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들은 왜 여전히 혁신학교 교사이고 싶은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469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A지역 교육지원청의 초빙제도를 통해 혁신학교에서 6년 이상 주체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교직 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여, ‘그들은 왜 여전히 혁신학교 교사이고 싶은가’에 대한 답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의 교직 경험은 두 개의 층위에서 주제가 위계적으로 분류되었는데, 시간의 맥락에서 주체성의 변화와 소통 변화, 기능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운영과 학교 운영체계, 관계의 맥락에서 학생 중심의 관계, 동료 교사와의 관계라는 주제가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행위 주체성과 행위 유도성은 혁신학교에서 계속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율적 판단, 학생 중심의 학교 공동체 건설, 동료성 회복, 배움과 성장 욕구를 자극하는 교사 문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와 관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행위 주체성 회복과 강화가 교직의 미래를 전망하는 준거로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교사가 교육활동을 주체적, 자율적으로 펼칠 수 있으려면, 협력적 동료 관계, 교사 공동체, 교사 간 연대, 함께 하는 즐거움이 있는 교직 풍토 조성 등이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A지역 교육지원청의 초빙제도를 통해 혁신학교에서 6년 이상 주체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교직 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여, ‘그들은 왜 여전히 ...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A지역 교육지원청의 초빙제도를 통해 혁신학교에서 6년 이상 주체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교직 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여, ‘그들은 왜 여전히 혁신학교 교사이고 싶은가’에 대한 답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의 교직 경험은 두 개의 층위에서 주제가 위계적으로 분류되었는데, 시간의 맥락에서 주체성의 변화와 소통 변화, 기능의 맥락에서 교육과정 운영과 학교 운영체계, 관계의 맥락에서 학생 중심의 관계, 동료 교사와의 관계라는 주제가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행위 주체성과 행위 유도성은 혁신학교에서 계속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율적 판단, 학생 중심의 학교 공동체 건설, 동료성 회복, 배움과 성장 욕구를 자극하는 교사 문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와 관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행위 주체성 회복과 강화가 교직의 미래를 전망하는 준거로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교사가 교육활동을 주체적, 자율적으로 펼칠 수 있으려면, 협력적 동료 관계, 교사 공동체, 교사 간 연대, 함께 하는 즐거움이 있는 교직 풍토 조성 등이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Hyukshin schools. The participants had more than six years of work experience through the invitation system in Region A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 “Why do they still want to be Hyukshin school teachers?” were explo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s changes in subjectivity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school operation system, student-centered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in the context of time, function, and relationship. In addition, teachers’ agency and inducement of 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esire to continue working in Hyukshin schools, and this was related to autonomous judgment, building a student-centered school community, restoring collegiality, a teacher culture that stimulates the desire for learning and growth, and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toring and strengthening teachers’ agency has a potential value in predicting the future of teaching,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 teaching culture with cooperative collegial relationships, a teacher community, solidarity among teachers, and the joy of working together.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Hyukshin schools. The participants had more than six years of work experience through the invitation system in Region A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ir a...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Hyukshin schools. The participants had more than six years of work experience through the invitation system in Region A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 “Why do they still want to be Hyukshin school teachers?” were explo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s changes in subjectivity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school operation system, student-centered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in the context of time, function, and relationship. In addition, teachers’ agency and inducement of 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esire to continue working in Hyukshin schools, and this was related to autonomous judgment, building a student-centered school community, restoring collegiality, a teacher culture that stimulates the desire for learning and growth, and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toring and strengthening teachers’ agency has a potential value in predicting the future of teaching,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 teaching culture with cooperative collegial relationships, a teacher community, solidarity among teachers, and the joy of working togeth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