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ed 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와 감성반응 = Brain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Changes in Red Eye Shadow Brightness and Satu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22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먼셀의 기본색인 red아이 쉐도우를 사람의 뇌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미지 형성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각 눈에 다섯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

      목적: 본 연구에서는 먼셀의 기본색인 red아이 쉐도우를 사람의 뇌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미지 형성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각 눈에 다섯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에 의한 바탕뇌파의 상대 뇌파 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를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변화된 red 아이 쉐도우 선호도와 감성 이미지 조사를 통해 평균선호도 지수 파악하였다. 뇌파와 감성평가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고, 95% 신뢰수준에서 Tukey'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 결과: Red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를 변화시켜 만든 자극물을 제시하여 획득한 뇌파와 감성결과는 남녀 모두 저명도와 고채도의 자극에서 β파와 γ파가 활성 되었고 α파는 비활성되었다. 남성은 명도자극에 대하여 민감하였고, 여성은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반응이 더욱 변화가 컸다. 남녀 모두 red 아이 쉐도우 명도단계가 8, 채도는 2일 때 선호도가 높았다. 남녀의 PI반응결과는 저명도일 때 모던하고 점잖다는 평가였고 고명도의 자극에서는 맑고 귀여운 이미지로 느껴진다고 하였다. 중채도의 자극에서 남녀 모두 맑고 네추럴 한 이미지로 평가하였고 고채도의 자극에서 모던한 이미지로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결론: 다양한 색자극에 의한 사람의 뇌와 감성에 자극을 미친 결과들은 향후 이미지 컨설팅이나 원하는 이미지 연출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nvestigating how Munsell’s primary color (i.e., red eye shadow) influences human brain and emotional responses to establish foundational data for image form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relative power differences in background brainwaves...

      Purpose: Investigating how Munsell’s primary color (i.e., red eye shadow) influences human brain and emotional responses to establish foundational data for image form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relative power differences in background brainwaves due to variations in five levels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eye both in male and femal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We use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waves for our analysis. In addition, we assessed the preferences for altered red eye shadow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o determine the average preference index.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for brainwaves and emotional evaluations using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in SPSS, followed by post hoc testing with Tukey’s test at a 95% confidence level. Results: The brainwave and emotional responses obtained by presenting red eye shadow brightness and saturation modification-created stimuli revealed that both men and women exhibited beta and gamma wave activation and alpha wave inactivation upon low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stimuli. Men were more sensitive to brightness stimuli, whereas women displayed higher-level variability in brainwave responses upon saturation changes. Both genders preferred red eye shadows with brightness and saturation levels of 8 and 2, respectively. The perceptual image responses indicated that stimuli with low or high brightness were perceived as modern and subtle or clear and cute, respectively. Medium or high saturation stimuli were perceived as clear and natural or associated with a modern image, respectively, by both gender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act of various color stimuli on the human brain and emotions. We consider the obtained results as foundational data, which could be used in future image consulting or when crafting desired image present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