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0875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2006. 2. 졸업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94 p. : 삽도.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5-84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은 어떠하며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과 관련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조사로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은 어떠하며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과 관련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조사로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번역하기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v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 B. 연구 목적 = 3
      • C. 연구 문제 = 4
      • 논문개요 v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 B. 연구 목적 = 3
      • C. 연구 문제 = 4
      • D. 용어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7
      • A. 특수학급에서의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7
      • 1. 특수학급의 특성 = 7
      • 가. 특수학급의 정의 = 7
      • 나. 특수학급의 목적 = 8
      • 2. 특수학급에 있는 장애아동의 특성 = 9
      • 가. 장애의 정의 = 9
      • 나. 장애유형과 특성 = 10
      • (1) 정신지체 = 10
      • (2) 학습장애 = 13
      • (3) 정서장애 = 15
      • 3. 특수교육 영역에서의 음악치료 접근 = 20
      • 가. 특수교육과 음악치료 서비스 = 20
      • 나. 특수교육에서의 음악치료 필요성 = 22
      • 다. 특수교육에서의 음악치료 효과 = 23
      • (1)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24
      • (2)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29
      • (3) 정서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33
      • B. 특수학급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 = 37
      • 1. 국내의 현황 및 실태 = 37
      • 2. 미국의 현황 및 실태 = 39
      • Ⅲ. 연구 방법 = 42
      • A. 연구 대상 = 42
      • B. 연구 설계 및 절차 = 42
      • C. 연구 도구 = 43
      • D. 자료 분석 = 43
      • Ⅳ. 연구 결과 = 45
      • A. 특수교사를 위한 설문지의 분석 결과 = 45
      • 1. 객관식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45
      • 2.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56
      • B. 음악치료사를 위한 설문지의 분석 결과 = 57
      • 1. 객관식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57
      • 2.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67
      • Ⅴ. 결론 및 논의 = 69
      • 참고 문헌 = 75
      • Abstract = 85
      • 부록 = 87
      • <부록 1> 특수교사용 설문지 = 87
      • <부록 2> 음악치료사용 설문지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