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 : 조선체육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632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 한국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1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Sporting modernity in Korea : through Korean sports association

      • 형태사항

        iv, 19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영한
        참고문헌 : p. 177-19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through observing the activities of Korean Sports Association (hereafter KSA) to find the ‘sporting modernity’ in Korea, meanwhile, it defines the modernity as a process in which sports association may have intertwined with individual and nation. The time span of this paper is from 1920 to 1960, and in this period, Korea undergo colonial to liberation and division.
      The KSA was found in 1920 and merged into Japanese made sports institute in 1938. With the liberation Korean sports association was reestablished and it plays important role till today in 2017. In sports, both the oppressed objective and oppress objective are apt to play together. The purpose for organizing KSA is through doing sports activities to change Korean people to acquire competitiveness, discipline and equality.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ereafter GGK) stands for or tolerates the Koreans organize the sports association and activities, because they thought through playing sports Korean people could internalize the discipline and this may easy for control and govern them.
      The GGK want to obtain the manpower and soldier through the activities of KSA, however, with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the GGK abolished KSA in 1938. Compare with this, the Korean elite want to use KSA to transform the Korean nation into a modernized or westernized body, and through this demonstrate Korean as a nation and prepare the ability of the independence. In colonial time, to participate international games, like Olympics, Koreans have to join the Japanese team. The Korean athletes, who participate the 1932 and 1936, said they were aware of the “double responsibility” that represents both Korean and Japanese.
      Although both the Koreans and GGK wants to spread the sports, their purpose and interest are different. From 1932, the GGK want to recapture and control the sports activities in Chosun, so the Korean tried to resist this movement center on KSA. Unfortunately, the unifying movement failed and the KSA was merged by Japanese made sports institute in 1938. In a certain degree, the endeavor to change the Korean people and reveal the nation was failed.
      With the liberation, the experience of the colonial period was used again. The sports man rebuilds the sports association and organizes sports game. In this sports game the national flag floating above the square to reveal the liberation and break off from the colonial past. After liberation, the sports which held by KSA were also used for propagation of newly established country to the world. The triumph of Korean athletes in Boston was a good example of showing the liberation to the world and give hopes to the Korean people.
      At the same time, the sports continuously uses as making disciplined people after liberation. When Korea liberated, it divided into two parts and have war each other. Because of this the two Korea use sports as a tool to build up its people physically and mentally. Till 1960, the sports demonstrate more continuity than discontinuity in controlling and disciplining the people.
      Through research the KSA,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lso can be found. With the help of the experience of Lee Sang-baek, who was actively participated in Olympic movement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outh Korea could join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ereafter IOC) in 1947 and appeared in London Olympic Games to represent the Korea. For this and some other reason, the North Korea could not join the IOC until 1957. Lee Sang-baek was one case that Korean people could use sports to change personal status and use the experience of sports that obtained in the colonial time when libration.
      One feature of sports is it effect in body, so it may be very personal and meanwhile very national. Sports may be an individual problem and national problem. The individual may remold personal life by sports and the nation could reveal its progress and made its national identity in sports. KSA served as the link between person and nation to transform into modern society. Through the activity of KSA we can find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efore liberation Korean people use sports to compete with colonial power Japan, but with the liberatio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so the KSA was contend with Japan and also with North Korea.
      Sports also have the feature of internationalization, so the first North-South talk after armistice was held in sports. In 2018, the Pyengchang winter Olympic will held in South Korea and it is a new opportunity for reducing the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port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transform the people and the country.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is through observing the activities of Korean Sports Association (hereafter KSA) to find the ‘sporting modernity’ in Korea, meanwhile, it defines the modernity as a process in which sports association may have intertwined with in...

