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周易의 互體論에 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3895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한문교육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Hoche Theory of zhouyi

      • 형태사항

        vi, 206 p. : 표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권정안
        참고문헌 : p. 197-203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互體論은 『周易』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긴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互體에 대한 연구나 그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박약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易學史에서 互體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本卦와 互體 그리고 互體의 互體(互互體) 사이에 이어지는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易의 구성과 해석에 있어서 互體가 갖는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향후 互體論 연구의 발전방향 및 새로운 해석을 위한 互體의 의미를 제시해 보려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周易』 64卦의 互體는 乾・夬・姤・大過・坤・剝・復・頤・睽・解・歸妹・家人・漸 ・蹇・旣濟・未濟가 해당된다. 이 16卦의 互體는 乾・坤・旣濟・未濟 4개의 卦로 귀속된다. 본 논고에서는 이 4개의 卦를 互互體라 명명하였다. 결과적으로 64개의 卦는 乾・坤・旣濟・未濟 이 4개의 互互體를 근원으로 함을 알 수 있다. 互互體는 互體의 初爻와 上爻를 제외한 네 爻를 교호시켜 세운 中爻이다. 따라서 互互體는 本卦의 3爻와 4爻가 중심이 된다. 3爻와 4爻는 人才에 속하는 爻이므로 이로 말미암아 『周易』은 전적으로 사람 중심으로 매겨져 있음이 확인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互體는 드러나지 않는 의미나 감추어진 복잡한 관계적 양상을 필요에 따라 끄집어내어 포괄적인 해석을 할 수 있으니 互體를 떠나서 易을 해석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이처럼 호체는 象數的・占辭的 해석시 긴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卦의 구성 및 경문 해석에 있어서도 本卦・互體・互互體 간의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重天乾과 重地坤은 互互體・互體・本卦에 모두 존재하므로 本互體라 명명하였고 水火旣濟와 火水未濟는 상대에 근원을 두고 있으므로 對互體라 명명하였다.
      『周易』은 中天乾・重地坤으로 시작하여 水火旣濟・火水未濟로 끝난다. 64卦 역시 4卦의 互互體로 귀결된다는 것은 이 4개의 卦가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며 그 사이의 모든 卦들은 이 4卦의 범주 속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互體가 『周易』 卦 성립의 중추적 원리로 조명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며, 동시에 『周易』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互互體의 「彖傳」과 「大象傳」을 중심으로 互體 및 本卦에 드러난 공통적인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互互體 重天乾의 互體와 本卦는 하늘의 위대한 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重地坤의 互體와 本卦는 만물을 생하고 이루는 大地의 역할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水火旣濟의 互體와 本卦는 처음엔 吉하지만 나중엔 어지러워지는 人事에 참여하고 있다.
      互互體 火水未濟의 互體와 本卦는 자리가 맞지 않는 것들끼리 서로 應하며 마침이 계속되지 않는 인간의 삶이 內在되어 있다. 『周易』의 배열상 互互體・互體가 존재하는 구조에 따라 水와 火의 분포 양상을 전개해 보면 互互體・互體・本卦 가운데는 天・人・地 三才가 융합되어 있으며 이 융합되어 있는 森羅萬象을 운영해 나가는 것은 水와 火임을 알 수 있다.
      徐命膺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된다고 한다.
      茶山 丁若鏞은 八卦 演繹의 주체가 되고 四象(봄・여름・가을・겨울)을 생성하는 原質的 요소를 天・地・水・火라고 주장한다. 또한 八卦次序圖의 모순성을 지적하면서 陽이 陰陽을 낳고 陰이 陰陽을 낳으려면 ‘太極'은 陰陽의 ‘混合物’이라는 사실이 전제 되어져야 가능하다고 말한다. 여기에 맞추어 天・火・雷・風은 火로 치환하고 地・水・澤・艮은 水로 치환하여 水와 火의 분포량을 네 개의 互互體 별로 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互互體 重天乾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旋互體 天風姤 속 澤山咸은 일점의 水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重地坤은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되며 旋互體 山地剝 속 風雷益은 일점의 火火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水火旣濟는 水火가 지배적으로 많고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對〔旋〕互體 火水未濟 속 風山漸만은 일점의 火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火水未濟 역시 火水가 지배적이다.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旋互體 風山漸 속 澤雷隨만은 유일하게 水火로써 核心卦로 존재 한다.
      64卦를 互互體, 互體로 분류하여 위와 같은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 乾・坤은 體가 되고 水・火는 用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旣濟와 未濟는 水火와 火水가 그대로 用이 됨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시에 乾坤은 陰陽의 혼합물임이 드러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互體’는 『周易』의 폭넓은 解釋과 乾・坤・水・火의 體用을 밝히는 根幹으로써 드러나지 않는 의미를 찾아 규명하는 열쇠가 되고 있다.
      번역하기

      互體論은 『周易』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긴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互體에 대한 연구나 그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박약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易學史에서 互體가 어떻게 ...

