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한국 교육에서 유교 연구는 의미를 갖고 있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5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9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교육학회의 학회지인 「교육학연구」에 게재된 유교 관련 교육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 교육에서 유교 연구가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유교 관련 연구물의 75%는 유교가 현대 한국 교육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검토 결과 현재 논의되고 있는 수준의 연구로는 유교 관련 교육학 연구가 현대 한국 교육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그것은 이 연구물들이 유교 교육론의 이념적 보편성만을 강조한 반면 유교 교육론이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거의 살피지 않았으며, 또한 현대 한국 교육에서 그것을 구현할 수 있는 빙안을 전혀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9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교육학회의 학회지인 「교육학연구」에 게재된 유교 관련 교육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 교육에서 유교 연구가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검토해 ...

      이 논문은 199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교육학회의 학회지인 「교육학연구」에 게재된 유교 관련 교육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 교육에서 유교 연구가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유교 관련 연구물의 75%는 유교가 현대 한국 교육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검토 결과 현재 논의되고 있는 수준의 연구로는 유교 관련 교육학 연구가 현대 한국 교육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그것은 이 연구물들이 유교 교육론의 이념적 보편성만을 강조한 반면 유교 교육론이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거의 살피지 않았으며, 또한 현대 한국 교육에서 그것을 구현할 수 있는 빙안을 전혀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fucianism, a dominant ideology in premodern Korea, is still influential. There are quite a few writings on Confucianism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emphasize that Confucianism is very useful to solve Korean educational problems.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ose opinions are valid or not. I reviewed all the articles dealing with Confucianism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since 1990. These papers maintain firmly that Confucian ethical virtues are as relevant as ever because the authors believe modern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result from neglecting ethical values. But they hardly ever mention the 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Confucianism and are also silent on the ethical virtues in western philosophy. Overemphasizing Confucianism will not be very helpful in solving Korean educational problems. We should point out that all ethical ideas are restricted by time.
      I think it is important that those who study Confucianism should address its weaknesses and limitations while realizing first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society. We should learn from great scholar such as Chu Hsi in the long history of Confucianism. He recognized and complemented the weak points of existing Confucianism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his times. Only when current Confucian scholars approach their subject with a critical mind, they will be able to find the proper role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번역하기

      Confucianism, a dominant ideology in premodern Korea, is still influential. There are quite a few writings on Confucianism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emphasize that Confucianism is very useful to solve Korean educational problems. This paper is ...

      Confucianism, a dominant ideology in premodern Korea, is still influential. There are quite a few writings on Confucianism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emphasize that Confucianism is very useful to solve Korean educational problems.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ose opinions are valid or not. I reviewed all the articles dealing with Confucianism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since 1990. These papers maintain firmly that Confucian ethical virtues are as relevant as ever because the authors believe modern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result from neglecting ethical values. But they hardly ever mention the 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Confucianism and are also silent on the ethical virtues in western philosophy. Overemphasizing Confucianism will not be very helpful in solving Korean educational problems. We should point out that all ethical ideas are restricted by time.
      I think it is important that those who study Confucianism should address its weaknesses and limitations while realizing first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society. We should learn from great scholar such as Chu Hsi in the long history of Confucianism. He recognized and complemented the weak points of existing Confucianism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his times. Only when current Confucian scholars approach their subject with a critical mind, they will be able to find the proper role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시작하는 말
      • 2. 유교를 연구 대상으로 한 교육학계의 연구물 검토
      • 3. 검토된 연구물들의 문제점
      • 4. 의미 있는 유교 관련 교육 연구를 위하여
      • 도움 받은 글
      • 1. 시작하는 말
      • 2. 유교를 연구 대상으로 한 교육학계의 연구물 검토
      • 3. 검토된 연구물들의 문제점
      • 4. 의미 있는 유교 관련 교육 연구를 위하여
      • 도움 받은 글
      • 외국어 줄임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 은선, "효와 교육:동양의 ‘효’ 윤리․서양의 ‘책임’ 윤리의 비교 연구와 그 교육적 종합" 29 (29): 1991

      2 권 인호, "현대신유가 사상과 유학부흥론 in 현대중국의 모색" 동녘 1992

      3 김 영우, "현대 한국 사회의 전통 도덕의 위기" 28 (28): 1990

      4 유권종,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구성에 대한 분석과 이에 기초한 청소년 예교육 모델 개발" 중앙철학연구소 18 : 29-62, 2005