      This dissertation is through observing the activities of Korean Sports Association (hereafter KSA) to find the ‘sporting modernity’ in Korea, meanwhile, it defines the modernity as a process in which sports association may have intertwined with individual and nation. The time span of this paper is from 1920 to 1960, and in this period, Korea undergo colonial to liberation and division.
      The KSA was found in 1920 and merged into Japanese made sports institute in 1938. With the liberation Korean sports association was reestablished and it plays important role till today in 2017. In sports, both the oppressed objective and oppress objective are apt to play together. The purpose for organizing KSA is through doing sports activities to change Korean people to acquire competitiveness, discipline and equality.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ereafter GGK) stands for or tolerates the Koreans organize the sports association and activities, because they thought through playing sports Korean people could internalize the discipline and this may easy for control and govern them.
      The GGK want to obtain the manpower and soldier through the activities of KSA, however, with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the GGK abolished KSA in 1938. Compare with this, the Korean elite want to use KSA to transform the Korean nation into a modernized or westernized body, and through this demonstrate Korean as a nation and prepare the ability of the independence. In colonial time, to participate international games, like Olympics, Koreans have to join the Japanese team. The Korean athletes, who participate the 1932 and 1936, said they were aware of the “double responsibility” that represents both Korean and Japanese.
      Although both the Koreans and GGK wants to spread the sports, their purpose and interest are different. From 1932, the GGK want to recapture and control the sports activities in Chosun, so the Korean tried to resist this movement center on KSA. Unfortunately, the unifying movement failed and the KSA was merged by Japanese made sports institute in 1938. In a certain degree, the endeavor to change the Korean people and reveal the nation was failed.
      With the liberation, the experience of the colonial period was used again. The sports man rebuilds the sports association and organizes sports game. In this sports game the national flag floating above the square to reveal the liberation and break off from the colonial past. After liberation, the sports which held by KSA were also used for propagation of newly established country to the world. The triumph of Korean athletes in Boston was a good example of showing the liberation to the world and give hopes to the Korean people.
      At the same time, the sports continuously uses as making disciplined people after liberation. When Korea liberated, it divided into two parts and have war each other. Because of this the two Korea use sports as a tool to build up its people physically and mentally. Till 1960, the sports demonstrate more continuity than discontinuity in controlling and disciplining the people.
      Through research the KSA,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lso can be found. With the help of the experience of Lee Sang-baek, who was actively participated in Olympic movement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outh Korea could join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ereafter IOC) in 1947 and appeared in London Olympic Games to represent the Korea. For this and some other reason, the North Korea could not join the IOC until 1957. Lee Sang-baek was one case that Korean people could use sports to change personal status and use the experience of sports that obtained in the colonial time when libration.
      One feature of sports is it effect in body, so it may be very personal and meanwhile very national. Sports may be an individual problem and national problem. The individual may remold personal life by sports and the nation could reveal its progress and made its national identity in sports. KSA served as the link between person and nation to transform into modern society. Through the activity of KSA we can find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efore liberation Korean people use sports to compete with colonial power Japan, but with the liberatio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so the KSA was contend with Japan and also with North Korea.
      Sports also have the feature of internationalization, so the first North-South talk after armistice was held in sports. In 2018, the Pyengchang winter Olympic will held in South Korea and it is a new opportunity for reducing the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port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transform the people and the coun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체육회를 통해 본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이다.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는 식민지, 해방과 분단을 거치면서 만들어 졌다. 근대성 문제를 스포츠를 통해서 보면 개인과 국가의 관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개인도 스포츠를 통해 개조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하고 국가도 스포츠를 통해 국가의 구성원을 훈육하여 노동력으로, 병사로, 국민으로 만들려 한다. 스포츠는 개인과 국가의 모습을 함께 복합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기존의 한국스포츠연구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새로운 논의도 있었다. 먼저 처음으로 조선체육회와 대한체육회의 해방 이전과 이후까지의 단절과 연속을 다룬 논문이다. 다음 조선체육회 설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장덕수에 대하여 처음으로 스포츠에서 논의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찾아낸 “2중의 정체성”은 기존 논문에서는 말하지 않았던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 민족주의적으로 주로 연구되었기에 당시 조선인들의 2중의 정체성을 갖고 국제대외에 참가했던 점은 논의되지 않고 있었다. 더불어 조선체육회와 조선체육협회가 스포츠에서 경쟁하고 나아가 식민지 당국의 조선스포츠계의 통제에 맞선 조선인들의 스포츠통일운동도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다.
      해방 이후 분단과 6.25전쟁으로 인하여 스포츠에서 남한의 교련과 북한의 체육이 일제 말기 군사주의 스포츠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 것 역시도 기존 스포츠학계의 논의에서는 강조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또 해방 이후 남과 북이 스포츠를 통해 체제의 대외적 확인을 하고 대내적으로 자신들의 해방과 통치를 공고히 하였다는 점도 이야기 했다. 조선체육회와 대한체육회에 참여한 여러 인물들 중에서 여운형과 이상백, 장덕수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비교적 성공적으로 개조되고 국제화된 조선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식민지 상황에서의 좌절과 해방 이후 스포츠 활동의 모습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조선체육회가 식민지 상황에서 스포츠를 보급하기 위한 노력과 해방 이후 대한체육회가 스포츠에서, 특히 국제대회와 전국체육대회를 중요시하여 한반도의 많은 사람들에게 스포츠를 보급하고 전파하려 했던 노력도 설명하였다.
      이 논문은 1960년까지를 논의 하면서 해방 이전의 스포츠적 근대와 해방 이후의 스포츠적 근대의 연속성은 많이 다루었지만 차이점을 크게 다루지 못한 부족한 점이 있다. 해방 이전 스포츠에서는 민족과 국가의 분리가 중요한 논의의 배경이었지만 해방 이후에는 국가의 분단과 해방으로 반일의 스포츠에서 반공의 스포츠로 전환이 되었다는 큰 틀에서만 논의하였다. 또 군사정변과 민주화, 세계화 이후의 한국스포츠의 여러 모습과 그 변화를 모두 다루지 못하였지만 이것은 기회가 된다면 금후 연구의 주제로 하여 계속하여 연구를 확대하고 넓혀가겠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조선체육회를 통해 본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이다.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는 식민지, 해방과 분단을 거치면서 만들어 졌다. 근대성 문제를 스포츠를 통해서 보면 개인과 국가의 관...