      互體論은 『周易』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긴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互體에 대한 연구나 그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박약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易學史에서 互體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本卦와 互體 그리고 互體의 互體(互互體) 사이에 이어지는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易의 구성과 해석에 있어서 互體가 갖는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향후 互體論 연구의 발전방향 및 새로운 해석을 위한 互體의 의미를 제시해 보려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周易』 64卦의 互體는 乾・夬・姤・大過・坤・剝・復・頤・睽・解・歸妹・家人・漸 ・蹇・旣濟・未濟가 해당된다. 이 16卦의 互體는 乾・坤・旣濟・未濟 4개의 卦로 귀속된다. 본 논고에서는 이 4개의 卦를 互互體라 명명하였다. 결과적으로 64개의 卦는 乾・坤・旣濟・未濟 이 4개의 互互體를 근원으로 함을 알 수 있다. 互互體는 互體의 初爻와 上爻를 제외한 네 爻를 교호시켜 세운 中爻이다. 따라서 互互體는 本卦의 3爻와 4爻가 중심이 된다. 3爻와 4爻는 人才에 속하는 爻이므로 이로 말미암아 『周易』은 전적으로 사람 중심으로 매겨져 있음이 확인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互體는 드러나지 않는 의미나 감추어진 복잡한 관계적 양상을 필요에 따라 끄집어내어 포괄적인 해석을 할 수 있으니 互體를 떠나서 易을 해석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이처럼 호체는 象數的・占辭的 해석시 긴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卦의 구성 및 경문 해석에 있어서도 本卦・互體・互互體 간의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重天乾과 重地坤은 互互體・互體・本卦에 모두 존재하므로 本互體라 명명하였고 水火旣濟와 火水未濟는 상대에 근원을 두고 있으므로 對互體라 명명하였다.
      『周易』은 中天乾・重地坤으로 시작하여 水火旣濟・火水未濟로 끝난다. 64卦 역시 4卦의 互互體로 귀결된다는 것은 이 4개의 卦가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며 그 사이의 모든 卦들은 이 4卦의 범주 속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互體가 『周易』 卦 성립의 중추적 원리로 조명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며, 동시에 『周易』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互互體의 「彖傳」과 「大象傳」을 중심으로 互體 및 本卦에 드러난 공통적인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互互體 重天乾의 互體와 本卦는 하늘의 위대한 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重地坤의 互體와 本卦는 만물을 생하고 이루는 大地의 역할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水火旣濟의 互體와 本卦는 처음엔 吉하지만 나중엔 어지러워지는 人事에 참여하고 있다.
      互互體 火水未濟의 互體와 本卦는 자리가 맞지 않는 것들끼리 서로 應하며 마침이 계속되지 않는 인간의 삶이 內在되어 있다. 『周易』의 배열상 互互體・互體가 존재하는 구조에 따라 水와 火의 분포 양상을 전개해 보면 互互體・互體・本卦 가운데는 天・人・地 三才가 융합되어 있으며 이 융합되어 있는 森羅萬象을 운영해 나가는 것은 水와 火임을 알 수 있다.
      徐命膺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된다고 한다.
      茶山 丁若鏞은 八卦 演繹의 주체가 되고 四象(봄・여름・가을・겨울)을 생성하는 原質的 요소를 天・地・水・火라고 주장한다. 또한 八卦次序圖의 모순성을 지적하면서 陽이 陰陽을 낳고 陰이 陰陽을 낳으려면 ‘太極'은 陰陽의 ‘混合物’이라는 사실이 전제 되어져야 가능하다고 말한다. 여기에 맞추어 天・火・雷・風은 火로 치환하고 地・水・澤・艮은 水로 치환하여 水와 火의 분포량을 네 개의 互互體 별로 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互互體 重天乾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旋互體 天風姤 속 澤山咸은 일점의 水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重地坤은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되며 旋互體 山地剝 속 風雷益은 일점의 火火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水火旣濟는 水火가 지배적으로 많고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對〔旋〕互體 火水未濟 속 風山漸만은 일점의 火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火水未濟 역시 火水가 지배적이다.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旋互體 風山漸 속 澤雷隨만은 유일하게 水火로써 核心卦로 존재 한다.
      64卦를 互互體, 互體로 분류하여 위와 같은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 乾・坤은 體가 되고 水・火는 用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旣濟와 未濟는 水火와 火水가 그대로 用이 됨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시에 乾坤은 陰陽의 혼합물임이 드러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互體’는 『周易』의 폭넓은 解釋과 乾・坤・水・火의 體用을 밝히는 根幹으로써 드러나지 않는 의미를 찾아 규명하는 열쇠가 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1. 硏究目的 및 必要性..........................................................................................7
      • 2. 硏究方法 ................................................................................................8
      • Ⅰ. 緖論
      • 1. 硏究目的 및 必要性..........................................................................................7
      • 2. 硏究方法 ................................................................................................8
      • Ⅱ. 互體論의 易學的 意味와 發展過程
      • .
      • 1. 互體의 起源論 ..............................................................................12
      • 2. 互體의 卦體的 意味........................................................................................15
      • 1) 錯・綜과 互體 .....................................................................................15
      • 2) 互體와 中爻의 意味.. ....................................................................................18
      • 3) 象과 互體 ................................................................................22
      • 3. 中國의 互體 發展樣相
      • 1) 春秋時代와 漢代의 象數的 互體論................................................................30
      • 2) 宋代 互體 解釋의 發展 ...................................................................33
      • 3) 元・明・淸代 以後의 互體硏究 ...................................................................36
      • 4. 朝鮮의 互體 發展樣相 ...................................................................................41
      • 1) 朝鮮前期 ........................................................................................................41
      • 2) 朝鮮中期 ........................................................................................................42
      • ① 曺好益의 互體用論 .......................................................................................43
      • ② 沈潮의 互體用論.............................................................................................46
      • ③ 姜碩慶의 互體用論 ......................................................................................48
      • ④ 洪汝河의 互體用論 ......................................................................................48
      • ⑤ 宋時烈의 互體用論 ......................................................................................49
      • 3) 朝鮮後期 ....................................................................................................50
      • ① 李瀷의 互體用論 .........................................................................................51
      • ② 茶山 丁若鏞의 互體用論 .............................................................................54
      • ③ 徐命膺의 互體用論 ......................................................................................57
      • ④ 李止淵의 互體用論 ......................................................................................58
      • ⑤ 權萬의 互體用論 .........................................................................................60
      • ⑥ 尹鐘燮의 互體用論 ......................................................................................61
      • ⑦ 金箕澧의 互體用論 ......................................................................................61
      • ⑧ 柳正原의 互體用論 ......................................................................................62
      • ⑨ 沈大允의 互體用論 ......................................................................................67
      • ⑩ 吳致箕의 互體用論 ......................................................................................75
      • ⑪ 徐有臣의 互體用論 ......................................................................................78
      • ⑫ 金奎五의 互體用論 ......................................................................................83
