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160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 형태사항

        ⅸ,180 p. ; 26 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민아

      • UCI식별코드

        I804:11023-00000007451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JUNG SANG-MI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JUNG SANG-MI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MIN A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ill help them liv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ndependent lif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obtained from 479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18 and 25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 total of 476 survey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86 male (60.1%) and 190 female (39.9%). Of those, 403 (84.7%) were high school graduates. Their disability grade was 2nd class (n=268, 56.3%) and 3nd class (n=208, 43.7%). Most of them used community welfare center (n=232, 48.7%) and the others used job rehabilitation trading center (n=74, 15.5%) or sheltered workshops (n=158, 33.2%).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self-determination; a dependable variable was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variable was family functioning. Using SPSS 23.0, the nalyses were made as follows using t-test, one-way-ANOVA,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levels of self-determination, quality of life, and family functioning were identified. Second,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ere examined. Third,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 was examine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was 3.45(SD=.66) on average using 5-point Likert scale (1-5). As a subscale of self-determination, autonomy was 1.60(SD=.65) using a 4-point Likert scale (0-3). psychological ability was 7.71(SD=1.96) using a 2-point Likert scale and self-realization was 5.78(SD=2.59) using a 2-point Likert scale. Family functioning, which was measured as the Ratio score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FACES Ⅳ scale, was 1.46(SD=.65) in family cohesion, and 1.46(SD=.67) in family flexibility, which were in a balanced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cohesiveness, 'balanced cohesion' indicated 'normal cohesion' level, 'disengaged' indicated 'middle' level, and 'enmeshed' was close to 'low'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adaptability, 'balanced flexibility' indicated 'normal flexibility' and 'rigid' indicated 'middle' level, 'chaotic' indicated the 'low' level. In total, the level of family functioning indicated 'balanced family'.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and employment. Self-determination was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work condition, and disability grade. Gender was correlated with religion; Age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and education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Thir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ife quality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stud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 found that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buttheir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mploym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β=.103) significantly moderated that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a subscale of family functioning disengaged (β=-.109), enmeshed (β=-.102), rigid(β=-.120), and chaotic (β=-.105)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That is, for those with greater levels of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disengaged, enmeshed, rigid and chaotic,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were greater.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or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than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strengthening of family function playing a key role of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o strengthen self–determination ability, to sugge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the family function among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the policy impli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Key words :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 상 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지도교수 김 민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지...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 상 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지도교수 김 민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을 이해하고 그들이 성공적인 성인기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고 있는 만 18세 이상 만 25세 이하의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분석 가능한 4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성이 286명(60.1%), 여성이 190명(39.9%)이었고, 그 중 403명(84.7%)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대상자들이었다. 장애등급은 2급이 268명(56.3%)이고, 3급이 208명(43.7%)이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이용기관 유형은 복지관을 이용하거나(232명, 48.7%), 직업재활훈련기관(74명, 15.5%) 및 보호작업장(158명, 33.2%)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가 자기결정이고, 종속변수는 삶의 질이며, 조절변수는 가족기능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476명의 설문지를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자기결정 수준, 삶의 질 수준, 가족기능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넷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5(SD=.66)이며, 자기결정은 자율성이 0점에서 3점까지의 4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1.60(SD=.65)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역량은 평균이 16점 만점 기준으로 7.71(SD=1.96)이며, 자아실현은 평균이 15점 만점에 5.78(SD=2.59)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FACES Ⅳ척도 메뉴얼의 계산법을 활용하여 알아본 가족응집력 수준은 비율(Ratio)점수로서 1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1.46(SD=.65)이며, 가족적응력은 1.46(SD=.67)으로 균형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는 가족기능 응집력의 ‘연결’은 ‘보통 연결’ 수준에 포함되었고, 분리’는 ‘중간’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밀착’은 ‘낮음’ 수준에 가까운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가족기능 적응력의 ‘융통’은 ‘보통 유연’에 포함되었고, ‘경직’은 ‘중간’ 수준에 포함되었으며, ‘혼돈’은 ‘낮음’ 수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연구대상자의 가족기능 수준은 ‘균형을 이루는 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삶의 질은 자기결정, 가족기능,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자기결정은 가족기능, 근로상태, 장애등급과 상관관계를 가졌다. 