      이 논문은 조선체육회를 통해 본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이다. 한국의 스포츠적 근대는 식민지, 해방과 분단을 거치면서 만들어 졌다. 근대성 문제를 스포츠를 통해서 보면 개인과 국가의 관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개인도 스포츠를 통해 개조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하고 국가도 스포츠를 통해 국가의 구성원을 훈육하여 노동력으로, 병사로, 국민으로 만들려 한다. 스포츠는 개인과 국가의 모습을 함께 복합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기존의 한국스포츠연구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새로운 논의도 있었다. 먼저 처음으로 조선체육회와 대한체육회의 해방 이전과 이후까지의 단절과 연속을 다룬 논문이다. 다음 조선체육회 설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장덕수에 대하여 처음으로 스포츠에서 논의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찾아낸 “2중의 정체성”은 기존 논문에서는 말하지 않았던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 민족주의적으로 주로 연구되었기에 당시 조선인들의 2중의 정체성을 갖고 국제대외에 참가했던 점은 논의되지 않고 있었다. 더불어 조선체육회와 조선체육협회가 스포츠에서 경쟁하고 나아가 식민지 당국의 조선스포츠계의 통제에 맞선 조선인들의 스포츠통일운동도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다.
      해방 이후 분단과 6.25전쟁으로 인하여 스포츠에서 남한의 교련과 북한의 체육이 일제 말기 군사주의 스포츠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는 것 역시도 기존 스포츠학계의 논의에서는 강조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또 해방 이후 남과 북이 스포츠를 통해 체제의 대외적 확인을 하고 대내적으로 자신들의 해방과 통치를 공고히 하였다는 점도 이야기 했다. 조선체육회와 대한체육회에 참여한 여러 인물들 중에서 여운형과 이상백, 장덕수의 스포츠 활동을 통해 비교적 성공적으로 개조되고 국제화된 조선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식민지 상황에서의 좌절과 해방 이후 스포츠 활동의 모습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조선체육회가 식민지 상황에서 스포츠를 보급하기 위한 노력과 해방 이후 대한체육회가 스포츠에서, 특히 국제대회와 전국체육대회를 중요시하여 한반도의 많은 사람들에게 스포츠를 보급하고 전파하려 했던 노력도 설명하였다.
      이 논문은 1960년까지를 논의 하면서 해방 이전의 스포츠적 근대와 해방 이후의 스포츠적 근대의 연속성은 많이 다루었지만 차이점을 크게 다루지 못한 부족한 점이 있다. 해방 이전 스포츠에서는 민족과 국가의 분리가 중요한 논의의 배경이었지만 해방 이후에는 국가의 분단과 해방으로 반일의 스포츠에서 반공의 스포츠로 전환이 되었다는 큰 틀에서만 논의하였다. 또 군사정변과 민주화, 세계화 이후의 한국스포츠의 여러 모습과 그 변화를 모두 다루지 못하였지만 이것은 기회가 된다면 금후 연구의 주제로 하여 계속하여 연구를 확대하고 넓혀가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2 선행연구 5
      • 1.2.1 한국 스포츠 역사의 연구 경향과 특징 5
      • 1.2.2 해방 전후 스포츠 관련된 단체와 인물에 대한 연구 11
      • 1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2 선행연구 5
      • 1.2.1 한국 스포츠 역사의 연구 경향과 특징 5
      • 1.2.2 해방 전후 스포츠 관련된 단체와 인물에 대한 연구 11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7
      • 1.3.1 연구 범위 17
      • 1.3.2 연구방법 18
      • 2장. 근대 스포츠 개념의 한반도 유입 22
      • 2.1 스포츠 개념과 한반도에서의 스포츠 이해 22
      • 2.1.1 스포츠의 개념의 변천 23
      • 2.1.2 한반도에서의 스포츠에 대한 이해 27
      • 2.2 도입 초기 근대 스포츠와 개인, 국가의 관계 36
      • 2.2.1 스포츠를 통한 근대적 개인 만들기 36
      • 2.2.2 도입 초기의 스포츠를 통한 부국강병 39
      • 2.3 스포츠와 관련된 여러 단체들 43
      • 2.3.1 스포츠 도입 초기 단체의 결성 43
      • 2.3.2 조선체육회와 여러 스포츠 단체의 개략 47
      • 3장. 스포츠와 근대적 개인의 구성 50
      • 3.1 사회진화론에 기반한 개조의 시대: 조선체육회 창립의 사회적 배경 50
      • 3.1.1 개조의 배경이념은 사회진화론 50
      • 3.1.2 1920년대는 개조의 시기 53
      • 3.2 조선체육회의 탄생과 스포츠를 통한 조선인의 개조 58
      • 3.2.1 조선체육회의 창립 58
      • 3.2.2 조선체육회의 활동과 스포츠맨십의 함양 65
      • 3.2.3 여운형과 이상백의 사례를 통해 본 개인의 개조 73
      • 3.3 일제의 스포츠 정책과 조선인들의 개조의 좌절 81
      • 3.3.1 식민당국의 스포츠 목적은 순종하는 개인 만들기 82
      • 3.3.2 조선인들의 스포츠를 통한 개조의 좌절 86
      • 4장. 식민당국의 스포츠와 조선체육회를 중심으로 한 민족의 스포츠 92
      • 4.1 일본 총독부의 스포츠: 충량한 신민의 육성 92
      • 4.1.1 식민지 일꾼 만들기를 위한 문화통치기의 스포츠 93
      • 4.1.2 체위향상을 위한 중일전쟁 직후의 스포츠 96
      • 4.1.3 병사 만들기를 위한 일제말기의 스포츠 100
      • 4.2 식민지 조선인의 스포츠: 민족 정체성의 구성 104
      • 4.2.1 조선체육회의 조선체육협회에 대한 경쟁의식 105
      • 4.2.2 일본대표 조선인이라는 이중의 책임 109
      • 4.3 조선체육회의 스포츠계 통일을 위한 노력과 좌절 116
      • 4.3.1 총독부의 통제령과 조선체육계의 통일을 위한 노력 118
      • 4.3.2 조선인들의 조선체육회가 총독부 당국의 조선체육협회로의 병합 125
      • 5장. 민족의 스포츠에서 국가의 스포츠로 129
      • 5.1 해방 이후 스포츠를 통한 국가 정체성 만들기 129
      • 5.1.1 스포츠대회를 통한 국가 정체성의 대내적 확인 130
      • 5.1.2 국제대회를 통한 국가 정체성의 대외적 확인 135
      • 5.2 국가에 포섭된 해방 이후의 스포츠: 북한과의 대립과 반일 140
      • 5.2.1 분단 이후 스포츠에서의 남북 대립 140
      • 5.2.2 해방 이후 스포츠에서의 반일 147
      • 5.3 국가적이면서 세계적인 올림픽대회의 참가 150
      • 5.3.1 국제올림픽 무대에서의 남북의 대립과 대화 150
      • 5.3.2 이상백의 올림픽활동을 통해 본 개인과 국가의 틈새 154
      • 6. 결론 161
      • 참고문헌 169
      • Abstract 18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우식, "여운형 노트", 학민사, 학민사, 1994

