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에서는 2000년 1월 12일 제조물책임법이 제정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독일에서는 유럽공동체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지침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미 1989년 12월 15일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나라에서는 2000년 1월 12일 제조물책임법이 제정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독일에서는 유럽공동체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지침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미 1989년 12월 15일 제...
우리 나라에서는 2000년 1월 12일 제조물책임법이 제정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독일에서는 유럽공동체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지침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미 1989년 12월 15일 제조물책임법을 제정하여 1990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에서 제조물책임법이 제정되기 전의 논의에 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 다음, 제조물책임법의 내용과 법제정 이후의 상황에 관하여 다루었다. 독일의 제조물책임법은 유럽공동체의 제조물책임지침에 따라 무과실책임원칙을 채택하였다. 그런데도 독일법에서는 피해자가 불법행위법에 기한 제조물책임을 추궁하는 경우가 많다.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으나, 이 법에 대한 연방대법원 판결은 오직 하나밖에 없다. 결국 종래의 불법행위법에 의한 해결이 제조물책임법에 의한 해결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독일 제조물책임법이 실무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은 제조물책임법에 여러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내년 7월부터 시행될 우리 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은 독일의 제조물책임법과 기본적인 골격이 유사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독일의 제조물책임법과는 달리 비재산적 손해에 대해서도 제조물책임법이 적용되고, 피해자를 소비자에 한정하지 않았으며, 책임한도액을 정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는 우리 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이 독일의 제조물책임법보다 다소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나, 우리 나라의 제조물책임법을 해석ㆍ운용하는데 독일의 논의와 경험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legal theories on product liability have developed slowly through a colloquy between the courts and academic commentators. It was only on 12 January 2000 that the Product Liability Act was enacted, scheduled to be enforced from 1st July 2002...
In Korea, legal theories on product liability have developed slowly through a colloquy between the courts and academic commentators. It was only on 12 January 2000 that the Product Liability Act was enacted, scheduled to be enforced from 1st July 2002. Meanwhile, in Germany, product liability law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Civil Code, before the German Product Liability Act of 15 December 1989 has been enforced since 1990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EEC Directive on Liability for Defective Products. Considering that Korean legal system essentially modeled after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that it was considerably influenced by the German law in the area of civil law, and further that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are very much similar to that of Germany, exploring the German law on product liability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will offer precious insights into the futur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in Korea.
This paper looks at the German Product Liability Act and examines the legal situation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ct, with some comparative study with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The German Product Liability Act adopted the strict liability for faulty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CC Directive. However, under the German law, injured parties would rather be pursuing product liability claims under the tort provision of the Civil Code. For the past ten years since the coming into force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there is only one decision rendered by the Federal Court of Justice on this Act. This suggests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duct liability via tort law serves as the more important basis for claims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inefficiency of the German Product Liability Act in actual court practices owing to the many limitations inherent in the Statute.
In terms of the basic structur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is similar to that of the German Product Act, primarily in the sense that the Act does not apply to the damage to the product itself and that the defence of "product development risk" by a producer is allowed. However, unlike the German Product Liability Act,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is applicable to the compensation for immaterial loss as well; the scope of the injured party is not necessarily confined to consumers; and it does not prescribe the limit on the producer's total liability for damages. With the differences in mind,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is enacted more or less in a better shape than its German counterpar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