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평가 수검자의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검 준비위원의 관점에서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문제점과 평가내용 지표들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자체평가보고서를 준비하고 방문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자체평가위원단의 회의와 담화들을 관찰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체평가보고서의 준비 업무는 자체평가위원, 행정직원과 조교들에게 집중되며, 그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3주기 평가에서 새롭게 도입된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평가는 수업시연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어 개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 평가기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체평가위원들은 자체평가보고서의 증빙자료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과 함께 공정한 평가준비에 윤리적 갈등을 느낀다. 또한 방문평가단을 맞이하는 예우 수준에서도 윤리적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평가내용에 있어서 1, 2주기 평가에서 보다 정량적인 평가지표가 많아진 것은 객관적인 평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교원양성기관의 현실성을 고려하면서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기준의 개선이 요구된다. 평가준비에 혼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증빙자료 요건이 더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는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교원양성기관의 발전 방향을 설정한 후, 평가지표를 사전에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원양성기관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과 노력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검 준비위원의 관점에서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문제점과 평가내용 지표들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자체평가보고서를 준비하고 방문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

      본 연구는 수검 준비위원의 관점에서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문제점과 평가내용 지표들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자체평가보고서를 준비하고 방문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자체평가위원단의 회의와 담화들을 관찰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체평가보고서의 준비 업무는 자체평가위원, 행정직원과 조교들에게 집중되며, 그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3주기 평가에서 새롭게 도입된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평가는 수업시연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어 개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 평가기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체평가위원들은 자체평가보고서의 증빙자료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과 함께 공정한 평가준비에 윤리적 갈등을 느낀다. 또한 방문평가단을 맞이하는 예우 수준에서도 윤리적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평가내용에 있어서 1, 2주기 평가에서 보다 정량적인 평가지표가 많아진 것은 객관적인 평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교원양성기관의 현실성을 고려하면서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기준의 개선이 요구된다. 평가준비에 혼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증빙자료 요건이 더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는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교원양성기관의 발전 방향을 설정한 후, 평가지표를 사전에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원양성기관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과 노력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oblems occur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s well as other aspects to be improved for evaluation contents.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observation and analysis on minutes and discourse of the self-evaluation committee in the process of self-evaluation preparation and on-site evaluation. The burden of preparing a self-evaluation report usually falls on self-evaluation committee member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teaching assistants. The evaluation of teaching skill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3rd phase evaluation put overwhelming burden on students performing classroom demonstrations. This indicator needs to be reviewed and subjected to improvement. The self-evaluation committee members face ethical dilemmas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evaluation scores in the process of securing related data for a self-evaluation report. They also often feel some ethical ambivalence in the treatment toward the on-site evaluation team.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evaluation quality while still considering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additi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 related to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clear and straightforward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in evaluation preparation. The indicators should be presented in advance so that an evaluation can reliably and efficiently be implemented. These measur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more support and enhanc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oblems occur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s well as other aspects to be improved for evaluation contents.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oblems occur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s well as other aspects to be improved for evaluation contents.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observation and analysis on minutes and discourse of the self-evaluation committee in the process of self-evaluation preparation and on-site evaluation. The burden of preparing a self-evaluation report usually falls on self-evaluation committee member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teaching assistants. The evaluation of teaching skill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3rd phase evaluation put overwhelming burden on students performing classroom demonstrations. This indicator needs to be reviewed and subjected to improvement. The self-evaluation committee members face ethical dilemmas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evaluation scores in the process of securing related data for a self-evaluation report. They also often feel some ethical ambivalence in the treatment toward the on-site evaluation team.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evaluation quality while still considering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additi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 related to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clear and straightforward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in evaluation preparation. The indicators should be presented in advance so that an evaluation can reliably and efficiently be implemented. These measur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more support and enhanc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II. 자체평가보고서 준비의 문제점
      • III. 방문 평가의 문제점
      • IV. 경영 및 여건 영역 평가지표의 개선점
      • 국문초록
      • Ⅰ. 서론
      • II. 자체평가보고서 준비의 문제점
      • III. 방문 평가의 문제점
      • IV. 경영 및 여건 영역 평가지표의 개선점
      • V. 프로그램 영역 평가지표의 개선점
      • VI. 성과 영역 평가지표의 개선점
      • VII.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진, "중등 생물 교과 내용과 관련된 사범대학의 생물 전공과목 운영 현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76-385, 2008

      2 김갑성, "교원의 질 제고를 위한 효율적 교원양성 방향" 7-48, 2009

      3 신현석, "교원양성체제의 개편 방향과 전략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6 (36): 53-78, 2009

      4 김태완, "교원양성체제 개편, 어떻게 할 것인가? : 왜 교육전문대학원이 필요한가?" 36 (36): 22-26, 2009

      5 김영수, "교원양성체제 개편, 어떻게 할 것인가? : 교․사대 개편에 관한 논의" 36 (36): 16-21, 2009

      6 교육부, "교원양성체제 개선 방안 실행계획" 2006

      7 김갑성, "교원양성기관 평가 체제 정립 연구" 2008

      8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양성기관 평가 대학 자체평가위원장 협의회 회의자료"

      9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3주기 평가 기본 방향" 2008

      10 교육부,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5) : 2004

      1 김용진, "중등 생물 교과 내용과 관련된 사범대학의 생물 전공과목 운영 현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76-385, 2008

      2 김갑성, "교원의 질 제고를 위한 효율적 교원양성 방향" 7-48, 2009

      3 신현석, "교원양성체제의 개편 방향과 전략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6 (36): 53-78, 2009

      4 김태완, "교원양성체제 개편, 어떻게 할 것인가? : 왜 교육전문대학원이 필요한가?" 36 (36): 22-26, 2009

      5 김영수, "교원양성체제 개편, 어떻게 할 것인가? : 교․사대 개편에 관한 논의" 36 (36): 16-21, 2009

      6 교육부, "교원양성체제 개선 방안 실행계획" 2006

      7 김갑성, "교원양성기관 평가 체제 정립 연구" 2008

      8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양성기관 평가 대학 자체평가위원장 협의회 회의자료"

      9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3주기 평가 기본 방향" 2008

      10 교육부,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5) : 2004

      11 Clandinin, D.J., "Nat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12 교육과학기술부, "3주기교원양성기관 평가편람: 2010년 평가대상 대학용" 155-160, 2009

      13 한국교육개발원,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방안 모색, in: 공청회 자료집" 2009

      14 구자억,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강화 방안 연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