      2 유길준, "『서유견문』", 경인문화사, 1969

      3 신현규, "체육 vs 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체육철학회지』, vol. 14, 2006

      4 이기형, "『몽양 여운형』", 실천문학사, 2000

      5 이경남, "『설산 장덕수』", 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 1982

      6 조쟁규, 하남길, "『세계 체육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도처출판청학, 2000

      7 차하순, "『역사의 의미』", 홍성사, 홍익사, 1981

      8 임번장, "스포츠사회학개론", 레인보우북스, 레인보우북스, 2010

      9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비, 창작과 비평사, 2006

      10 이학래, "「한국체육사연구」",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2003

      1 안우식, "여운형 노트", 학민사, 학민사, 1994

      2 유길준, "『서유견문』", 경인문화사, 1969

      3 신현규, "체육 vs 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체육철학회지』, vol. 14, 2006

      4 이기형, "『몽양 여운형』", 실천문학사, 2000

      5 이경남, "『설산 장덕수』", 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 1982

      6 조쟁규, 하남길, "『세계 체육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도처출판청학, 2000

      7 차하순, "『역사의 의미』", 홍성사, 홍익사, 1981

      8 임번장, "스포츠사회학개론", 레인보우북스, 레인보우북스, 2010

      9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비, 창작과 비평사, 2006

      10 이학래, "「한국체육사연구」",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2003

      11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아르케, 2004

      12 안병직, "『한국경제성장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3 이학래, "『한국체육백년사』", 한국학술정보, 2001

      14 이상백평전출판위원회, "『상백 이상백평전』",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1996

      15 김광희, "『체육행정 2, 여명』", 국민체육진흥공단, 2001

      16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 90년사』",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 2010

      17 고은하, "「문화연구와 스포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학술대회, 2010

      18 박정석, "「크리켓과 민족주의」", 『인도지역동향』, vol.3, 2003

      19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1』", 한길사, 한길사, 1989

      20 김은영, "「이상백의 체육활동(2)」", 한국체육철학회(구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2013

      21 주옥순, "「인도의 식민지 근대성」", 역사학회, 『역사학보』, vol.203, 2009

      22 이보나, "「일제 강점기 여성체육」",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0(3), 2016

      23 안민석, 정혹익, 임현진, "『새로운 스포츠 사회학』", 백산서당, 백산서당, 2002

      24 정희준, "『스포츠 코리아 판타지』", 개마고원, 2009

      25 강준호 ( Joon Ho Kang ), "스포츠산업의 개념과 분류", 체육과학연구원, 『체육과학연구』, vol.16(3), 2005

      26 정영열(Young-Ryuel Chung), 김흥태(Heung-Tae Kim), "경평전의 사적 고찰과 의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2), 2014

      27 유종호, "『나의 해방 전후, 1940-1949』", 민음사, 민음사, 2004

      28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현암사, 2004

      29 김낙년, "「’식민지 근대화’ 재론」", 경제사학회, 『경제사학』, vol.43, 2007

      30 안지영, "「근면한 ‘민족’의 탄생」", 『한국현대문학연구』, vol.50, 2016

      31 조준호, "「한용단의 체육사적 고찰」", 『체육사학회지』, vol.16(3), 2011

      32 김동식, "「민족개조와 감정의 진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vol.29, 2013

      33 김정효, "「미셀 푸코의 신체관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7(4), 2008

      34 정진성, "「식민지 공업화와 그 유산」",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1995

      35 서울 YMCA, "『서울 YMCA 체육운동 백년사』", 서울 YMCA, 2009

      36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1

      37 조준호, "「광복이전 인천체육 변천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3(1), 2008

      38 손환, 최성진, "「여운형의 체육활동과 사상」",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6, 2011

      39 손환, "「유억겸의 생애와 체육사상」",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체육연구』, vol.16, 2002

      40 이성규, "「이상백의 스포츠사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1 김재우, 이학래, "「황국신민체조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39(1), 2000

      42 윤해동,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 시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85, 2015

      43 권욱동, "『스포츠와 몸의 철학적 이해』", 이회문화사, 이화문화사, 2004

      44 임석원, 조문기, "지암 서윤복의 생애와 체육활동",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8, 2009

      45 장영우, "「민족개조에서 창씨개명으로」", 계간 서정시학, 『서정시학』, vol.20(4), 2010

      46 김성일, 주동진, 김진형, "「손기정의 스포츠내셔널리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 vol.52, 2012

      47 구재진, "「「해방전후」의 기억과 망각」",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 vol.17, 2006

