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청 시설공사관리 전자처리체계 구축, I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electronic data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y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of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Office and Highway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Service. The content and scope of this research are as f...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electronic data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y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of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Office and Highway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Service. The content and scop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o establish a computerization plan for applying the construction CALS/EC System by analyzing the service of Highway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Service. To develop a system for managing the current state and the design/completion information, which the facility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needs. To develop a electronic data management system for the land compensation service, which is occurred most frequently in civil affairs administration of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Office,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and missing compensation b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accuracy of the land compensation ser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청 및 국도유지사무소의 시설공사관리의 시설공사업무에 대한 전자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도유지사무소의 업무를 분석하여 건...

      본 연구는 지방청 및 국도유지사무소의 시설공사관리의 시설공사업무에 대한 전자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도유지사무소의 업무를 분석하여 건설CLAS/EC 체계 적용을 위한 전산화계획을 수립하고, 지방청의 시설공사괸리에 필요한 현황정보 및 설계/준공정보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지방청의 민원업무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용지보상 업무를 전자처리체계로 전환하여 업무의 생산성과 정확도를 높여 이중보상과 누락보상을 방지하고 보상업무의 선진화를 이루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개요
      • 제1절 사업개요
      • 1. 필요성
      • 2. 추진배경
      •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 제1장 개요
      • 제1절 사업개요
      • 1. 필요성
      • 2. 추진배경
      •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 4. 사업 내용 및 범위
      • 5. 추진체계
      • 6. 기대효과
      • 제2절 사업 추진경과
      • 1. 추진내용
      • 2. 추진 일정
      • 제2장 지방청 사업관리시스템
      • 제1절 개요
      • 1. 시스템 개요
      • 2. 시스템 구성
      • 3. 주요 기능
      • 제2절 현황 분석
      • 1. 국내 설계/준공도서 납품 현황
      • 2. 일본의 설계/준공도서 납품 현황
      • 3. 설계/준공도서 재활용 방안
      • 4. 사용자 요구 사항
      • 5. 업무절차 흐름도
      • 6. 업무기능 분해도
      • 7. 단위프로세스설명서
      • 8. 엔터티 관계도
      • 9. 코드 설계서
      • 제3절 시스템 설계
      • 1. 시스템 아키텍처
      • 2. 데이터베이스 설명
      • 3. 모듈설명
      • 4. 프로그램설명
      • 제4절 시스템 개발
      • 1. 다이얼로그흐름도
      • 2. 주요화면 설명
      • 제5절 시스템 시험
      • 1. 시험 개요
      • 2. 시험 절차
      • 3. 시험 데이터
      • 4. 시험 평가 항목
      • 5. 시험 조직
      • 6. 시험 환경
      • 7. 시험 상세 일정 및 품질보증활동 계획
      • 8. 시험모델
      • 제6절 시스템 전개
      • 1. 전개의 의의 및 추진방향
      • 2. 응용시스템 전개 목록 작성
      • 3. 데이터베이스 생성
      • 4. 공통코드 데이터 입력
      • 5. 전개완료 후 전개대상 자원관리
      • 제7절 데이터베이스 구축
      • 1. 구축 개요
      • 2. 구축 대상 사업
      • 3. 구축 범위
      • 4. 구축을 위한 기본자료
      • 5. 구축 절차
      • 6. 접수 현황
      • 7. 구축내역
      • 제8절 시스템 연계
      • 1. 그룹웨어(전자결재) 시스템
      • 2. 공사현황정보 송·수신 처리
      • 3. 통합로그인
      • 제3장 용지보상시스템
      • 제1절 개요
      • 1. 시스템 개요
      • 2. 시스템 구성
      • 3. 주요기능
      • 제2절 현황 분석
      • 1. 사용자 요구 사항
      • 2. 업무절차 흐름도
      • 3. 데이터흐름도
      • 4. 단위프로세스설명서
      • 5. 엔터티 관계도
      • 6. 코드 설계서
      • 제3절 시스템 설계
      • 1. 시스템 아키텍처
      • 2. 데이터베이스 설명
      • 3. 묘듈설명
      • 4. 프로그램설명
      • 제4절 시스템 개발
      • 1. 다이얼로그 흐름도
      • 2. 주요 화면 설계
      • 3. 입·출력 설계
      • 4. 현장조사용 PDA 화면설계
      • 제5절 시스템 시험
      • 1. 시험 개요
      • 2. 시험 절차
      • 3. 시험 데이터
      • 4. 시험 평가 항목
      • 5. 시험 대상 분야
      • 6. 실시 기간
      • 7. 시험 조직
      • 8. 시험 환경
      • 9. 시험 상세 일정 및 품질보증활동 계획
      • 10. 시스템시험모델
      • 제6절 시스템 전개
      • 1. 시스템 전개의 의의
      • 2. 응용시스템 전개대상 업무
      • 3. 분야별 주요추진계획
      • 제7절 데이터베이스 구축
      • 1. 개요
      • 2. 구축 대상 및 범위
      • 3. 구축을 위한 기본자료
      • 4. 접수 현황
      • 5. 접수 데이터 검수
      • 6. 보상자료 구축 현황
      • 제4장 향후 발전 방향
      • 제1절 향후 계획
      • 1. 개발 시스템의 확산
      • 2. 사업관리기능 강화
      • 3. 기대효과
      • 참고문헌
      • 부록
      • 부록I. 일본의 건설CALS/EC
      • 부록II. 설계/준공도서 관리항목(DTD) 정의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