      5 송 명자, "한국 청소년의 전통 규범 인식에 관한 연구:오륜을 중심으로" 35 (35): 1997

      6 박 상주, "퇴계의 예술 철학 소고:시 작품을 중심으로" 36 (36): 1998

      7 김 상환, "탈근대의 동양과 서양:현대 철학사에 대한 헤겔식 농담" 64 : 2005

      8 우 남희, "초등 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38 (38): 2000

      9 김 태호, "중화:보편 문화의 수용과 해체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10 김 영식, "주희의 ‘기(氣)’ 개념에 관한 몇 가지 고찰" 19 : 1986

      1 이 은선, "효와 교육:동양의 ‘효’ 윤리․서양의 ‘책임’ 윤리의 비교 연구와 그 교육적 종합" 29 (29): 1991

      2 권 인호, "현대신유가 사상과 유학부흥론 in 현대중국의 모색" 동녘 1992

      3 김 영우, "현대 한국 사회의 전통 도덕의 위기" 28 (28): 1990

      4 유권종,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구성에 대한 분석과 이에 기초한 청소년 예교육 모델 개발" 중앙철학연구소 18 : 29-62, 2005

      5 송 명자, "한국 청소년의 전통 규범 인식에 관한 연구:오륜을 중심으로" 35 (35): 1997

      6 박 상주, "퇴계의 예술 철학 소고:시 작품을 중심으로" 36 (36): 1998

      7 김 상환, "탈근대의 동양과 서양:현대 철학사에 대한 헤겔식 농담" 64 : 2005

      8 우 남희, "초등 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38 (38): 2000

      9 김 태호, "중화:보편 문화의 수용과 해체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10 김 영식, "주희의 ‘기(氣)’ 개념에 관한 몇 가지 고찰" 19 : 1986

      11 한 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조선 유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연구" 세계사 1996

      12 지 준호, "주자학의 전도자 황간(黃幹) in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 심산 2005

      13 김 대용, "조선후기 교육의 변화와 향촌 사회" 64 : 2001

      14 강 창동, "조선조 종법제 가족주의와 교육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43 (43): 2005

      15 강 창동, "조선조 성리학 이념과 교육 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39 (39): 2001

      16 이원재, "조선전기 성균관 교화정책에서 과거제도 활용의 의의 -원점법강경법별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5 (45): 25-50, 2007

      17 현 상윤, "조선유학사" 민중서관 1949

      18 송인자, "조선시대 가족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학회 40 (40): 4-87, 2002

      19 이원재, "조선시대 『소학』교육의 현실" 한국교육학회 44 (44): 31-56, 2006

      20 정 호훈, "조선 후기 ‘이단’ 논쟁과 그 정치사상적 의미-17세기 윤휴의 경서 해석과 송시열의 비판" 10 : 2001

      21 김 대용, "조선 초기 교육의 사회사적 연구" 한울 1994

      22 사재명, "조선 중기 남명학파의 교육: 자득 강조의 계승" 한국교육학회 40 (40): 2-34, 2002

      23 김대용, "정보화 사회의 성윤리 문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97-124, 2007

      24 순형, "정 약용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두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분석을 중심으로" 35 (35): 1997

      25 신 용국, "전통적 인간상" 31 (31): 1993

      26 미셸 푸코,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욕망" 새물결 1999

      27 유권종,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민족문화연구원 37 : 317-345, 2002

      28 유권종,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2)" 동양철학연구회 39 : 297-341, 2004

      29 김 영식, "이황의 리기관과 신유학 전통상에서의 그 위치" 81 : 1994

      30 송 갑준, "이단:우리 도를 어지럽히는 자들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31 김 혜숙, "음양 존재론과 여성주의 인식론적 함축" 15 (15): 1999

      32 이 달우, "율곡의 교육적 인간상" 30 (30): 1992

      33 백 종현, "윤리 개념의 형성-현대 한국 사회의 철학적 문제" 철학과현실사 2003

      34 목 영해, "유학적 도덕 교육론에 대한 비판의 정당성 검토" 33 (33): 1995

      35 장은주, "유교적 근대성과 근대적 정체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383-420, 2007

