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체성 위기의 국내 대학신문: 미국 대학신문과 공동체저널리즘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Looking forward to an alternative identity: Implications from Community Journalism model and U.S. college newspa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53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llege newspapers in Korea are allegedly faced with identity crisis. In contrast, some portions of those in America appear to enjoy their heydays in time of overall crisis in newspaper industry. This paper th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plausible reasons for such a difference and then hopes to draw useful implications from American college newspaper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iscussed `community journalism model` believed to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hundreds of thriving U.S. college papers. Then, this study contemplated ways to rejuvenate Korea`s college newspapers by comparing with those in America. In-depth interviews with reporters and professor-editors in those newspaper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possible strateg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ollege papers in Korea failed to address critical needs including community-based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networking. In addition, those stake-holders not only did lack passion for changes but also were filled with baseless fears of hyper-commercialization. The authors contend in this regard to launch independent model in America by adopting community journalism model as a theoretical blueprint.
      번역하기

      The college newspapers in Korea are allegedly faced with identity crisis. In contrast, some portions of those in America appear to enjoy their heydays in time of overall crisis in newspaper industry. This paper th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plausibl...

      The college newspapers in Korea are allegedly faced with identity crisis. In contrast, some portions of those in America appear to enjoy their heydays in time of overall crisis in newspaper industry. This paper th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plausible reasons for such a difference and then hopes to draw useful implications from American college newspaper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iscussed `community journalism model` believed to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hundreds of thriving U.S. college papers. Then, this study contemplated ways to rejuvenate Korea`s college newspapers by comparing with those in America. In-depth interviews with reporters and professor-editors in those newspaper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possible strateg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ollege papers in Korea failed to address critical needs including community-based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networking. In addition, those stake-holders not only did lack passion for changes but also were filled with baseless fears of hyper-commercialization. The authors contend in this regard to launch independent model in America by adopting community journalism model as a theoretical bluepri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경, "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 -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하려면" 한국언론학회 4 (4): 48-72, 2008

      2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의 대학언론: 제작환경 실태조사-내용분석" 한국언론재단 1995

      3 강명구, "한국언론의 신뢰도: 위기현황 분석과 극복방안" 한국언론재단 2001

      4 이희용,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와 퀄리티 저널리즘" 2009

      5 이재경, "한국 저널리즘의 3가지 위기와 언론의 미래" 신문과 방송 2004

      6 김민하, "한국 언론의 탐사보도와 시민공동체 형성의 전망 :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의 공공저널리즘적 기능과 한계" 한국언론학회 52 (52): 105-128, 2008

      7 강명구, "한국 언론의 구조변동과 언론전쟁" 한국언론학회 48 (48): 319-348, 2004

      8 이준웅, "한국 신문위기의 원인: 뉴스 매체의 기능적 대체, 저가치 제공, 그리고 공정성 위기" 한국언론학회 49 (49): 5-35, 2005

      9 김영욱, "한국 신문- 현황, 문제점, 지원방안" 한국언론재단 2005

      10 서울여자대학교, "찐언"

      1 이재경, "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 -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하려면" 한국언론학회 4 (4): 48-72, 2008

      2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의 대학언론: 제작환경 실태조사-내용분석" 한국언론재단 1995

      3 강명구, "한국언론의 신뢰도: 위기현황 분석과 극복방안" 한국언론재단 2001

      4 이희용,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와 퀄리티 저널리즘" 2009

      5 이재경, "한국 저널리즘의 3가지 위기와 언론의 미래" 신문과 방송 2004

      6 김민하, "한국 언론의 탐사보도와 시민공동체 형성의 전망 :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의 공공저널리즘적 기능과 한계" 한국언론학회 52 (52): 105-128, 2008

      7 강명구, "한국 언론의 구조변동과 언론전쟁" 한국언론학회 48 (48): 319-348, 2004

      8 이준웅, "한국 신문위기의 원인: 뉴스 매체의 기능적 대체, 저가치 제공, 그리고 공정성 위기" 한국언론학회 49 (49): 5-35, 2005

      9 김영욱, "한국 신문- 현황, 문제점, 지원방안" 한국언론재단 2005

      10 서울여자대학교, "찐언"

      11 류한호, "지역언론과 공공저널리즘의 실천 가능성" 24-27, 2000

      12 김민남, "지역공동체와 공공저널리즘:지역언론의 위기와 대응방향"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3 중앙대학교, "중대신문"

      14 김성해, "전문성과 윤리성으로 무장하다: 영어권 언론학 교육의 비전 in:언론학 교육의 길을 묻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5 황용석, "위기의 한국신문: 현황, 문제점, 지원방안"

      16 한동섭, "왜 신문의 위기인가"

      17 최영, "온라인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33-63, 2002

      18 윤태진, "온라인신문에 나타난 공공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조인스닷컴', '인터넷한겨레', '오마이뉴스'의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0 (40): 306-343, 2001

      19 연세대학교, "연세춘추"

      20 계명대학교, "언론사통합뉴스포털"

      21 손석춘, "언론개혁의 무기" 개마고원 1998

      22 이은주, "시장의 관점을 통합매체로 확대해야: 한국신문 산업의 시장-정책의 딜레마" 신문과 방송 2005

      23 안병길, "시민속의 언론, 공공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4 김은규, "미디어와 시민참여: 시민미디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5 김성해, "미디어와 교육" 한국언론정보학회 37 (37): 1-37, 2007

      26 경희대학교, "미디어센터"

      27 이준웅, "무너지는 사실 보도와 의견 보도의 원칙" 한국언론재단 2009

      28 박희경, "대학언론의 위기를 기회로 삼는 지혜 필요"

      29 전규찬, "대학언론 살림의 공동책임"

      30 정남기, "대학신문의 위기와 역할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 조화로 변화에 대응해야"

      31 타니 하스, "공공저널리즘을 쏘다" 한국언론재단번역서 2008

      32 안병길, "공공저널리즘과 한국언론: 언론과 공동체의 새로운 관계모색" 컴북스 2004

      33 경북대학교, "경북대인터넷신문"

      34 The Chapel Hill News, "http://www.chapelhillnews.com"

      35 The Tallahassee Democrat, "http://tallahassee.com/apps/pbcs.dll/frontpage"

      36 Nye, J, "Why people don't trust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37 Page, B. I, "Who deliberates? : mass media in modern democra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38 Lasica, J. D, "What is participatory journalism?"

      39 Rosen,J, "What are journalists for?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9

      40 Glasser, Theodore, L, "The idea of public journalism" The Guilford Press 1999

      41 Lessman,Justin R, "The Community Standard: toward a model of community journalism decision making"

      42 Th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Technician"

      43 The University of Georgia, "Red & Black"

      44 Rice,Gary, "Putting the Kids to Work: An Academic-Community Journalism Partnership that Takes No Prisoners" 27-28, 2007

      45 Haas, Tanni, "Public Journalism: A Reply to Critics" 7 (7): 2006

      46 Munson, E. S, "James Carey : a critical rea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47 Sibert, F, "Four theories of the pres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56

      48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FSView"

      49 Schudson,M, "Discovering the news: A social history of American newspapers" Basic Books 1978

      50 Gans,Hebert J, "Deciding what's news: A study of CBS Evening News, NBC Nightly News, Newsweek, and Tim." Vintage Books 1979

      5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Daily Tar Heel"

      52 The Rutgers University, "Daily Tar Gum"

      53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aily Collegian"

      54 Rosen,J, "Community Connectedness: Password for Public Journalism"

      55 Friedland,Lewis A, "Communication, community, and democracy: Toward a theory of the communicatively-integrated community" 28 (28): 358-391,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