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일본 고대 지방목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집이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지방 목간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지방목간의 특성을 도출한 점이다. 그러나 이에 머무른 것이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95831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9-34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은 일본 고대 지방목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집이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지방 목간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지방목간의 특성을 도출한 점이다. 그러나 이에 머무른 것이 아...
이 책은 일본 고대 지방목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집이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지방 목간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지방목간의 특성을 도출한 점이다. 그러나 이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궁도목간과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 중국, 한국의 자료와 비교하여 일본 고대의 지방목간이 고립적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목간과의 관련 속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동아시아적인 시각에서 일본의 지방목간을 보고 있는 것이다.
또한 목간을 기록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고고자료로서 취급하여 목간 그 자체를 면밀히 관찰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고고학자나 보존과학자의 협조를 얻어 최대한의 정보를 얻어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고대의 지방사회모습을 추출하고 더 나아가 율령국가의 실상에 접근하고 있다.
저자가 목간을 대하는 연구방식과 성과물은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우리 나라 고대 목간 연구 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