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TEAM-based Unplugged Play Activities Using Robo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5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for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participationin STEAM-based unplugged robotic activities can improve their creative and socialpersonal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5-year-old children (N=125) from 11 child care center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39 boys and 24 girls enrolled in classrooms thatimplemented an unplugged activities curriculum over five weeks. The control groupconsisted of 38 boys and 34 girls.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analysisof covariance, and Hedges’ g was used to measure effect size.
      Results: First, the participating children’s mean scores on creative and socialpersonalities were 3.20 and 3.53 on a 5-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Girls scoredhigher than boys in sensitivity-various interests and imagination-playfulness domainsof creative personality and all three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 Second, children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ll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and the effect size was large. They also improved in three domains (openness-humor,imagination-playfulness, independency-immersion) of creative personality, althoughthe effect size was small.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imply that implementing a roboticscurriculum with unplugged play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contributesto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번역하기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for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participationin STEAM-based unplugged robotic activities can improve their creative and socialpersona...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for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participationin STEAM-based unplugged robotic activities can improve their creative and socialpersonal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5-year-old children (N=125) from 11 child care center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39 boys and 24 girls enrolled in classrooms thatimplemented an unplugged activities curriculum over five weeks. The control groupconsisted of 38 boys and 34 girls.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analysisof covariance, and Hedges’ g was used to measure effect size.
      Results: First, the participating children’s mean scores on creative and socialpersonalities were 3.20 and 3.53 on a 5-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Girls scoredhigher than boys in sensitivity-various interests and imagination-playfulness domainsof creative personality and all three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 Second, children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ll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and the effect size was large. They also improved in three domains (openness-humor,imagination-playfulness, independency-immersion) of creative personality, althoughthe effect size was small.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imply that implementing a roboticscurriculum with unplugged play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contributesto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수,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73-101, 2009

      2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조현정, "한국과 미국의 유아 STEAM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4 유진희, "학습과제에 따라 교사중심 토의수업과 학생중심 토의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가정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유구종,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 로봇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83-418, 2018

      6 손정은,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7 류경희, "통합적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51-74, 2017

      8 서영민,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9-26, 2010

      9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10 이정순, "자유선택활동에서 지능형로봇 활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3

      1 박일수,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73-101, 2009

      2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조현정, "한국과 미국의 유아 STEAM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4 유진희, "학습과제에 따라 교사중심 토의수업과 학생중심 토의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가정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유구종,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 로봇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83-418, 2018

      6 손정은,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7 류경희, "통합적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51-74, 2017

      8 서영민,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 통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19-26, 2010

      9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10 이정순, "자유선택활동에서 지능형로봇 활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3

      11 천희영,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유아용 언플러그드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혼합 연구방법적 접근"

      12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3 김형재,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613-640, 2016

      14 교육과학기술부, "융합인재교육(STEAM) 2011년 성과발표회 자료집"

      15 정민자,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선진,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17 김소향,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49-371, 2016

      18 천희영,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보육학회 19 (19): 177-196, 2019

      19 최명선,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성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03-116, 2006

      20 강소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성에 따른 또래 놀이개입 전략과 놀이개입의 결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송선주,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성발달 및 혼합연령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2) : 121-141, 2017

      22 이영,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 40 (40): 85-97, 2002

      23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24 박유경, "유아 창의적 행동특성 척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5 김숙희,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73-298, 2018

      26 김지나, "유아 인성과 부모가 인식한 부모-자녀 관계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7 김현수, "유아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3-55, 2017

      28 정민경,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05-724, 2018

      29 성지현, "언플러그드 로봇을 활용한 5세 유아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7-128, 2020

      30 심수영,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1 천희영,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227-248, 2018

      32 임명숙,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이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8 (18): 67-86, 2018

      33 이우리, "스마트로봇 알버트BT를 활용한 코딩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34 한국과학창의재단,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35 최현주,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601-627, 2016

      36 조여울, "미술활동 중심의 STEAM(융합인재)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37 하주현,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99-115, 2003

      38 안효재,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205-224, 2014

      39 박수진,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원장의 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의 만족도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6

      40 최현주,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81-210, 2019

      41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7-341, 2014

      42 최은아, "누리과정과 연계한 로봇 활용 유아 코딩 놀이 지도" 현대출판인쇄사 2019

      43 신수경, "놀이유형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23-245, 2008

      44 Gurian, M., "남자아이의 뇌 여자아이의 뇌" 21세기북스 2012

      45 김미옥, "그림책 활용 확장활동이 유아의 독해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5): 23-40, 2015

      46 유진은,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7-49, 2013

      47 최진령,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153-178, 2017

      48 백선미, "교사용 유아 인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9 유태용, "가설검증에서 통계적 유의도와 효과강도 통계치 간의 관계" 1993 (1993): 319-330, 1993

      50 이지현, "〈로봇〉프로젝트를 통한 초등학교 1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 및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1 Lindeman, K. W., "Using blocks to develop 21st century skills" 70 (70): 36-43, 2015

      52 Yakman, G., "Using Bad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2007

      5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54 Leland Wilkinson, "Statistical methods in psychology journals: Guidelines and explan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54 (54): 594-604, 1999

      55 Hedges, H.,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56 McClure, E. R., "STEM starts early: Ground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Joan Ganz Coo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2017

      57 Donohue, C., "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aylor & Francis 13-18, 2020

      58 Chesloff, J. D., "STEM education must start in early childhood" 32 (32): 27-32, 2013

      59 Sally Moomaw, "STEM Begins in the Early Years" Wiley 112 (112): 57-58, 2012

      60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24-139, 2011

      61 Amanda Sullivan, "Robotic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learning outcomes from an 8-week robotics curriculum in pre-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6 (26): 3-20, 2016

      62 Strawhacker, A., "Promoting positiv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a kindergarten makerspace : A qualitative case study" 3 (3): 09-, 2018

      63 Rimm, S. B., "PRIDE :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Inc 1983

      64 Papert, S., "Mindstorms :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1980

      65 Robert J. Sternberg,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51 (51): 677-688, 1996

      66 Lippard, C. N., "Engineering thinking in prekindergarten children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16 (16): 454-474, 2017

      67 Peter LaFreniere, "Cross-Cultural Analysis of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ers" Informa UK Limited 13 (13): 201-220, 2002

      68 Runco, M. A.,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Elsevier Academic Press 2014

      69 Teresita Borja-Alvarez, "Contributions of Male and Female Guests and Hosts to Peer Group Entry" JSTOR 62 (62): 1079-1090, 1991

      70 Kenneth T. H. Lee, "Collaboration by Design: Using Robotics to Foster Social Interaction in Kindergarten" Informa UK Limited 30 (30): 271-281, 2013

      71 Marina U. Bers, "Coding as a playground: Promoting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childhood classrooms" Elsevier BV 138 : 130-145, 2019

      72 Bers, M. U., "Coding as a playground :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Routledge Press 2018

      73 Kewalramani, S., "Children’s engineering design thinking processes:The magic of the ROBOTS and the power of BLOCKS (Electronics)" 16 (16): em1830-, 2020

      74 Robert J. Sternberg,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S. Karger AG 34 (34): 1-31, 1991

      75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Wiley 28 (28): 563-575, 1975

      76 김충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과 누리과정 목표와의 연관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79-94, 2018

      77 오은순,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 핵심역량과 유아교육 방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011-1021, 2019

      78 이경화,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47-160, 2002

      7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