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위치와 리더십 특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8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researching principals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being operated depending on unique educational belief, philosophy, and value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ertify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als, which appear in the school field. Even though a leader of an organization would be ethics,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members of them is ethical, but it is highly true that an organization led by a corrupt leader would be corrupt. Therefore, the leader in an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person and his or her qualification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re small so that the role of a principal could influence performance of the school absolutely. Therefore, after this study researched the role of principals, who lead organizations of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ir leadership that is given to the schools and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et subjects for inquiry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osition and role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Second, what are characteristics of a leadership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rd, what is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ader ship’s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charge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issues.
      In chapter 4 and section 1, this study examined positions and roles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s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principals within the public education category and within the organization category, this study researched what is their role that the principals are conducting within each category. In chapter 4 and section 2,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that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show. Based on data of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researched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which appears in various cases. This study classified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depending on types of leadership theory.
      In chapter 4 section 3, this study considered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ader ship’s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charge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In a proces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that have been shown in many cases, this study comprehended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nd researched meaning of the roles of principals.
      The deducted results from the research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 a place of assistant to the public education category and in a place of manager to the organization category. As they are assistant to the public education, they took tasks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do and administrative works, related to student’s entrustment, which is a main task of a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 In the organization, they took in charge of tasks that find and solve various problems due to operating schools. Also, as the results of analyzing in-depth interviews, e-mails, and diary in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alysis, they are shown as ‘a principal who leads members of an organization with strong charisma’, ‘a principal who help members with a warm heart’, ‘and a principal who serve members of an organization depending on ethics and moral values’. This study could categorize them into some categories such as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servant leadership, and honest leadership. In the school field, principals with the leadership prevented problem student’s deviations, provided proper alternative education to students, and suggested a new school model utilizing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some problems to be solved in order to make the principals exert their leadership. First, consulting about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nd systematic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s are needed. Second,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 who work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is needed. It is because some teachers who have short teacher careers showed some weak points to handle problem students. Third, it is difficult for the principals who operat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o implement a long-term educational philosophy with a system for newly designated students every year in the school field where students are entrusted for a long time. For that,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supplement was necessary for the entrusted process related to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Fourth, continuity of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could not be secured in reality that most of them depend on donation for operation. Therefore, realistic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Fifth, flexible close cooperat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utilize various facilities and programs for problem
      번역하기

      As researching principals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being operated depending on unique educational belief, philosophy, and value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ertify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als, which appear in the school fiel...

      As researching principals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being operated depending on unique educational belief, philosophy, and value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ertify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als, which appear in the school field. Even though a leader of an organization would be ethics,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members of them is ethical, but it is highly true that an organization led by a corrupt leader would be corrupt. Therefore, the leader in an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person and his or her qualification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re small so that the role of a principal could influence performance of the school absolutely. Therefore, after this study researched the role of principals, who lead organizations of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ir leadership that is given to the schools and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et subjects for inquiry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osition and role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Second, what are characteristics of a leadership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rd, what is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ader ship’s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charge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issues.
      In chapter 4 and section 1, this study examined positions and roles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s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principals within the public education category and within the organization category, this study researched what is their role that the principals are conducting within each category. In chapter 4 and section 2,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that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show. Based on data of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researched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which appears in various cases. This study classified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depending on types of leadership theory.
      In chapter 4 section 3, this study considered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ader ship’s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charge of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In a proces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that have been shown in many cases, this study comprehended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nd researched meaning of the roles of principals.
      The deducted results from the research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 a place of assistant to the public education category and in a place of manager to the organization category. As they are assistant to the public education, they took tasks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do and administrative works, related to student’s entrustment, which is a main task of a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 In the organization, they took in charge of tasks that find and solve various problems due to operating schools. Also, as the results of analyzing in-depth interviews, e-mails, and diary in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alysis, they are shown as ‘a principal who leads members of an organization with strong charisma’, ‘a principal who help members with a warm heart’, ‘and a principal who serve members of an organization depending on ethics and moral values’. This study could categorize them into some categories such as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servant leadership, and honest leadership. In the school field, principals with the leadership prevented problem student’s deviations, provided proper alternative education to students, and suggested a new school model utilizing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some problems to be solved in order to make the principals exert their leadership. First, consulting about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and systematic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s are needed. Second,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 who work in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is needed. It is because some teachers who have short teacher careers showed some weak points to handle problem students. Third, it is difficult for the principals who operat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to implement a long-term educational philosophy with a system for newly designated students every year in the school field where students are entrusted for a long time. For that,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supplement was necessary for the entrusted process related to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Fourth, continuity of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could not be secured in reality that most of them depend on donation for operation. Therefore, realistic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the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Fifth, flexible close cooperat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utilize various facilities and programs for probl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별한 교육적 신념⸱철학⸱가치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교장에 대한 연구로 학교현장에서 발휘되고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에서 리더는 중요한 결정을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며, 그 자질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위탁형 대안학교는 소규모의 학교로 학교장의 역할은 학교 성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학교를 이끌고 있는 학교장의 위치와 역할을 살펴보고, 학교 조직과 구성원들을 위해 발휘하고 있는 리더십의 특성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들에서 탐색되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질적 연구의 수행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공교육의 조력자, 조직 매니저의 위치에 있었다. 공교육의 조력자로서는 학교행정가가 담당해야 하는 업무와 위탁형 대안학교의 주 업무인 학생들의 위탁에 요구되는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조직 내에서는 학교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리더십의 특성 분석에서는 “강력한 카리스마로 구성원들을 이끄는 학교장”, “따뜻한 사랑의 마음으로 구성원들을 돕는 학교장”, “윤리⸱도덕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을 섬기는 학교장”으로 구분되었다.