      48 김동규, 주동진, "「몽양 여운형의 체육문화활동」",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3, 2004

      49 김달우, "「체육사 연구에서의 시대구분」", 師範大學 體育硏究所,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논집7(1)』, 1986

      50 윤해동, "「한국민족주의의 근대성 비판」",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No.4, 2000

      51 김성수, 엄정식, "「월남 이상재의 체육사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2, 2003

      52 나영일, 노희덕, "「체육사학 분야의 성장과 과제」",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 1996

      53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책세상, 2000

      54 한국체육기자연맹, "『일장기 말소의거 기자 이길용』", 경한문화사, 1993

      55 남기웅, "1929년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6 배재윤, "「기획된 문화, 만들어진 스포츠」",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3(6), 2013

      57 박주한, "「체육철학: 스포츠의 개념 연구」", 한국체육철학회(구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회지』, vol.20(4), 2012

      58 김봉섭, "『한국 근대 스포츠의 전개 양상』",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9 장석만, "『한국 근대성 연구의 길을 묻다』", 돌베개, 돌베개, 2006

      60 박원용, "「소련의 1952년 하계 올림픽 참가」", 『서양사론』, vol.127, 2015

      61 김재우, 안진규, "「체육행정가로서의 몽양 여운형」", 『체육사회학지』, vol21(3), 2016

      62 박귀순 ( Cindy Park ), "한국의 체육사 연구의 동향 및 과제",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9(4), 2014

      63 정준영, "「근대 민족국가의 형성과 스포츠」",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84, 2009

      64 여인성, "「근대 스포츠의 특성과 계몽운동」", 한국체육학회, 전국체육대회기념, 1993

      65 정근식, "「맛의 제국, 광고, 식민지적 유산」",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66, 2004

      66 최성진, "「몽양 여운형의 생애와 체육활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7 임석원, 조문기, "「방영두의 유도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회지』, vol.45(1), 2011

      68 홍성보, "「북한 ‘선군체육’의 기원 연구」",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4, 2011

      69 노진생, 이철원, "「일제시대 체육정책에 관한 연구」", 公州大學校 스포츠科學硏究所,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vol.10, 1996

      70 손환, "「피하 이길용의 생애와 체육사상」", ; 『체육사학회지』, vol.17, 2006

      71 심승구, "「한국 근대스포츠와 여가의 탄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총』, vol.34, 2010

      72 조준호 ( Jun Ho Cho ), "광복 후 "인천체육협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21(1), 2016

      73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책세상, 2003

      74 김현숙 ( Hyun Sook Kim ), ""개항기 ""체육"" 담론의 수용과 특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ol.27, 2014

      75 김재우, 손환, "「한국의 야구 도입설에 관한 여구」", 『한국체육학회지』, vol.42(5), 2003

      76 이준호,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민관식의 삶」",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7 김지영,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표상」", 『정신문화연구』, vol.34(3), 2011

      78 진윤수, "「YMCA가 한국 근대 체육에 미친 영향」",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체육과학연구지』, vol.12(1), 1994

      79 김현숙, "「대한제국기 운동회의 기능과 표상」",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동아시아문화연구』, vol.48, 2010

      80 곽형기, 이현정, "「마라토너 손기정의 체육사적 의미」",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2009

      81 권학준, "「제국일본의 국가전략에 대한 일괄」", 『일본어학』, vol28, 2005

      82 이형민, "「한국스포츠의 현대화에 관한 고찰」",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83 김동선, 김미숙, "나치정권의 유대인스포츠에 대한 통제",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6(2), 2011

      84 박상민, "「YMCA가 한국의 근대체육에 미친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5 유선영, "「근대적 대중의 형성ㄱ 문화의 전환」", 『언론과 사회』, vol.17(1), 2009

      86 조문기(Cho, Moon-Gi), "광복전후 체조과의 변용과 교과서 편찬",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회지』, vol.65, 2016

      87 김진균, 정근식, "편저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88 장익란, "「대한체육회의 변천과정과 발전과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89 나영일, 이종원, "「최근 한국 체육사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 44(6), 2005

      90 나일영, 이종원, "「한일 체육사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체육사학회지』, vol.4, 1999

      91 조준호 ( Jun Ho Cho ), ""광복이전 ""인천체육협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20(3), 2015

      92 채백,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 사건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vol.39, 2007

      93 정우수, "『한국축구의 개척자 김화집의 생애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4 구창모 ( Chang Mo Koo ), 이수연 ( Soo Yeon Lee ), "국내외 스포츠사회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4), 2014

      95 김동선, 이학래, "「북한의 스포츠 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32(1), 1993

      96 유성연, "「월북 체육인 장권의 체육활동과 사상」",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56(2), 2017

      97 김경학, "「탈 식민시기 크리켓과 인도 민족주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남아시아연구』, vol.15(3), 2010

      98 김상웅, "『몽양 여운형 평전-진보적 민족주의자』", 채륜, 2015

      99 박상석, 손환, "「구한말 운동회 개최 실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vol.52(3), 2013

      100 권욱동, 이학준, "「체육철학: 식민지 체육의 한계와 대안」", 한국체육철학회(구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회지』, vol.14(1), 2006

      101 함충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뉴스>」",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과학』, vol.54, 2014

      102 손환, "「대한흥학회의 스포츠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41(5), 2002

      103 임석원, 조문기, "「미군정기 국민보건체조의 제정과 보급」",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51(1), 2012

      104 류시현, "「한말, 일제시대 최남선의 문명, 문화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vol.143, 2008