통제변수인 성별은 종교와 연령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학력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이 질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장애등급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로상태의 경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모형의 최종단계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가족기능의 적응력(β=.103)이 정(+)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고, 응집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결과, 응집력의 하위요인인 분리(β=-.109), 밀착(β=-.102)과 적응력의 하위요인인 경직(β=-.120), 혼돈(β=-.105)이 부(-)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다. 즉,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가족기능의 적응력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응집력을 구성하는 분리와 밀착, 적응력을 구성하는 경직과 혼돈이 낮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보다 높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결정력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적장애인의 평생의 삶 속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족기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당사자 입장에서 살펴본 실질적인 연구로서 자기결정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관에서 실천해야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삶의 질, 자기결정, 가족기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림목차 ⅳ
      • 〔그림 2-1〕성인발달장애인 삶의 질 척도 모형 12
      • 〔그림 2-2〕자기결정 기능적 모델 19
      • 〔그림 3-1〕연구모형 46
      • 〔그림 4-1〕순환모델을 활용한 가족의 균형수준 91
      • 그림목차 ⅳ
      • 〔그림 2-1〕성인발달장애인 삶의 질 척도 모형 12
      • 〔그림 2-2〕자기결정 기능적 모델 19
      • 〔그림 3-1〕연구모형 46
      • 〔그림 4-1〕순환모델을 활용한 가족의 균형수준 91
      • 〔그림 4-2〕자기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가족기능 적응력의 조절효과 99
      • 〔그림 4-3〕가족기능 응집력 ‘분리’의 조절효과 104
      • 〔그림 4-4〕가족기능 응집력 ‘밀착’의 조절효과 107
      • 〔그림 4-5〕가족기능 적응력 ‘경직’의 조절효과 112
      • 〔그림 4-6〕가족기능 적응력 ‘혼돈’의 조절효과 115
      • 표 목차 ⅴ
      • 〔표 2-1〕삶의 질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정의 7
      • 〔표 2-2〕자기결정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정의 20
      • 〔표 3-1〕연구도구의 구성 50
      • 〔표 3-2〕삶의 질 하위변인 및 개별문항의 특성 52
      • 〔표 3-3〕자기결정 하위변인 및 개별문항의 특성 53
      • 〔표 3-4〕연구대상 선정기준 58
      • 〔표 3-5〕자료수집절차 및 조사방법 59
      • 〔표 3-6〕정규성 점검 결과 61
      • 〔표 4-1〕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5
      • 〔표 4-2〕조사대상자의 장애관련 특성 66
      • 〔표 4-3〕주요변인의 상관관계 68
      • 〔표 4-4〕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수준 69
      • 〔표 4-5〕연구대상자의 신체적 안녕 수준 70
      • 〔표 4-6〕연구대상자의 물질적 안녕 수준 71
      • 〔표 4-7〕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안녕 수준 72
      • 〔표 4-8〕연구대상자 생산적 활동 및 발달 수준 73
      • 〔표 4-9〕연구대상자의 심리·정서적 안녕 수준 74
      • 〔표 4-10〕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 76
      • 〔표 4-11〕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 77
      • 〔표 4-12〕연구대상자의 자율성 수준 79
      • 〔표 4-13〕연구대상자의 심리적 역량 수준 81
      • 〔표 4-14〕연구대상자의 자아실현 수준 83
      • 〔표 4-15〕가족기능의 원점수를 통한 기술통계 85
      • 〔표 4-16〕가족기능의 비율(Ratio)점수를 통한 기술통계 86
      • 〔표 4-17〕가족기능의 변환점수를 통한 기술통계 87
      • 〔표 4-18〕가족기능의 변환점수를 통한 하위요인별 수준 88
      • 〔표 4-19〕가족기능 차원점수 89
      • 〔표 4-20〕가족기능의 균형수준에 따른 가족유형 90
      • 〔표 4-21〕자기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모델1과 모델2) 94
      • 〔표 4-22〕자기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가족기능 조절효과: 응집력 96
      • 〔표 4-23〕자기결정과 삶의 질 관계에서 가족기능 조절효과: 적응력 98
      • 〔표 4-24〕가족기능 응집력의 조절효과: 연결 101
      • 〔표 4-25〕가족기능 응집력의 조절효과: 분리 103
      • 〔표 4-26〕가족기능 응집력의 조절효과: 밀착 106
      • 〔표 4-27〕가족기능 적응력의 조절효과: 융통 109
      • 〔표 4-28〕가족기능 적응력의 조절효과: 경직 111
      • 〔표 4-29〕가족기능 적응력의 조절효과: 혼돈 114
      • 〔표 4-30〕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결과 118
      • 국문초록 ⅶ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6
      • 1. 삶의 질에 대한 정의 및 개념 6
      • 2. 삶의 질 구성요소 9
      • 3.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13
      • 제 2 절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16
      • 1. 자기결정에 대한 정의 및 개념 16
      • 2. 자기결정 구성요소 18
      • 3.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24
      • 제 3 절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과 삶의 질 28
      • 제 4 절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 31
      • 1. 체계이론의 관점에서의 가족기능 31
      • 2. 가족기능의 구성요소 33
      • 3.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 39
      • 4. 지적장애인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42
      • 제 3 장 연구방법 45
      •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5
      • 1. 연구 분석틀 45
      • 2.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46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9
      • 제 3 절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57
      • 1. 연구대상 57
      • 2. 조사방법 58
      • 3.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60
      • 제 4 절 자료분석 방법 61
      • 1. 입력자료의 정규성 검토 61
      • 2. 분석방법 62
      • 제 4 장 연구결과 64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4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4
      • 2. 조사대상자의 장애관련 특성 66
      • 제 2 절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67
      • 제 3 절 주요변인의 수준 69
      • 1.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수준 69
      • 2.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 75
      • 3.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 77
      • 4.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 수준 84
      • 제 4 절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92
      • 제 5 절 연구문제 및 가설검증 결과 116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19
      • 제 1 절 연구결과 및 논의 119
      • 1. 연구결과 요약 119
      • 2. 논의 123
      • 제 2 절 연구의 함의 132
      • 1. 이론적 함의 132
      • 2. 실천적 함의 134
      • 3. 정책적 함의 136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38
      • 참고문헌 141
      • 부록, 설문지 164
      • Abstract 17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oss, Pauline G., "가족학이론", 문음사, 서울:문음사, 1999

