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鄭夢周의 諡號 '文忠'에 대하여 = A study of Munchung that is Jeong mong-ju's posthumous epith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9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정몽주의 시호 문충의 의미와 위상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호는 죽은 사람에 대해 국가적으로 평가하는 의미에서 제정되었다. 제정시기는 중국 周나라 때부터로 보는데 우리...

      본고는 정몽주의 시호 문충의 의미와 위상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호는 죽은 사람에 대해 국가적으로 평가하는 의미에서 제정되었다. 제정시기는 중국 周나라 때부터로 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세종이 1438년에 '周公諡法'과 이를 바탕으로 朱喜가 편찬한 『儀禮經傳通解』 그리고 『文獻通考』 등을 바탕으로 301개 시주의 『諡法』을 처음으로 간행한 것으로 본다. 본고에서는 이 『시법』의 서문이 『세종실록』에 있음을 찾아내었다. 아울러 1668년에 편찬된 이선 『諡法通編』을 분석하였다.
      이 책에 실려 있는 '文'과 '忠'의 諡註의 내용을 살핀 결과 각각 12개, 7개이며, 조선의 시법은 역사적으로 태조대는 왕에 의해 좌우되었으나 성종대는 정해진 법식을 따랐고, 중종이후에는 사대부들의 요청에 의해 좌우되어 자신들이 선호하는 諡字를 마음대로 쓰는 지경에 이르렀으며, 당시에 가장 존중되는 시자가 '文'과 '忠'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시주의 위상과 관련하여 '충'의 경우는 예를 찾지 못하였으나 '문'의 경우는 '도덕이 있고 견문이 넓음(道德博聞)', '배움을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學勤好問)', '자비롭고 백성을 아낌(慈惠愛民)' 순으로 격이 다르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음을 밝혔다.
      정몽주는 고려의 충신이요 조선의 건국에 반대한 인물이었으나 태종은 권근의 요청에 따라 충절의 상징으로 정몽주를 현창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내리게 되는데 이후 조준, 권근, 하윤에게도 같은 시호를 내리는 바 이 중에 하윤의 시주가 '도덕박문'과 '몸이 위태로워져도 윗사람을 받듬(危身捧上)'이었던 것으로 보아 정몽주의 시주도 그와 같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meaning and status of 'Munchung' that is Jeong mong-ju's posthumous epithet. A posthumous epithet was established in a sense of a national estimation of a dead. As we supposed that it was established since Zhou Dynasty...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meaning and status of 'Munchung' that is Jeong mong-ju's posthumous epithet. A posthumous epithet was established in a sense of a national estimation of a dead. As we supposed that it was established since Zhou Dynasty, Sejong the Great established first Article 301 for a posthumous epithet based on <Zu Gong Sibub (周公諡法)>, 『Ui Rye GyeongjeonTonghae (Ritual scriptures Tonghae 儀禮經傳通解)』 that Chu-hsi's Li Ideology compiled based on it, and 『Mun Heon Tong go(Literature notification 文獻通考) 』. This paper found that there was the preface of it on 『the Annals of Sejong the Grea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Sibub Tongpyeon (諡法通編)』 that Lee sun published in 1668.
      This article studied the contents in the explanation of a posthumous epithet of 'Mun (writing)' and 'Chung (fidelity) on it, and found 12 and 7 respective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Article of a posthumous epithet was controled by a King historically in King Tae Jo period, but it complied with settled regal in King Seong Jong period, it went to the length of suiting themselves a letter of a posthumous epithet which they preferred because it was controlled by the nobleman's request since king Jung Jong period, so then this article defined that the most respected letters were 'Mun' and 'Chung'.
      In the case of 'Chung' related with the status of the explanation of a posthumous epithet, we have not found the example of it, but we found that they tended to think 'Mun' has different level, which it has in order of moral and well-informed (Dodeok bakmun道德博聞), their lessons with diligence and a liking for asking (Hakgeun homun學勤好問) and mercy and cherishing people (Jahye aemin 慈惠愛民).
      Jeong mong-ju was a person who was a faithful subject of Goryeo Dynasty and opposed the establishment of Joseon Dynasty, however, Tae Jong presented him as a symbol of loyalty and gave a posthumous name as 'Munchung', after, Jo jun, Gwon geun and Ha yun were given the same posthumous name, as seeing the Ha yun's posthumous name of them was 'moral and well-informed (Dodeok bakmun道德博聞)' and 'to respect the elders in critical condition(Wigan bongsang危身捧上)', we could suppose that Jung mong-ju's posthumous name may be the same as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3. '문'과 '충'의 시주
      • 4. 정몽주의 증시과정과 당대적 위상
      • 5. 결론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3. '문'과 '충'의 시주
      • 4. 정몽주의 증시과정과 당대적 위상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麗季名賢集" 동국문화사 1042-,

      2 정조, "홍재전서" 고전번역원

      3 "태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4 "태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5 "중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6 김종직, "점필재집" 고전번역원

      7 "연산군일기" 국사편찬위원회

      8 "세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9 "기묘록보유, In 대동야승 3권" 민족문화추진회 1967

      10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증시(贈諡)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23 : 59-94, 2003

      1 "麗季名賢集" 동국문화사 1042-,

      2 정조, "홍재전서" 고전번역원

      3 "태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4 "태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5 "중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6 김종직, "점필재집" 고전번역원

      7 "연산군일기" 국사편찬위원회

      8 "세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9 "기묘록보유, In 대동야승 3권" 민족문화추진회 1967

      10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증시(贈諡)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23 : 59-94, 2003

      11 정몽주, "고려사 117권, 열전30"

      12 이현일, "갈암집" 고전번역원

      13 정문부, "農圃集" 고전번역원

      14 李選, "諡法通編"

      15 이민홍, "諡法" 문자향 2006

      16 이선, "芝湖集" 고전번역원

      17 王圻, "續文獻通考"

      18 심언광, "漁村集" 고전번역원

      19 하윤, "浩亭先生文集" 고전번역원

      20 "明臣諡考"

      21 "文獻通考"

      22 박순, "思菴先生文集" 고전번역원

      23 司馬遷, "史記三家註" 洪氏出版社 1974

      24 "儀禮經傳通解"

      25 김상용, "仙源先生年譜" 고전번역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