      105 손환, 이상우, "「남승룡의 생애와 체육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vol46, 2007

      106 엄적식, 전매희, "「선교사들이 근대 체육활동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39(3), 2000

      107 임석원, 조문기, "「이경석의 생애와 유도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7(1), 2009

      108 손환, "「조선체육회의 설립과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7, 2008

      109 정준영, "「현대 스포츠의 특성과 수용자의 자발성」",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사회』, vol.15(2), 2002

      110 권오선, "「도산 안창호 선생의 생애와 그 체육사상」",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體育學硏究會, 『체육학회지』, vol.3, 1977

      111 권학준, "「전후국민체육대회의 국민통합과 정치성」", 한국일본어문학회,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2

      112 정근식, "「일제하 보통학교에서의 학교규율의 형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6

      113 윤해동, "「’식민지 인식의 회색지대’를 위한 변증」", 『역사와 현실』, No.66, 2007

      114 홍지석, "「두 개의 근대-문학수(1916-1988)의 해방 전후」", 『인물미술사학』, Issue8, 2012

      115 정소영, "「문화통치기 동아일보에 나타난 국사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6 손환, "「손기정의 생애와 스포츠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3, 2004

      117 손환, "「일제하 조선체육협회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2, 2003

      118 조현철, "『남북스포츠교류의 전개에 관한 사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19 장규식, "「1920-30년대 YMCA학생운동의 전개와 일상활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2007

      120 이기훈, "「1920년대 사회주의 이념의 전개와 청년담론」",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vol.13, 2004

      121 이가람, "「”The Independet”에 나타난 스포츠기사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55(3), 2016

      122 황형준, "「상백 이상백이 한국 농구발전에 미친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3 이정식, "『여운형: 시대와 사상을 초월한 융화주의자』",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124 윤해동, "「한국에서의 식민지 연구와 ‘탈식민주의’」",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인문논총』, vol.59, 2003

      125 손준종, "근대교육에서 국가의 몸 관리와 통제 양식 연구",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vol.16(1), 2010

      126 김신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지배정책과 동화정책", 동국사학회, 『동국사학』, vol.60, 2016

      127 윤해동, "「뉴라이트 운동과 역사인식-‘비판적 역사’」", 『민족문화논촌』, vol.51, 2012

      128 황형준, "「상백 이상백이 한국농구발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9 김용수, 박기동, "「스포츠인류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 한국체육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3), 2011

      130 김미양, "「일제말기 체육정책과 항일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 1995

      131 손환, "「조선체육진흥회의 설립과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4(2), 2005

      132 이승규, "『근대 신체문화 형성과 일제강점기 학교체육』",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33 최선웅, "『장덕수의 사회적 자유주의 사상과 정치활동』",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4 김재우, "「광복 전 한국 YMCA의 스포츠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2(1), 2007

      135 김정효, "「스포츠 민족주의의 근대적 기원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49(5), 2010

      136 유성연, 이병규, "「한국 농구의 태두 정상윤의 체육활동과 사상」",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52, 2013

      137 심재욱, "『설산 장덕수(1894-1947)의 정치활동과 국가인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38 이상우, "마라토너 남승룡의 생애와 체육활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9 김순전, 사희영, "「1940년대 ‘황군’양성을 위한 <일본어>교과서」", 한국일본어문학회,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

      140 정준영, "「스포츠공화국의 귀환-1987년 6월항쟁과 스포츠」",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No.78, 2007

      141 정근식, "「식민지 위생경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유산」",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90, 2011

      142 류시현, "「해방 후 최남선의 활동과 그에 관한 ‘기억’」", 고려사학회, 『한국사학보』, vol.27, 2007

      143 손환, 최종균, "문곡 서상천의 한국 근대스포츠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38, 1999

      144 이계형, "1904∼1910년 대한제국 관비 일본유학생의 성격 변화",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31, 2008

      145 안민석, "「스포츠의 사회학적 연구-문화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6

      146 윤해동, "「식민지근대와 공공성-변용하는 공공성의 지평」", 『사이』, vol.8, 2012

      147 조준호, "「여운형과 체육인들의 건국치안대에 관한 연구」", 『체육사회학지』, vol21(3), 2016

      148 손준종(Son Joon-Jong), "「근대일본에서 학생 몸에 대한 국가관리와 통제」",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vol.14(3), 2004

      149 안지영, "「북한 영화에 나타난 스포츠 내셔널리즘과 젠더」",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 vol.62, 2015

      150 이태진, "「손기정, 마라톤으로 대한독립을 세계에 알리다」", 일조각, 『한국사시민강좌』, vol.50, 2012

      151 장영우, "「이광수의 진화론적 사상과 일제말 문화의 특질」", 『한국문예창작』, vol.11(2), 2012

      152 한태준, 황옥철, "「미국 체육 스포츠의 민족주의 성격에 관한 고찰」", 『경상대학교논문집』, vol.qnr18(2), 1997

      153 김달우, 오정석, "해방후 학교체육의 이념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1), 1996

      154 백승국, "「1930년대 국내 문화운동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55 유성연, "「사회진화론이 동아시아 체육사상사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54(1), 2015

      156 손환, "「일제강점기 조선체육연구회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50, 2011

      157 정삼현, "「일제무단통치하 한국체육의 탄압상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附設스포츠科學硏究所,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1992

      158 박성진, "「1920년대 전반기 사회진화론의 변형과 민족개조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17, 1997