      2 나혜숙, "장애인복지론", 중앙경제, 서울: 학지사, 2010

      3 김강운, "자기결정권과 평등", 圓光大學校 法學硏究所, 법학연구, 22(1), 269-292, 2006

      4 문병상, 이명자, "청년기의 발달 특성", 한국발육발달학회, 발육발달. 8(1), 97-107, 2000

      5 남순현, 황영훈, 전영주,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5

      6 김진희, 최중옥, 박희찬, "지적장애아 교육. 서울", 양서원, 2002

      7 임희섭, "“삶의 질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5-18, 1996

      8 이일영, 임신영, "중증 장애 아동과 삶의 질",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간호학탐구, 7(2), 8-18, 1998

      9 박명애, "자기결정기술 활동 프로그램",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6

      10 이미숙, 박재국, "장애인 삶의 질(QOL)의 연구동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0(2), 1-25, 2001

      1 Boss, Pauline G., "가족학이론", 문음사, 서울:문음사, 1999

      2 나혜숙, "장애인복지론", 중앙경제, 서울: 학지사, 2010

      3 김강운, "자기결정권과 평등", 圓光大學校 法學硏究所, 법학연구, 22(1), 269-292, 2006

      4 문병상, 이명자, "청년기의 발달 특성", 한국발육발달학회, 발육발달. 8(1), 97-107, 2000

      5 남순현, 황영훈, 전영주,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5

      6 김진희, 최중옥, 박희찬, "지적장애아 교육. 서울", 양서원, 2002

      7 임희섭, "“삶의 질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5-18, 1996

      8 이일영, 임신영, "중증 장애 아동과 삶의 질",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간호학탐구, 7(2), 8-18, 1998

      9 박명애, "자기결정기술 활동 프로그램",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6

      10 이미숙, 박재국, "장애인 삶의 질(QOL)의 연구동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0(2), 1-25, 2001

      11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재활복지, 9(2), 114-141, 2008

      12 양옥경,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24, 157-198, 1994

      13 김세연, 차유진, "한국판 SWAL-QOL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5), 2981-2988, 2014

      14 차경호, "대학생의 성격 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 9(1), 2001

      15 김정권, 김혜경, "자기결정 이론과 모형에 대한 비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2(1), 1-24, 2001

      16 류호경, "척수장애인 삶의 질 측정척도 개발",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7 Wehmeyer, M. L.,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전략", 학지사, 학지사, 2010

      18 김혜경,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훈련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9 심미, "청소년의 삶의 질 척도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0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1), 19-36, 2009

      21 양옥경, "정신장애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 131-153, 1992

      22 추연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지원 방안", 발달장애학회, 발달장애학회지, 12(1), 129-152, 2008

