준 및 조직 내 학습전이풍토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배을규,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기업, 학교, 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29-60, 2009
2 강여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조사" 한국행정연구소 41 (41): 85-116, 2003
3 李島炯,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5
4 구병림,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미래전망" 73 : 47-54, 1995
5 최창환,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47-274, 2008
6 윤미경, "신입사원 입문교육에서 상사지원, 전이기회, 교육내용의 직무관련성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전이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2016
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통계연보 2019년판"
8 박상규, "대학관리제도변화의 특성분석:사회학적 신제도화이론에 입각하여" 한국공공관리학회 21 (21): 1-29, 2007
9 이찬, "대학 행정직원 직무공통 역량모델 개발 및 요구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01-121, 2017
10 김진수, "대학 행정직원 역량의 학습방식, 학습전이 수준 및 조직 내 학습전이풍토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이유진, "대기업 직무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훈련전이와 전이동기 및 업무환경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249-274, 2010
12 대학교육연구소, "대교연 통계(기본) : 직원" 대학교육연구소 2019
13 김진모, "농촌지도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와 전이풍토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7-52, 2006
14 김학섭, "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 과정 참여 대학생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1-26, 2015
15 정완영, "기업의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과 피훈련자 특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 10 (10): 235-263, 2013
16 임효창, "기업내 e-learning의 반응, 학습성과 및 전이성과간 관계: 교육참가자의 개인특성 및 조직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32, 2004
17 이혜진, "기업 핵심가치 교육에서 학습기대, 학습동기, 교육내용, 교육방법이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8 박영용, "기업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15-239, 2006
19 박종선,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이의도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2015
20 이진화, "기업 리더 교육훈련의 근전이 및 원전이와 관련 변인 간의 인과적 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1 김성완, "기업 교육훈련에서의 학습 및 전이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5 (5): 83-105, 2003
22 공민영,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학습과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23-246, 2008
23 백종면, "국립대학 행정직원의 역량 요구 분석: H대학의 6급 이하 실무집행계층을 대상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1-27, 2015
24 이희옥, "교육훈련특성과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9 (19): 167-186, 2012
25 윤현진,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영향요인, 만족도, 학습, 학습전이 간의 관계 분석 -KI교육원 사례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65-98, 2012
26 Baldwin, T. T., "Transfer of training :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41 (41): 63-105, 1988
27 Goldstein, I. L., "Training in organizations" Brooks 1993
28 Tannenbaum, S. I., "Training and development in work organizations" 43 (43): 399-441, 1992
29 Liebermann, S., "The impact of practical relevance on training transfer : evidence from a service quality training program for German bank clerks" 12 (12): 74-86, 2008
30 Foxon, M. J., "Process approach to the transfer of training. Part 1 : The impact of motivation and supervisor support on transfer maintenance" 9 (9): 130-143, 1993
31 Machin, M. A., "Perceptions of training-related factors and personal variables as predictors of transfer implementation intentions" 18 (18): 51-71, 2003
32 Clemenz, C. E., "Measuring perceived quality of train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33 Holton, E. F. Ⅲ., "Holton’s evaluation model : New evidence and construct elaborations" 7 (7): 37-54, 2005
34 Yamnill, S., "Factors affecting transfer of training in Thailand" 16 (16): 323-344, 2005
35 Kirkpatrick, D. L.,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Publishers 1994
36 Noe, R. A., "Employee development" McGraw-Hill 2001
37 Al-Eisa, A. 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upervisor support and motivation to learn on transfer intention" 47 (47): 1221-1244, 2009
38 Ottoson, J. M., "After the applause : Exploring multiple influences on application following an adult education program" 47 (47): 92-107,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