      159 손환, 정승삼, "「상백 이상백의 한국근대스포츠 형성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 40, 2001

      160 손천택, 윤현수, "「세계화와 양립하는 스포츠 민족주의 순기능 탐색」",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50(3), 2011

      161 최여미, "「일제강점기 체육인 서상천에 관한 심성사적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62 이정학, "스포츠에 내포된 이데올로기와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44(5), 2005

      163 강덕상, 김광열, "옮김 『여운형 평전: 중국 일본에서 펼친 독립운동』", 역사비평사, 2007

      164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0, 2009

      165 하정희, "스포츠영웅 손기정의 체육활동에 관한 역사적 재조 명",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66 김동규, 주동진, "「이길용 체육문화 활동의 스포츠내셔널리즘적 의의」",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4, 2006

      167 이병한, "“냉전기 중국과 아시아(1) -가네포(GANEFO)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vol.78, 2012

      168 부기원, 유근직, "「한국 근대체육사 연구의 ‘역사인식에 대한 검토’」", 江原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강원대학교부설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vol.18, 1994

      169 이가람 ( Ka Ram Lee ), "극동선수권대회가 한국 근대스포츠의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20(3), 2015

      170 윤덕영, "「1930년대 『동아일보』 계열의 정세인식 변화와 배경」",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No.108, 2012

      171 함예재, "「총동원체제 일본의 국민체력동원과 메이지신궁대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72 박세훈, "「동원된 근대:일제시기 경성을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13, 2004

      173 정근식, "「식민지 전시체제 하에서의 검열과 선전, 그리고 동원」", 상허학회, 『상허학보』, vol.38, 2013

      174 유성연, "「번역된 체육용어의 조선유입과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52(4), 2013

      175 윤해동, "「식민지 말기 촌락에서 ‘총동원체제’구축(1937-1945년)」", 『민족문화논총』, vol.33, 2006

      176 김영웅, 이종원, 나영일, "「한ㆍ중ㆍ일 3국의 스포츠사 연구경향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42(4)』, 2003

      177 김무진, 정희준, "민족주의의 진화: 스포츠, 그리고 상업적 민족주의 의 탄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스포츠학회회지』, vol.24(4), 2011

      178 정종현, "『제국의 기억과 전유-1940년대 한국문학의 연속과 비연속』", 어문학사, 어문학사, 2012

      179 권순용, 김방출, "스포츠 민족주의 재인식 : 전지구화, 스포츠, 기업 민족주의", 체육과학연구원, 『체육과학연구』, vol.18(1), 2007

      180 김미숙, "「일제하 관서체육회의 활동이 근대체육발달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81 이원규, "「스포츠는 어디로 치닫고 있는가-스포츠는 대체 종교인가」", 『기독교 사상』, vol.46(6), 2002

      182 임석원, 조문기, "「일제강점기 경파 한진희의 유도활동과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8(1), 2012

      183 손환, "「광복이전 재일 한국인 유학생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39(3), 2000

      184 이학래, "「일제말기의 한국체육사연구-군국주의적 성격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15, 1989

      185 손환, "「재일본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No.13, 2004

      186 권욱동, "「한양순과 생애: 여성스포츠, 올림픽운동 및 사회체육운동」", 한국체육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회지』, vol.10(2), 2002

      187 김소연, "『탈식민주의 담론으로 본 해방 전후 한국 건축가의 정체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88 정근식, "「검열에서 선전으로: 일제하 조선에서의 베트남담론의 추이」",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80, 2008

      189 손환, "「구한말 재일 한국인 유학생단체의 스포츠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4, 1999

      190 이종원, "「근대이후 한국체육의 내셔널리즘적 연구 경향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vol.41(3), 2002

      191 김미숙, "「북한의 스포츠이념과 남북 스포츠교류의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2(2), 2004

      192 유근직, "「식민지 체조교육과 한국인의 신체형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38(2), 1999

      193 윤해동, "「정치주체개념의 분리와 통합-박명규, 박찬승의 개념사연구」", 『개념과 소통』, vol.6, 2010

      194 변성호, "「스포츠를 통한 인정투쟁-일제 식민지 시기 축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5 강진영, "「탈식민 국가형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통합적 시각의 모색」",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vol46(4), 2012

      196 이병진, 황의룡, "「일제강점기 “대일본국민체조”의 보급과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55(4)』, 2016

      197 차혜영, "「청년의 기억, 청춘의 이미지, 1930년대 일본체험 회고담 연구2」", 국제비교한국학회, 『비교한국학』, vol.20(3), 2012

      198 은희녕, "「해방 전후 안호성의 국가지상주의와 ‘민주적 민족교육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9 염운옥, "「고전 다시 읽기: 찰스 다윈 ‘종의 기원’과 ‘인간의 유래’」", 『서양사론』, vol.101, 2009

      200 임석원, 조문기, "「미군정기 조선체조연맹의 체육교육 정상화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회지』, vol.53(2), 2014

      201 한왕택, "「우리나라 개화기에 있어서 ‘체육’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vol.38(1), 1999

      202 강진웅, "「1950-60년대 국가형성기 북한의 생명정치와 사회주의 주체 형성」", 『사회와 역사』, vol.98, 2013

      203 김명권, "「일본 언론매체의 손기정 마라톤 우승 보도에 나타난 민족주의」", 한국체육사학회, 『체육사학회지』, vol.18(1), 2013