      23 박주현, 한성덕, 정하정 , 정우진, 이현송, 윤병식, "한국인의 삶의 질과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96(30), 309, 1996

      24 노유자, 이영숙, 김춘길, "삶의 질과 관련된 국내 간호논문 분석", 성인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지, 11(4), 743-757, 1999

      25 조인수,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26 국승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모델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7 김정희, 이은영, 손인봉, "발달장애인 가족지원체계의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2009

      28 고수현, 박세정,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행정학회, 복지행정논총, 18(2),115-142, 2008

      29 안주영, 정병국, 이정원, "가족체제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성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 8(3), 289-303, 2010

      30 박숙경,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권리 보장 방안",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인권법평론, 1, 67-108, 2007

      31 김정현, 박현옥,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20(4), 79-101, 2016

      32 박성일, "청각장애 장노년기의 삶의 질 척도 개발", 한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3 김경열, "지적장애인의 직업생활에 관한 사례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사)아시아문화학술원, 895-905, 2018

      34 Diane, L. G., 장정윤, 박세윤, 류민정, 김중, "한국판 삶의 질 척도(K-QoLS)의 예비타당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 포츠심리학회지, 26(1), 62-72, 2015

      35 김승호, 김은라, 박재국,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장애와 고용, 26(4), 173-195, 2016

      36 박재국,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이론적 고찰", 특수아동교육연구, 5(2), 149-166, 2003

      37 박승희, "한국 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特殊敎育學會,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51-93, 2002

      38 김수연, "가족의 응집 및 적응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35(1), 59-74, 1997

      39 김수진, "장애유아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경험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73-95, 2015

      40 조인수, "지적 발달장애인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방략", 대구대학교 출판부,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8

      41 한영란,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42 김교연, "지적 장애인의 자기결정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7, 167-193, 2007

      43 김주연, "가족기능에 다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44 박승희, "장애인의 삶의 질 구성요소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4(2), 72-120, 2000

      45 고혜정, "″지적 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18(1), 307-324, 2016

      46 이성규, "장애인의 삶과 직업. 사회통합과 장애인복지정책", 나눔 출판사, 2000

      47 이혜영, "정신지체아 가족의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특성",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8 황성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5(3), 203-229, 2011

      49 김정권, 김혜경, "발달지체인의 자기결정 : 교육적 접근과 가족참여", 특수교육연구, 7, 3-26, 2000

      50 정소연 ( So Yon Jung ), 김정인(Jeong In Kim), 서홍란(Honglan Seo),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20(4), 107-134, 2016

      51 이선영,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춘계학 술대회 자료집, 189-211, 2004

      52 김은숙, 박석돈, "중증장애인의 고용과 삶의 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0, 105-124, 2002

      53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4 김수진, "“장애유아의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정서 행동장애연구, 30(3), 151-176, 2014

      55 서지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메타분석", 가족과 가족치료, 20(3), 457-486, 2012

      56 강희복, 이상주, 김애리나, "가족기능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미 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9(4), 163-191, 2007

      57 장경주,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와 형제의 경험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58 이영희, "공동생활가정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9 김민영, 홍성두, "발달장애 고교 졸업생의 성인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사회, 12(4), 79-100, 2016

      60 오혜경, "사회복지실천에서 자기결정권과 자기결정권의 제한",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인간연구, 11, 220-235, 2006

      61 이형석, 김지혜, 권의정, 구형모, 고혜정, 김도관, "노인 삶의 질 척도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59-881, 2003

      62 박정임, 이금진,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사회사업. 42(2), 33-62, 2012

      63 박종엽, 양희택,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처양태 변화의 재구성",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책, 41, 54-94, 2013

      64 서지혜, 정지은, 정다찬, 오소윤,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한국직업재활 학회, 6, 125-146, 2017

      65 오혜경,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자기결정권과 자기결정권의 제한", 인간연구, 11(11), 220-235, 2006

      66 남현주, 이현지,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1(1), 121-140, 2017

      67 이영미, "장애인의 자기결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8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9 조인수, 이한얼, "학령기 이후 지적장애인의 진로 선택에 따른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339-353, 2012

      70 김혜경, 조인수,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훈련의 당위성과 수업적 접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4(3), 17-38, 2003

      71 박희찬, "지적장애인 고등학교 졸업 이후 전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정신지체연구, 15(2), 1-24, 2013

      72 김용득, 박숙경, "“지적장애인의 거주시설 유형별 자기결정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0(4), 79-103, 2008

