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증진활동이 만2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Promo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among 2year-o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25506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2.2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Promot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among 2year-olds

      • 형태사항

        91p;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오은순
        참고문헌 : 53-57p.

      • UCI식별코드

        I804:44004-000000028549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2-year-old children. For this, 28 children aged 2 were recruited to explor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icture books, a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changes in this research: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recruited 14 children aged 2 who had been going to Day Care K and R located in Sejong City and randomly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The both day care centers had followed the national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passed evaluation accreditation, and the selected children were from households that lived in the same region and had similar social and economic levels.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16 sessions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were carried out for a period of 9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the peer interaction scale called 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PIPPS) that was developed by Fantuzzo and his co-researcher (1998), translated and revised by Jeong Dae-hyeon (2006) and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children by Lee Soon-sun (2015) was employed to test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and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Sim Sook-young (2012) was used as a tool to test social emotional behavior.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used to secure homogeneity of the pre-test scores of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PSS 24.0 program, and post-test scores were also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for the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showed effect on the 2-year-old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activity revealed that the sub-factor of play interaction increased, while sub-factors such a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decreased. Therefore,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for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form social relations among peers in daily life, as it helps improve helping, sharing, conflict mediation, considering, suggesting play, verbal inter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itiative.
      Second,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also showed effect on the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aged 2. Conceptual factors of the sub-factor of social emotionality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self-perception, and emotional awareness were improved, and social-relational conceptual factor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were also enhanced. Decreases i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such as separation anxiety, depression and withdrawal, defiance, and peer aggression revealed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It is required to provide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eers as well as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children’s internal problem behavior such as self-perception, emotional awareness, depression and withdrawal, and separation anxiety.
      Third, the research results on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behavior such as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revealed that they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picture books showed no effect on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Eating and sleeping problems varied according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and did not show effect in a short period. It is required to provide a long-term guidance by connecting various activi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t home. This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for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to actu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for follow-up studies: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hildren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in Sejong City in 16 sessions for 9 week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erify the effect with a long-term experiment.
      Second, this research used teacher rating scales as its test tool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qualitative research where teachers’ subjective assessment and long-term observation for children are performed so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can be performed for children’ emotional expression for internal expression and emotions and behavior for external express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peer interaction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2-year-old children. For this, 28 children aged 2 were recruited to expl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the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2-year-old children. For this, 28 children aged 2 were recruited to explore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icture books, a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changes in this research: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effect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recruited 14 children aged 2 who had been going to Day Care K and R located in Sejong City and randomly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7 male children and 7 female children). The both day care centers had followed the national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passed evaluation accreditation, and the selected children were from households that lived in the same region and had similar social and economic levels.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16 sessions of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were carried out for a period of 9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the peer interaction scale called 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PIPPS) that was developed by Fantuzzo and his co-researcher (1998), translated and revised by Jeong Dae-hyeon (2006) and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children by Lee Soon-sun (2015) was employed to test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assessment and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Sim Sook-young (2012) was used as a tool to test social emotional behavior.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used to secure homogeneity of the pre-test scores of peer interaction and social emotional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PSS 24.0 program, and post-test scores were also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s t test for the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showed effect on the 2-year-old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activity revealed that the sub-factor of play interaction increased, while sub-factors such a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decreased. Therefore,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for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form social relations among peers in daily life, as it helps improve helping, sharing, conflict mediation, considering, suggesting play, verbal inter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itiative.
      Second,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using picture books also showed effect on the social emotional behavior of the children aged 2. Conceptual factors of the sub-factor of social emotionality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self-perception, and emotional awareness were improved, and social-relational conceptual factor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were also enhanced. Decreases i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such as separation anxiety, depression and withdrawal, defiance, and peer aggression revealed the effect of activity with picture books for improving social relations. It is required to provide activity to improve social relations with peers as well as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children’s internal problem behavior such as self-perception, emotional awareness, depression and withdrawal, and separation anxiety.