      204 강이수, 정근식, 김진균, "「한국에서의 ‘근대적 주체’의 형성: 식민지체제와 학교 규율」", 『경제와 사회』, No.32, 1996

      205 천정환, "『조선사나이거든 풋뽈을 차라: 스포츠 민족주의와 식민지 근대』", 푸른역사, 2010

      206 공제원, "「분단이후 남북체육교류의 변천과정: 남북체육회담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7 나일영, 이종원, "「한일 체육사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양국의 학회지를 중심으로」", 『체육사학회지4(1)』, 1999

      208 김재우, 손환, "「대조선인 일본유학생 친목회의 결성과 스포츠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3(5), 2004

      209 한긍희, "「친일단체 해설: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과 국민총력 조선연맹」",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 vol.10, 1996

      210 윤해동, "「자서전의 시대(유종호의 『나의 해방전후: 1940-1949』, 민음사 2004」", 『창작과 비평』, vol.32(4), 2004

      211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의 인식론적 전환과 3.1운도」", 『대동문화연구』, vol.66, 2009

      212 남상우, "「푸코의 권력이론과 스포츠: 규율권력과 생체권력, 통치성의 이해」",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3), 2009

      213 김주리, "「스포츠, 운동회, 문명인-근대 담론으로서의 신체담론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03

      214 천정환, "『끝나지 않는 신드롬-친일과 반일을 넘어선 식민지 시대 다시 읽기』", 푸른역사, 2005

      215 조형근,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서 식민지성/식민지적 차이와 변이의 문제”",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73, 2007

      216 류시현, "「한말 일제 초 한반도에 관한 지리적 인식: ‘반도’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vol.137, 2007

      217 이경돈, "「1920년대초 민족의식의 전환기 미디어의 역할-개벽과 동명을 중심으로」", 『사림』, vol.23, 2005

      218 장인수, "「제국의 절취된 공공성-베를린올림픽 행사 “시”와 일장기 말소 사건」", 『반교어문연구』, vol.40, 2015

      219 박영호, 하남길, "「근대 영국스포츠교육의 목적-도덕주의적인 해석과 제국주의적인 해석」", 한국체육교육학회,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7(4), 2003

      220 김명권, "「근, 현대 한국체육의 산실, 경성, 서울 동대문운동장 사라지다(1925- 2008)」", 한국스포츠인류학회 학술대회, vol.8, 2009

      221 화용득, "「한국 스포츠 발달의 이데올로기: 유교주의, 제국주의, 민족주의, 1876- 1945」", 경상대학교,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2 윤여택, "「YMCA체육활동이 우리나라 체육에 미친 영향: 서울 YMCA체육사업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23 류시현, "「출판물을 통한 신문학의 수용과 ‘근대’의 전파-최남선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6, 2006

      224 이태훈, "「한말 일본유학생들의 자기인식과 계몽논리: 1900년대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vol.45, 2013

      225 강보미,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주최 전 조선빙상경기대회의 역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6 신주백, "「체육교육의 군사화와 강제된 건강-체육교육의 군사화 경향과 실종을 중심으로」",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문화과학사, 2006

      227 박성제, 이제욱,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체육사 연구의 시대별 지식구조 분석」", 『체육사학회지』 vol. 22(2), 2017

      228 홍윤포, "「해방공간 체육잡지 “체육문화”에 대하여, 민족체육 체질 강화를 위한 잰 발걸음」", 『근대서지』, No.3, null

      229 오태영, "「연속/단절의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정종현의 「기억과 전유」에 대한 몇 가지 물음」", 『사이』, vol.15, 2013

      230 이성수,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학교체육 연구 ‘교원신문’학교체육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vol.19(3), 2016

      231 조형근, "「비판과굴절, 전화 속의 한국 식민지근대성론: 구조, 주체, 경험의 삼각구도를 중심으로」", 역사학회, 『역사학보』, vol.203, 2009

      232 박명규, 김백영, "“식민지배와 헤게모니 경쟁:조선총독부와 미국 개신교 선교세 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vol.82, 2009

      233 유철, "『일제강점기 황국신민 교화를 위한 ‘신체’론: 국어독본, 체조, 창가, 전시가요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34 최강민, "「1920년대 민족 우파와 민족 좌파가 표출한 조선의 민족성-이광수, 최남선, 안재홍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vol.10, 2011

      235 양현혜, "「’황민화’시기 개신교 실력양성론의 논리구조: 수용동우회와 흥업구락부 세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vol.50, 2008

      236 윤덕영, "「1920년대 전반 민족주의 세력의 민족운동 방향 모색과 그 성격-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No.98, 2010

      237 박해남, "「제국과 식민지간 재현 경쟁의 장, 스포츠: 조선신궁체육대회오 메이지신궁체육대회를 중심으로」", 『한림일본학』, vol.26, 2015

      238 윤덕영, "「1920년대 중반 민족주의 세력의 정세인식과 합법적 정치운동의 전망: 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3, 2010

      239 고희탁, 천자현, "「근대 한국의 사회진화론 도입, 변용에 보이는 정치적 인식구조- 국가적 독립과 문명개화의 사이에서」",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vol.18(3), 2011

      240 허진석, "『한국 스포츠-체육 정책사적 주요 인물의 역할 고찰-제3공화국 시대 민관식의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41 윤상길, "「상상된 아시아의 화합축제, 극동올림픽-올림픽 과련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vol.47, 2013

      242 한영혜, "「이상백과 근대체육-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자아실현과 민족아이덴티티: 일본에서의 체육활동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한림일본학』,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