      73 정승희, 최성규 ( Sung Kyu Choi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4 백은령, 전동일, "성인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설명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30, 257-281, 2015

      75 이복실 ( Bok Sil Lee ),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서비스 제공자 인식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1), 77-97, 2016

      76 송성자,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비교와 한국가족치료접근전략", 한국가족치료학회, 5(1), 1-26, 1997

      77 이미나, 최인, 이현주, "한국 청소년 안녕감 척도(K-WBSA)의 타당화 및 삶의질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 심리연구, 22(1), 301-315, 2008

      78 국승희, 손정락, "Happy-Qol 척도의 교차 타당화: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임상, 22(3), 699-708, 2003

      79 김정권, 조인수, 김혜경, 문태형, "발달지체청년을 위한 자기 결정 능력 검사의 표준화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 육재활과학연구, 39(2), 99-127, 2000

      80 정희섭, 최윤미, "자기결정 : 발달장애인을 위한 자기결정 이론과 프로그램", 정민사, 2013

      81 이창미, "장애아 가족과 비장애아 가족 삶의 질 관련요인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82 강민채, 박현주, "고등부 특수교사의 전환교육계획과 실행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발달장애연구, 21(1), 1-25, 2017

      83 방명애, "장애아동을 위한 전이지원 전략으로의 의사결정기술 교수", 한국특수교육학회지, 34(3), 27-48, 2006

      84 박수경(Park Soo-Kyung), "자립생활 패러다임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8(2), 237-264, 2006

      85 김인옥, 이원령,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연 구, 27(1), 101-120, 2011

      86 국승희, 이무석, 윤진상, "한국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대한신경정신 의학회, 37(2), 280-294, 1998

      87 고영택, 허시영, 최충식, 최영희, 장안기, 이정흠, 송욱, 김한석, "한국어판 Heinrichs 삶의 질 척도의 개발: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8(1), 86-97, 1999

      88 노필순, 윤혜미, "“중학생의 빈곤감, 가족기능과 사회적지지 및 문제행 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학교사회복지, 12, 23-46, 2007

      89 김재엽, 정윤경,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및 폭력 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한국청소년학회, 14(5), 169-197, 2007

      90 김진조, 한상익, 정양환, 박이진, 박승만,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WHOQOL-BREF의 타 당도 및 유용성", 대한위암학회, 대한위암학회지, 4(4), 263-267, 2004

      91 정소영, 김삼섭, 임경원,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 지, 17(2), 279-297, 2013

      92 김동일, 김언아,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한국특수교육학 회지, 39(4), 25-41, 2005

      93 민성길, 박성혁, 이황빈, 손소정, 김진훈, 김승업, Diane JW, 임선진, "한국어판 정신분열병 삶의 질 척도의 개발과 PANSS와의 관련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5), 401-410, 2006

      94 민성길, 이창일, 서신영, 김광일,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 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9(3), 571-579, 2000

      95 강희설, 이복실, 김용득, "“지적장애인이 인식하는 사회복지 서비스제공자와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한국사회복지 연구회, 40(4), 231-257, 2009

      96 권영욱, 황경열,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도정신지체아동의 자기결정력과의 관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한국동서정신과 학회지, 8(2), 151-163, 2005

      97 황보옥,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98 장은숙,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 경험의 구조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99 김길태, 유애란,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재활학회, 한국직업재활 학회, 23(3), 113-134, 2013

      100 방명애, "장애대학생의 의사결정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연구, 19(3), 149-167, 2002

      101 이성봉, "한국과 미국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 능력 비교", 한국자폐학회, 자폐성장애연구, 12(3), 61-78, 2012

      102 권복순, 박영준, "“장애아동 양육자의 양육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회, 29, 191-219, 2002

      103 이정은,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1

      104 김동주, 정무순, "성인 지적장애인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한국직업재활 학회, 21, 1-20, 2011

      105 오세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정신지체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0(2), 38-62, 2006

      106 임지향,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기능과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107 조인수, "지적발달장애인 삶의 질적 구성요소와 자기결정 교수전략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한국정신지체아교육 학회, 10(1), 1-32, 2008

      108 김수현, 강현정, 김윤정,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 가족복지학, 13(3), 51-71, 2008

      109 김성봉, 박현철,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 계학회지, 1(3), 167-193, 2011