      Third, the research results on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behavior such as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revealed that they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picture books showed no effect on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Eating and sleeping problems varied according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and did not show effect in a short period. It is required to provide a long-term guidance by connecting various activit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t home. This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for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to actu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for follow-up studies:
      Fir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hildren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in Sejong City in 16 sessions for 9 week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erify the effect with a long-term experiment.
      Second, this research used teacher rating scales as its test tool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qualitative research where teachers’ subjective assessment and long-term observation for children are performed so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can be performed for children’ emotional expression for internal expression and emotions and behavior for external express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peer interaction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social emotional behavi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에서 그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세종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R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를 구성하여, 실험집단(남아 7명, 여아 7명), 통제집단(남아 7명, 여아 7명)을 각각 14명씩 임의로 선정하였다. 두 어린이집 모두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준수하고, 평가인증을 통과하였으며 같은 거주지 및 사회·경제적 생활 수준이 비슷한 가정의 자녀들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영아들에게 9주의 기간에 걸쳐 총 16회차의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 정서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또래 상호작용 검사 도구로 Fantuzzo(1998)와 그의 동료에 의해 개발된 또래 상호작용척도(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 PIPPS)를 정대현(2006)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이순선(2015)이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고 사회정서 행동 검사 도구로는 심숙영(2012)이 개발한 ‘사회정서 행동 진단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의 사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후, 사후검사 또한 독립표본 t-검증으로 집단 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요소인 놀이 상호작용의 증가와 놀이붕괴, 놀이단절의 감소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돕기, 나누기, 갈등 중재, 배려, 놀이권유, 언어적 상호작용, 긍정적인 정서, 주도성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또래 간 사회관계 형성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효과가 있다. 하위요소인 사회 정서성의 개념요소인 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인식이 향상되었고, 사회 관계적 개념요소인 친사회적행동과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다. 내면적. 외면적 문제행동인 격리불안, 우울·위축, 반항성, 또래 공격성의 감소 되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사회관계 증진 활동으로 또래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과 더불어 교사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함께 진행되어 영아의 자아인식, 정서인식, 우울·위축, 격리불안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관심이 더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서 행동의 하위요소인 수면 및 식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미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는 식사, 수면문제는 영아의 기질과 특성에 따라 변화하고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활동과 가정에서의 부모님과 함께 연계하여 장기간의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영유아 교육기관 현장에서 적용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종시 한 아파트 단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9주 기간에 총 16회차 이루어진 실험결과로 참여하는 영아의 수를 확대하고 장기적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평정 척도를 사용한 검사도구로 교사의 주관적인 평정 결과로 장기적인 영아의 관찰로 영아의 내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표현과 외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과 행동에 대한 섬세한 평가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또래 상호작용의 효과검증과 사회 정서행동의 효과검증의 상관 관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을 ...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에서 그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세종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R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를 구성하여, 실험집단(남아 7명, 여아 7명), 통제집단(남아 7명, 여아 7명)을 각각 14명씩 임의로 선정하였다. 두 어린이집 모두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 운영을 준수하고, 평가인증을 통과하였으며 같은 거주지 및 사회·경제적 생활 수준이 비슷한 가정의 자녀들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영아들에게 9주의 기간에 걸쳐 총 16회차의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 정서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또래 상호작용 검사 도구로 Fantuzzo(1998)와 그의 동료에 의해 개발된 또래 상호작용척도(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Scake : PIPPS)를 정대현(2006)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이순선(2015)이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고 사회정서 행동 검사 도구로는 심숙영(2012)이 개발한 ‘사회정서 행동 진단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정서 행동의 사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후, 사후검사 또한 독립표본 t-검증으로 집단 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요소인 놀이 상호작용의 증가와 놀이붕괴, 놀이단절의 감소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돕기, 나누기, 갈등 중재, 배려, 놀이권유, 언어적 상호작용, 긍정적인 정서, 주도성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또래 간 사회관계 형성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효과가 있다. 하위요소인 사회 정서성의 개념요소인 주의집중, 자아인식, 정서인식이 향상되었고, 사회 관계적 개념요소인 친사회적행동과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다. 내면적. 외면적 문제행동인 격리불안, 우울·위축, 반항성, 또래 공격성의 감소 되어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의 효과가 있다. 사회관계 증진 활동으로 또래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과 더불어 교사와의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함께 진행되어 영아의 자아인식, 정서인식, 우울·위축, 격리불안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관심이 더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서 행동의 하위요소인 수면 및 식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미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는 식사, 수면문제는 영아의 기질과 특성에 따라 변화하고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활동과 가정에서의 부모님과 함께 연계하여 장기간의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영유아 교육기관 현장에서 적용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종시 한 아파트 단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9주 기간에 총 16회차 이루어진 실험결과로 참여하는 영아의 수를 확대하고 장기적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평정 척도를 사용한 검사도구로 교사의 주관적인 평정 결과로 장기적인 영아의 관찰로 영아의 내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표현과 외면적 표현에 대한 감정과 행동에 대한 섬세한 평가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또래 상호작용의 효과검증과 사회 정서행동의 효과검증의 상관 관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4. 연구의 제한점 6
      • II. 이론적 배경 7
      •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 7
      • 2. 만 2세아 발달특성 10
      • 3. 또래 상호작용 관계 12
      • 4.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 14
      • 5. 선행연구 16
      • III. 연구 방법 18
      • 1. 연구 대상 18
      • 2. 연구 도구 18
      • 3. 연구 설계 20
      • 4. 연구 절차 21
      • 5. 자료 분석 30
      • IV. 연구 결과 및 해석 31
      • 1.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31
      •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31
      • 2)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또래 상호작용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 32
      • 2.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 34
      • 1)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 34
      • 2)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관계 증진 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 35
      • V. 논의 및 결론 45
      • 1. 요약 및 논의 45
      • 1) 요약 45
      • 2) 논의 47
      • 2. 결론 및 제언 51
      • 참고문헌 53
      • ABSTRACT 58
      • 부 록 61
      • <부록 1> 또래 상호작용 척도
      • <부록 2> 사회정서 행동 척도
      • <부록 3> 활동계획안(16회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