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혁명의 유산인 ‘분점된 군권 구조’가 1949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 체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시론적으로 분석했다. 즉 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까지 전국은 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79948
김판수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2022
Korean
마오쩌둥 ; 펑더화이 ; 린뱌오 ; 인민해방군 ; 군구사령관 ; Mao Zedong ; Peng Dehuai ; Lin Biao ; People's Liberation Army ; Commander of military district
KCI등재
학술저널
259-293(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혁명의 유산인 ‘분점된 군권 구조’가 1949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 체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시론적으로 분석했다. 즉 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까지 전국은 어...
이 글은 혁명의 유산인 ‘분점된 군권 구조’가 1949년부터 1976년까지 마오쩌둥 체제와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시론적으로 분석했다. 즉 1954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까지 전국은 어떻게 ‘군구 체제’로 분할되었고, 1950년대 발생한 심각한 정치적 사건으로서 ‘반당집단 사건들’이 왜 가오강·라오수스 및 펑더화이 3인의 ‘군구사령관’에 대한 숙청이었는지, 나아가 문화대혁명의 중요한 변곡점 중 하나인 1971년에 왜 또 한 명의 군구사령관 린뱌오가 ‘쿠데타 시도’로 사망했는지, 마지막으로 마오쩌둥 사후 왜 마지막 생존한 군구사령관 덩샤오핑이 최고지도자로 등장했는지 설명한다. 이는 당-군관계에서 ‘당-국체제’로의 이행에 관한 문제로서, 결과적으로 마오쩌둥은 분점된 군권에 따른 오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한 후 사망했다. 그의 ‘군권 독점 노력’은 그의 사망 이후 의도치 않게 당-국체제 하의 군권 통제 기반을 정초했고, 또 집단지도체제 등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즉 이러한 역사적 조건 하에서, 유일한 ‘생존 군구 사령관’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후계자인 화궈펑을 실각시킨 후 3대 국방부장 예젠잉과 함께 집단지도체제의 ‘한시적 제도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미, "현능주의 논의에서 바라본 차이나 모델의 구상과 한계"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197-232, 2021
2 송인영, "중국의 정치와 군" 한울 1995
3 조영남, "중국의 엘리트 정치 – 마오쩌둥에서 시진핑까지" 민음사 2019
4 김판수,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와 당-대중 개조체계의 형성 (1935-1945)"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15-59, 2015
5 김판수, "중국공산당의 이당치군(以党治军) 확립, 1927-1938"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7 (17): 245-280, 2021
6 이원준, "중국공산당의 도시 접관 정책과 ‘신민주주의혁명’" 역사문제연구소 (117) : 282-308, 2016
7 후안강, "중국공산당은 어떻게 통치되는가 – 집단지도체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8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중국공산당 역사 2 상" 서교출판사 2014
9 로드릭 맥파커,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0 해리 하딩,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 장윤미, "현능주의 논의에서 바라본 차이나 모델의 구상과 한계"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197-232, 2021
2 송인영, "중국의 정치와 군" 한울 1995
3 조영남, "중국의 엘리트 정치 – 마오쩌둥에서 시진핑까지" 민음사 2019
4 김판수,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와 당-대중 개조체계의 형성 (1935-1945)"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15-59, 2015
5 김판수, "중국공산당의 이당치군(以党治军) 확립, 1927-1938"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7 (17): 245-280, 2021
6 이원준, "중국공산당의 도시 접관 정책과 ‘신민주주의혁명’" 역사문제연구소 (117) : 282-308, 2016
7 후안강, "중국공산당은 어떻게 통치되는가 – 집단지도체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8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중국공산당 역사 2 상" 서교출판사 2014
9 로드릭 맥파커,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0 해리 하딩,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1 케네스 리버설,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2 프레더릭 C. 트위스, "중국 현대정치사" 푸른길 2012
13 백승욱,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 중앙문혁소조장 천보다와 조반의 시대" 그린비 2012
14 모택동, "모택동 선집 2" 범우사 2002
15 첸리췬, "망각을 거부하라 – 1957년학 연구 기록" 그린비 2012
16 김판수, "마오쩌둥의 군권과 대중정치, 그리고 중국식 당치(黨治): 전쟁・내전 시기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64 (64): 9-40, 2021
17 김판수, "마오쩌둥과 黨治없는 건국 : 1930년 12월 [富田事變]을 중심으로" 1 (1): 84-119, 2019
18 알렉산더 판초프, "마오쩌둥 평전" 민음사 2017
19 필립 쇼트, "마오쩌둥 1" 교양인 2019
20 모리스 마이스너,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 이산
21 펑더화이, "나, 펑더화이에 대하여 쓰다" 앨피 2018
22 최명, "中共에 있어서 黨과 軍의 關係 - 民軍關係의 共產圈 모델에 관한 一考察" 261-278, 1983
23 Dikötter Frank,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1962" Bloomsbury USA 2011
중국의 화교화인 우대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민 권리에 대한 역차별을 중심으로
밀키트 선택속성이 중국 1인 가구 소비자들의 지각된 가치, 소비자 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회색지대 전략의 향후 전망과 정책적 함의: 미 · 중간 국가이익의 차이를 중심으로
냉전 시기 국민정부의 타이완 국가건설과 중공군 포로 : 통치 정당성의 손상과 회복의 문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