      110 고관우,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의 관계분석", 제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11 권미경(Kwon Mi Kyung), 장미영(Jang Mi Yeong), 송미령(Song Mi Ryeong), 안혜영(Ahn Hye Young),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 한국아동간호학회, 12(2), 180-188, 2006

      112 윤명숙, "상실의 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 복지학회, 17, 175-191, 2014

      113 박선아,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사회과학연구, 20(3), 107-128, 2009

      114 김승경, 강문희, "이혼 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 26(1), 261-278, 2005

      115 김교연, "장애청소년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관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 론과 실천, 13(3), 313-341, 2012

      116 이응훈, "정신지체인의 성과중심 전환교육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촉진 방 략", 대구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6

      117 김진우, "“지적장애인 관점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35, 169-195, 2008

      118 모진아, "근육장애 아동 보호자의 삶의 질과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간호학회, 한국가정간호학 회, 18(2), 99-107, 2011

      119 김은주, 김주환, 홍세희, "한국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 결정성이 학업 성취도에 주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교 육심리연구, 20(1), 243-264, 2006

      120 심석순, "“성인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 구, 38, 1-23, 2013

      121 안성저, "아동이 지각한 가족응집력 및 적응성과 대인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3

      122 김병수, 차동혁, 옥선화, 선우성, 박훈기, 김영식, "FACES Ⅳ의 가족의사소통 척도(FCS) 한국어판 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41-258, 2012

      123 홍경희, "“정신지체아 가족과 자폐아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124 한영란,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정신보건과 사 회사업, 4, 1997

      125 서미경(Seo Mi-Kyoung), 김정남(Kim Chung-Nam),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 회복지학, 56(4), 179-194, 2004

      126 정상미, 허일권, 김민아,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지적장애인의 성인초기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36, 5-31, 2017

      127 김희국(Hee-Guk Kim),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와 편견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1(2), 63-84, 2010

      128 이순자, "지적장애성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기능과 자기결정능력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129 김정효(Jeonghyo Kim), 이정은(Jeongeun Lee),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들의 삶에 관한 어머니들의 보고",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 육학연구, 42(4), 245-276, 2008

      130 석말숙, "장애인가족과 비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 비교연구: McMaster Model 의 적용",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 족복지학, 18(2), 105-131, 2013

      131 박용순, 손진영, "만성질환 남성노인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한국 사회복지교육, 17, 79-96, 2012

      132 박영근(Park Yung-keun), John L. Hosp, 김정현(Kim, Jung Hyun), "발달장애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실천적 과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3), 231-258, 2013

      133 박준영, 황보옥,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 지, 14(3), 299-324, 2010

      134 김화신,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서울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35 박재국, 전혜영, "장애인의 객관적·주관적 삶의 질에 따른 잠재계층분석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한국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1), 31-56, 2018

      136 이미숙, "척도 번역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어 FACES Ⅳ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 한국지 체 중복 건강장애교육학회 지체 중복 건강장애연구, 57(2), 23-44, 2014

      137 권회연, 이미애, "통합교육 경험이 대학생들의 장애인 인권 의식 및 인성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한 국통합교육학회, 10(2), 1-27, 2015

      138 김윤희,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 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139 최승희,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 자기결정에 관한 고찰 : 미혼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연구, 8, 77-93, 2004

      140 이정원, 정병국, "지체부자유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족체제유형에 따른 자기결정능력의 비교",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 체중복건강장애연구, 47, 185-200, 2006

      141 이경화, 정혜영,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자기조절력, 주관적 안녕 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아동학회, 아 동학회지, 29(4), 167-179, 2008

      142 김재훈, "우리나라 성인발달장애인의 기본권으로서의 사회적 역할 보장에 관한 연구", 진보평론, 진보평론, 66, 183-223, 2015

      143 박성우, "경도 정신지체아의 고용상태와 거주형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특수교 육학연구, 38(3), 259-281, 2003

      144 신현기(Shin Hyun-Ki), 박성우(Park Sung-Woo), "경도 정신지체인의 고용상태와 거주형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38(3), 259-281, 2003

      145 장세영, "사회적 지지모임이 뇌성마비 아동 가족의 부담감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146 이은미, 김화신, 강석준, "주간보호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가 발달장애인의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31, 193-219, 2016

      147 김진우, 김민영,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 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한국 사회복지질적연구, 5(2), 5-34, 2011

      148 김형선, "노인 장기요양보험 급여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49 김민영, "장애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50 김향희, 김덕용, 신지철, 김수정,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삶의 질 척도(SAQOL-39): 한국어판 의 타당도 및 신뢰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6(4), 245-265, 2012