      • ⑬ 金相岳의 互體用論 ............................................................................ 84
      • 4) 朝鮮末期
      • ① 李震相의 互體用論 .......................................................................................89
      • ② 李顯翼의 互體用論 ......................................................................................92
      • Ⅲ. 互互體・互體로 본 『周易』의 構造
      • 1. 互互體・互體・本卦體 間의 成立 및 特徵 .................................................95
      • 2. 互互體・互體・本卦의 卦體變化 ...............................................................100
      • 1) 互互體 重天乾과 互體 및 本卦의 卦體變化 ...............................................100
      • 2) 互互體 重地坤과 互體 및 本卦의 卦體變化 ...............................................102
      • 3) 互互體 水火旣濟와 互體 및 本卦의 卦體變化.............................................104
      • 4) 互互體 火水未濟와 互體 및 本卦의 卦體變化.............................................106
      • 3. 上・下經의 互體와 互互體 ......................................................................108
      • 1) 上・下經과 互體 ......................................................................................108
      • 2) 上・下經과 互互體 ....................................................................................110
      • 4. 互體의 卦變關係 ......................................................................................111
      • Ⅳ. 『周易』 解釋의 互體論的 聯關性
      • 1. 「彖傳」과 「大象傳」으로 본 互互體와 互體・本卦의 聯關性.................114
      • 2. 互互體 重天乾의 互體와 本卦
      • 1) 互互體 重天乾과 互體 ...............................................................................115
      • 2) 本互體 重天乾과 本卦 ...............................................................................118
      • 3) 互體 澤天夬와 本卦 .................................................................................118
      • 4) 互體 天風姤와 本卦 ..................................................................................120
      • 5) 互體 澤風大過와 本卦 .............................................................................123
      • 3. 互互體 重地坤의 互體와 本卦
      • 1) 互互體 重地坤과 互體 .............................................................................125
      • 2) 本互體 重地坤과 本卦 .............................................................................128
      • 3) 互體 地雷復과 本卦 .................................................................................129
      • 4) 互體 山地剝과 本卦 ..................................................................................132
      • 5) 互體 山雷頤와 本卦 ..................................................................................134
      • 4. 互互體 水火旣濟의 互體와 本卦
      • 1) 互互體 水火旣濟와 互體 .........................................................................137
      • 2) 對互體 火水未濟와 本卦 .........................................................................140
      • 3) 互體 雷澤歸妹와 本卦 .............................................................................142
      • 4) 互體 雷水解와 本卦 .................................................................................144
      • 5) 互體 火澤睽와 本卦 .................................................................................147
      • 5. 互互體 火水未濟의 互體와 本卦...................................................................149
      • 1) 互互體 火水未濟와 互體 ..........................................................................150
      • 2) 對互體 水火旣濟와 本卦 ...........................................................................151
      • 3) 互體 風山漸과 本卦 ...............................................................................153
      • 4) 互體 風火家人과 本卦 ...............................................................................155
      • 5) 互體 水山蹇과 本卦 ..................................................................................157
      • Ⅴ. 互體論的 水火의 分析과 人道的 含意
      • 1. 乾・坤・水・火의 意味 ...........................................................................161
      • 2. 互互體 重天乾의 水・火 .............................................................................167
      • 1) 互互體 重天乾과 互體 .............................................................................168
      • 2) 本互體 重天乾과 本卦 ...............................................................................170
      • 3) 用互體 澤天夬와 本卦 ...............................................................................170
      • 4) 旋互體 天風姤와 本卦 ...............................................................................170
      • 5) 矯互體 澤風大過와 本卦 ...........................................................................171
      • 3. 互互體 重地坤의 水・火
      • 1) 互互體 重地坤과 互體 ...............................................................................172
      • 2) 本互體 重地坤과 本卦 ...............................................................................173
      • 3) 用互體 地雷復과 本卦 ...............................................................................173
      • 4) 旋互體 山地剝과 本卦 ...............................................................................174
      • 5) 矯互體 山雷頤와 本卦 ...............................................................................174
      • 4. 互互體 水火旣濟의 水・火 ..........................................................................176
      • 1) 互互體 水火旣濟와 互體 ..........................................................................178
      • 2) 對(旋)互體 火水未濟와 本卦 .....................................................................179
      • 3) 用互體 雷澤歸妹와 本卦 ...........................................................................179
      • 4) 順互體 雷水解와 本卦 ...............................................................................180
      • 5) 矯互體 火澤睽와 本卦 .............................................................................180
      • 5. 互互體 火水未濟의 水・火 ..........................................................................180
      • 1) 互互體 火水未濟와 互體 .............................................................................182
      • 2) 對(用)互體 水火旣濟와 本卦 .....................................................................182
      • 3) 旋互體 風山漸과 本卦 ...............................................................................182
      • 4) 順互體 風火家人과 本卦 ...........................................................................183
      • 5) 矯互體 水山蹇과 本卦 ...............................................................................183
      • 6. 互互體와 核心卦
      • 1) 核心卦와 先天圖 ........................................................................................185
      • 2) 核心卦와 澤山咸 ........................................................................................188
      • 3) 核心卦와 風雷益 ........................................................................................193
      • 4) 核心卦와 風山漸 ........................................................................................195
      • 5) 核心卦와 澤雷隨 ........................................................................................195
      • Ⅵ. 結論 ........................................................................................................19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대원, "『주역강의』", 을유문화사, , 1, 2013