      36 김 석근, "유교자본주의? 짧은 유행과 긴 여운 그리고 남은 과제" 14 : 2006

      37 김 숙자, "유교 전통 사회의 어머니 역할과 아동 양육" 34

      38 송 영배, "유교 사상의 역사적 이해와 반성" 26 : 1990

      39 이 승환, "유교 담론의 지형학" 푸른숲 2004

      40 이 은선, "유교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 지식산업사 2003

      41 박 노자, "우승 열패의 신화" 한겨레신문사 2005

      42 박 균섭, "우계 철학의 교육학적 해석" 38 (38): 2000

      43 정 덕희, "외암(巍巖) 이간(李柬)의 도덕적 인간형성론" 41 (41): 2003

      44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3

      45 이 숙인, "여성의 경험으로 읽는 유교 in 지금, 여기의 유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46 김 대용, "여말 선초 정치세력의 변화와 교육체제의 정비" 32 (32): 1994

      47 이창희, "아시아적 가치와 경제성장의 정치적 동학:분석필요성과가능성" 대한정치학회 14 (14): 71-94, 2006

      48 김 대중, "아시아적 가치" 전통과현대 1999

      49 박 균섭, "시경이 여성 교육에 미친 영향" 38 (38): 2000

      50 목 영해, "성리학의 재해석과 교육" 문음사 2001

      51 신동은, "성리학의 몸공부 이해" 교육철학회 32 (32): 123-144, 2004

      52 황금중, "성리학의 마음교육 이해와 현대 공교육에의 시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3-33, 2005

      53 황 금중, "성리학에서의 소학․대학 교육과정론-주자․퇴계․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17 : 2002

      54 신동은, "성리학 敬 공부의 도덕교육적 의미 - 주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3 (43): 57-80, 2005

      55 곽덕주, "서구 도덕교육이론의 비판적 수용을 위한 일고찰" 한국교육학회 43 (43): 137-161, 2005

      56 천 성림, "산업화가 유교체제하 중국 여성의 지위에 미친 영향" 집문당 2005

      57 김 대용, "사림파의 교육개혁과 그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15세기 후반과 16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17 : 1997

      58 김 승혜, "부부유별’의 해석학적 역사와 현대적 전망" 4 : 1998

      59 목영해, "배려윤리와 유교윤리의 공통점과 그 함의" 한국도덕교육학회 14 (14): 3-70, 2002

      60 김 영식, "물질운동변화 등에 관한 주희의 견해" 1 : 1991

      61 유권종, "동양철학 다시 읽기: 조선 성리학의 예 교육 심성 모델 개발" 예문동양사상연구원 8 (8): 244-257, 2003

      62 박승우, "동아시아 지역주의 담론과 오리엔탈리즘" 동아연구소 54 (54): 7-47, 2008

      63 이 승환, "도통:유학의 참 정신을 잇는 계보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64 박 상철, "도덕교육이론으로서의 朱熹의 中和論" 41 (41): 2003

      65 이 차영,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교육 원리:균형" 38 (38): 2000

      66 정덕희,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인간형성이론" 한국교육학회 42 (42): 1-27, 2004

      67 노숙영, "국제이해교육의 철학적 기초: 오행사상(五行思想)과 오상(五常)의 적합성" 한국교육학회 42 (42): 1-20, 2004

      68 목 영해, "구성주의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몇 가지 고찰" 36 (36): 1998

      69 하 상규, "공자 교육 사상의 개념적 이해" 문음사 1999

      70 김 용헌, "격물치지:사물의 이치를 따져 보는 공부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71 노 숙영, "儀禮經傳通解」 <學禮>를 중심으로 본 주자의 교육" 40 (40): 2002

      72 신동은, "『小學』의 교육적 원리 연구" 교육철학회 31 (31): 45-70, 2004

      73 이 은선, "「대학」과 「중용」 사상의 현대 교육철학적 해석과 그 의의" 39 (39): 2001

      74 설 한, "‘아시아적 가치’ 논쟁:보편성과 특수성" 5 : 2000

      75 황금중, "‘마음교육론’의 학문적 성격과 전망" 한국교육학회 42 (42): 1-33, 2004

      76 김태년, "16世紀 朝鮮 性理學者 들의 陽明學 批判 硏究"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yonsang-gwa-Insi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93 1.235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