      151 김고은(Go-eun Kim),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우울 : 가족관계 만족의 중재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구,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정신보 건과 사회사업, 38, 237-259, 2011

      152 신준옥, "발달장애인의 직업능력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한국 사회복지교육, 34, 47-70, 2016

      153 양숙미, "성인 정신지체인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 복지연구, 12, 59-84, 1998

      154 김미혜 ( Mee Hye Kim ), 장숙 ( Sook Jang ),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비장애 손위 여자형제들의 부양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32(6), 37-67, 2011

      155 황환, 노승현, "자기선택과 지역사회통합의 기회가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연구, 17(2), 233-257, 2010

      156 추연구, "정신지체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기술에서 자기규칙의 촉진 방안", 한국발달장애학회, 발달 장애연구, 11(1), 1-21, 2007

      157 강윤주, 공마리아, "사회적 지지와 사회 참여,삶의 만족도가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리연구, 20(3), 463-480, 2013

      158 박안나, 정종화, 윤재영, "지적장애인 자립생활기술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 구: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한국장애인복지학, 23, 93-118, 2014

      159 신은희, 이영철,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2(4), 67-95, 2010

      160 김정득, "발달장애인부모와 비장애형제의 가족적응성. 대처전략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 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161 김용득, 이상록, "성인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원하는 거주시설 유형에 대한 연구: Q방법론의 적용",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23, 119-142, 2014

      162 이숙자, 임성욱, "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9(2), 469-483, 2008

      163 정지영, "가족 유연성과 응집력 평가척도(FACES Ⅳ)의 한국판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64 권인수, 김미경,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사회적 지 지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간호학회, 한국아동간호학회, 1, 1-10, 2016

      165 박미숙, 구자경,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휴대폰중독의 관계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3(4), 2001-2015, 2012

      166 김경애, "개인,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자율성과 자기규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 적장애연구, 10(2), 105-121, 2008

      167 최해경,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보호부담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 회과학연구, 21(2), 226-243, 2010

      168 이숙영,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28, 137-169, 2009

      169 이영희, "만성질환이 있는 가족과 정상가족의 가족기능의 비교 연구 : 노인 가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170 Jin Kim, "사회적 지지가 성인발달장애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위 기관리 이론과 실천, 11(10), 189-212, 2015

      171 국승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Happy-Qol 척도의 개발: Rasch 모델을 이 용하여",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665-691, 2002

      172 방명애, "자기결정기술 활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0(1), 60-84, 2006

      173 조인수, 조재현, "한국어판 미네소타 자기결정력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2(2), 25-47, 2010

      174 김성애, "발달장애유아 및 학생의 자기결정 기술 촉진을 위한 우리 나라 특수교육 현장의 과제",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인연구, 3, 93-105, 2001

      175 박광옥, 김용득, 이호선, "성인 지적장애인의 위험감수 행동에 대한 인식 - 당사자, 부모, 서비스 제공자의 비교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32, 217-244, 2016

      176 유은희, "성인자녀_부모의 정서적 유대와 가족생활변화의 적응: 전생애적 애착이론을 중심으 로", 여성연구, 33, 111-143, 1991

      177 백은령, 오혜경,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서 울지역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 13(2), 157-181, 2003

      178 조인수, 윤형진,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기결정훈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 율 성 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1(2), 1-20, 2009

      179 김용욱, 박성우, "특수한 학습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장애 유형과 연령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한국특수교육학회지 : 이론과 실천, 5(4), 251-270, 2004

      180 김언아,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진로 의사결정과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 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81 엄명용, 박자경, "사회적 지지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분석 -장애수용 요 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13(4), 10-23, 2009

      182 류숙렬,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회지, 38(1), 161-181, 2003

      183 김용욱,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 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2), 137-154, 2005

      184 이인재, 조민호, "가족의사결정에서 Olson의 순환모델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자녀의 영향 력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대한관광경영학회, 24(2), 2009

      185 남연희, 김영삼, 천덕희, 이승준, 채인석, "척수손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연구: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37(2), 1-22, 2011

      186 정대영, 김수진,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연구, 27(1), 169-196, 2011

      187 장진경(Chang Jin Kyung), "가족 적응력과 가족기능과의 관계 : Olson의 순환모델의 곡선성과 Beavers의 체계모델의 선형성",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1-13, 1995

      188 정영숙, 배경희, "발달장애아동 가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양육부담 및 대처행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7(4), 115-137, 2008