      2 김승호, "『주역원론』", 선영사, 6권, 선영사, , 10, 2009

      3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1998

      4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2002

      5 郭信煥, "『周易의 이해』", 서광사, 1990

      6 한규성, "『周易原理講話』", 예문지, 1998

      7 김정일, "『갑골문이야기』", 바다출판사, 2002

      8 高懷民, "『中國古代易學史』", 高懷民저,숭실대동양철학연구실 역,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0

      9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1

      10 金碩鎭, "『周易傳義大典譯解』", 대유학당, 확, 1995

      1 서대원, "『주역강의』", 을유문화사, , 1, 2013

      2 김승호, "『주역원론』", 선영사, 6권, 선영사, , 10, 2009

      3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1998

      4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2002

      5 郭信煥, "『周易의 이해』", 서광사, 1990

      6 한규성, "『周易原理講話』", 예문지, 1998

      7 김정일, "『갑골문이야기』", 바다출판사, 2002

      8 高懷民, "『中國古代易學史』", 高懷民저,숭실대동양철학연구실 역,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0

      9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1

      10 金碩鎭, "『周易傳義大典譯解』", 대유학당, 확, 1995

      11 니시다 키타로, "『善의 연구』, 서석연 역", 범우사, 1990

      12 황준연, "『실사구시로 읽는 주역』", 서광사, 서광사, , 2, 2009

      13 박재주, "『주역의 생성논리와 과정철학』", 청계, 1999

      14 진고응, 최진석, "『周易: 儒家의 思想인가 道家의 思想인가』", 진고응 지음,최진석 외 2인 옮김, 예문서원, 1996

      15 A.G, "그레이엄, 『음양과 상관적 사유』, 이창일 옮김", 청계, 2001

      16 송인창, "『역학에 있어서의 인간성명의 문제』『주역연구』", 1집, 한국주역학회편,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