      “강력한 카리스마로 구성원들을 이끄는 학교장”에서는 구성원들에게 강력한 역할모델이 되고, 신뢰를 바탕으로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배움 활동에 대한 지적자극과 함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을 수행하는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는 리더십 특성 중 변혁적 리더십의 특성으로 탐색되었다.
      “따뜻한 사랑의 마음으로 구성원들을 돕는 학교장”에서는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깊이 공감하는 마음을 갖고 그들을 진심어린 마음으로 설득하며 치유와 자립을 돕고 있었다. 또한 조직을 위해 위탁형 대안학교의 개념화에 앞장서고, 스스로 혜안(慧眼)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는 리더십의 특성 중 섬김의 리더십 특성으로 탐색되었다.
      “윤리⸱도덕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을 섬기는 학교장”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깨닫고, 학교현장에서 해결되지 못하는 일일지라도 묵묵히 자신의 위치에서 구성원들을 돕고, 학교의 원활한 교육을 위해 지역시민을 활용한 배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는 리더십의 특성 중 섬김의 리더십, 정직한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의 특성으로 중복되어 탐색되었다.
      셋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은 위기 학생들의 일탈을 방지하고, 합당한 대안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지역 공동체를 활용한 새로운 학교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위탁형 대안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이 온전히 발휘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들이 탐색되었다.
      첫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에 대한 정기적인 컨설팅 및 체계적인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이는 관리하기 힘든 위기의 학생들을 경력이 짧은 교사들이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이 장기간 위탁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매년 새롭게 지정받는 시스템은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장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교육적 이념을 실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이를 위해 위탁형 대안학교에 관한 정책, 즉 위탁과정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대부분의 경비를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은 학교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위탁형 대안학교에 대한 현실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위기 청소년들을 위해 만들어진 여러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선 행정 처리에 대한 정부 부처 간 융통성 있는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별한 교육적 신념⸱철학⸱가치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교장에 대한 연구로 학교현장에서 발휘되고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특별한 교육적 신념⸱철학⸱가치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교장에 대한 연구로 학교현장에서 발휘되고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에서 리더는 중요한 결정을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며, 그 자질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위탁형 대안학교는 소규모의 학교로 학교장의 역할은 학교 성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학교를 이끌고 있는 학교장의 위치와 역할을 살펴보고, 학교 조직과 구성원들을 위해 발휘하고 있는 리더십의 특성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들에서 탐색되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질적 연구의 수행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공교육의 조력자, 조직 매니저의 위치에 있었다. 공교육의 조력자로서는 학교행정가가 담당해야 하는 업무와 위탁형 대안학교의 주 업무인 학생들의 위탁에 요구되는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조직 내에서는 학교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리더십의 특성 분석에서는 “강력한 카리스마로 구성원들을 이끄는 학교장”, “따뜻한 사랑의 마음으로 구성원들을 돕는 학교장”, “윤리⸱도덕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을 섬기는 학교장”으로 구분되었다.
      “강력한 카리스마로 구성원들을 이끄는 학교장”에서는 구성원들에게 강력한 역할모델이 되고, 신뢰를 바탕으로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배움 활동에 대한 지적자극과 함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을 수행하는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는 리더십 특성 중 변혁적 리더십의 특성으로 탐색되었다.
      “따뜻한 사랑의 마음으로 구성원들을 돕는 학교장”에서는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깊이 공감하는 마음을 갖고 그들을 진심어린 마음으로 설득하며 치유와 자립을 돕고 있었다. 또한 조직을 위해 위탁형 대안학교의 개념화에 앞장서고, 스스로 혜안(慧眼)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는 리더십의 특성 중 섬김의 리더십 특성으로 탐색되었다.
      “윤리⸱도덕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을 섬기는 학교장”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깨닫고, 학교현장에서 해결되지 못하는 일일지라도 묵묵히 자신의 위치에서 구성원들을 돕고, 학교의 원활한 교육을 위해 지역시민을 활용한 배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는 리더십의 특성 중 섬김의 리더십, 정직한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의 특성으로 중복되어 탐색되었다.
      셋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은 위기 학생들의 일탈을 방지하고, 합당한 대안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지역 공동체를 활용한 새로운 학교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위탁형 대안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이 온전히 발휘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들이 탐색되었다.
      첫째, 위탁형 대안학교 학교장의 리더십에 대한 정기적인 컨설팅 및 체계적인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이는 관리하기 힘든 위기의 학생들을 경력이 짧은 교사들이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이 장기간 위탁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매년 새롭게 지정받는 시스템은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장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교육적 이념을 실현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이를 위해 위탁형 대안학교에 관한 정책, 즉 위탁과정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대부분의 경비를 후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은 학교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위탁형 대안학교에 대한 현실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위기 청소년들을 위해 만들어진 여러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선 행정 처리에 대한 정부 부처 간 융통성 있는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