      189 김교연, "성인 정신지체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전략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주는 영향",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8(2), 91-115, 2007

      190 김은주, 조경서,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 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1), 269-288, 2014

      191 서보준, 김우호, 윤선오, "지적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8(2), 101-115, 2016

      192 정일교, "사회적 지지가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19(4), 61-81, 2015

      193 김언아(Kim Eona), 김동일(Kim Dong Il),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진로의사결정과 졸업 후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한국특수교육학회지, 41(1), 283-306, 2006

      194 이한얼, "지적장애인이 적응행동과 지원요구와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 위논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1, 43-68, 2011

      195 고일영, 황경열, 용홍출, 김철,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리연구, 8, 115-134, 2009

      196 김민아, 안희철,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7 강미라 ( Mi Ra Kang ),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6(2), 493-519, 2015

      198 박재우, "독일 ‘재가 돌봄 주거형태’를 통해 살펴본 지적장애인의 자립적 주거환경에 관한 탐 색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31, 297-321, 2016

      199 김고은, 이해영,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연구 -부모의 중요성 인식과 교수실행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28, 99-118, 2015

      200 양옥경, "지적사회정신건강-pooled time series model 분석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환경 특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6, 1-24, 1990

      201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2 김경혜, "통합보육시설 재원 장애아동 부모에 대한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1, 157-180, 2005

      203 박주홍, 이경림,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능력과 부모의 성취기대 및 지원서비스 요구분석 : 부 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131-151, 2013

      204 김대규, 신동환,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 구 :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19(1), 151-172, 2015

      205 임정숙, 황미경,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돌봄경험, 가족기능, 사 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6(1), 83-113, 2015

      206 서원지, "지역사회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7 김덕규, "스캐폴딩 전략에 기반한 심리운동 중재가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사회성 기 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08 최광현, "Olson의 Circumplex 모델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 아동의 자아탐색, 또래 및 가족관계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청소년시설환경, 14(4), 103-112, 2016

      209 신종호, 진성조, 김연제,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 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회, 24(1), 121-137, 2010

      210 조한익, 황정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간의 관계: 정서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9(4), 27-52, 2012

      211 고은미, "청각장애청소년의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2 우주영, 한진희,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적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자녀의 자기결정성 및 또 래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발달장애연구, 16(4), 75-104, 2012

      213 구만서, 박능후,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접근 성과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 19, 79-115, 2016

      214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15 김우호, 이현지, "장애청소년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15(3), 131-153, 2011

      216 이숙향(Lee Suk Hyang),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43(4), 47-74, 2009

      217 강동선 ( Dong Seon Kang ), "자기결정기술을 적용한 방과 후 놀이프로그램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55(1), 1-13, 2016

      218 최명구, 성소연, 김은영, "자기결정동기 유형에 따른 부모의 자율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한국청소년학회, 21(5), 1-27, 2014

      219 강혜경(Kang, Hye Kyung), 이경순(Lee KyungSoon), 김정효(HyeKyung·Kim JeongHyo), "전환교육 요소를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재 교사의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143-175, 2011

      220 이복실, "성인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 향 –기회제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5(2), 5-28, 2013

      221 백진아, 박옥순, "발달장애인 가정의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폐학회, 자폐성장애연구, 15(1), 69-86, 2015

      222 구정아, "의사결정전략을 활용한 개인안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개인안전지식 및 기술 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23 권중돈 , 오영희, 석재은 , 김정석,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 여성, 농어촌, 독 거노인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단행본, 2005

      224 이축하, 조희선, "발달장애인 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이 청년기 형제자매의 내발적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 393-393, 2012

      225 이호선, "지적장애인 정책과 서비스에서의 위험과 안전의 균형 : 영국의 적극적인 위험감수 (positive risk taking)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한국장애인복지학, 22, 45-164, 2013

      226 박애선,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가족기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41, 143-165, 2013

      227 최일섭, 고기숙, "정신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331-359, 2007

      228 김한나, 최윤신, 김혜련,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대학생자녀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 중감과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3(2), 113-130, 2012

      229 이지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 의 부적 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30 김교연, "지적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 : 장 애인 생애주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3(8), 43-70, 2008

      231 박성우, 신현기,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 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 행동 평가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1(1), 201-218, 2005

      232 김재형, 최지선, 이익섭,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감 영향요인 에 관한 연구 : 자녀의 사회적응력, 가족응집력, 활동보조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 사회복지학, 32, 31-60,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