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통육아의 실제를 아동의 발달순서인 태교기(台敎期), 보양기(保養期), 교양기(敎養期)로 분류하여 살펴으로써 한국의 통육아의 실제를 밝보고 자 하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17227
2018
-
370
KCI등재
학술저널
59-85(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통육아의 실제를 아동의 발달순서인 태교기(台敎期), 보양기(保養期), 교양기(敎養期)로 분류하여 살펴으로써 한국의 통육아의 실제를 밝보고 자 하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통육아의 실제를 아동의 발달순서인 태교기(台敎期), 보양기(保養期), 교양기(敎養期)로 분류하여 살펴으로써 한국의 통육아의 실제를 밝보고 자 하다. 먼 태교기 육아는 ‘태교로 천지기운을 하다’, ‘아비는 친성(親性)으로 태교하다’, ‘어미는 심신(心身)으로 태교하다’, ‘주변의 선(積善)으로 태교하다’, ‘나랏법으로 태교를 지원 하다’의 다섯 가지 내용으로 범주화되었다. 보양기 육아는 ‘용(中庸)의 의미로 보양하다’, ‘보양이 곧 성품(性稟)으로 해지다’, ‘(禮)와 악()을 보양에 목하다’, ‘공생(共生)의 이치 로 보양하다’, ‘인심(人心)과 천심(天心)으로 보양하다’의 내용으로 정리되었다. 교양기의 육아 는 ‘본(本)을 보여 교양하다’, ‘인간의 도리(道理)를 교양하다’, ‘놀이로 지각(知覺)을 교양하다’, ‘습을 교양으로 형성하다’, ‘명한 주변인을 통해 교양하다’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 시 왕실의 육아 실제를 살펴으로써 한국인의 육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에 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The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was analyzed with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The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was analyzed with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the definition of development based on Yoo An-jin(1984) and Yook Soo-hwa(2008). In this study, three categories of child-rearing were selected based on the age division of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which were respectively named an antenatal training period(before birth), a health-care period(from birth, to weaning) and a culture-education training period(from after weaning, to before school entrance). In the case of the Chosun royal family, it can be seen that child-rearing is not simply an education to teach child, but parents and society recognize it as preparation and assistanc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ses by analyzing the realization of childcare of the royal family in the Chosun Dynas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낙찬, "한국의 전통교육" 정각당 2000
2 장재천, "한국 전통태교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한국사상문화학회 (49) : 203-222, 2009
3 임재해, "한국 전통육아, 왜 잊혀졌는가?" 한남대학교 성지관 11-48, 2012
4 유안진, "한국 전통 사회의 유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5 문미옥,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35-154, 2004
6 이목희, "파파쿼터- 이목희 논설위원"
7 최삼섭, "태교신기" 성보사 1991
8 이석규, "조선초기 왕세자 교육에 나타난 인성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47-64, 2002
9 백혜리, "조선중기 양아록(養兒錄)을 통해 본 아동 인식" 22 (22): 205-218, 2001
10 석은조, "조선조 왕실의 생활과 관련한 왕세자 양육에 대한 고찰" 12 (12): 35-57, 2003
1 정낙찬, "한국의 전통교육" 정각당 2000
2 장재천, "한국 전통태교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한국사상문화학회 (49) : 203-222, 2009
3 임재해, "한국 전통육아, 왜 잊혀졌는가?" 한남대학교 성지관 11-48, 2012
4 유안진, "한국 전통 사회의 유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5 문미옥,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35-154, 2004
6 이목희, "파파쿼터- 이목희 논설위원"
7 최삼섭, "태교신기" 성보사 1991
8 이석규, "조선초기 왕세자 교육에 나타난 인성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47-64, 2002
9 백혜리, "조선중기 양아록(養兒錄)을 통해 본 아동 인식" 22 (22): 205-218, 2001
10 석은조, "조선조 왕실의 생활과 관련한 왕세자 양육에 대한 고찰" 12 (12): 35-57, 2003
11 김신연, "조선왕조의 궁중 출산 풍속 연구" 5 : 103-120, 1998
1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3 이상각, "조선왕조실록" 들녘 2009
14 주영하, "조선왕실의 출산 풍속: 아들기원에서 돌잔치까지, 조선왕실의 출산문화" 이회문화사 2005
15 조기제, "조선에서의 유교적 아동관과 아동도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 359-388, 2011
16 백혜리, "조선시대의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연구" 1 (1): 47-63, 1997
17 김은주,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전통육아의 함의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1-24, 2015
18 최기영,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한국아동학회 23 (23): 105-119, 2002
19 백옥경, "조선시대 출산에 대한 인식과 실제" 이화사학연구소 (34) : 193-220, 2007
20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2008
21 김정호, "조선시대 왕세자 교육에는 왕도가 있었을까; 좋은 옷, 좋은 음식보다 예절이 먼저" 모아진 114-117, 2010
22 이원호, "조선시대 교육의 연구" 문음사 2002
23 박종배, "조선시대 교육의 과정 및 실제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사학회 28 (28): 63-94, 2006
24 송인자, "조선시대 가족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학회 40 (40): 4-87, 2002
25 이용길, "조선시대 書堂의 敎材에 대한 고찰" 22 : 79-96, 2003
26 신명호, "조선 왕실의 자녀교육법" (주)시공사 2005
27 김영옥, "조선 시대 아동 양육 방법에 관한 문헌적 탐구" 4 (4): 5-25, 2000
28 김병희, "전통태교의 현대 교육적 함의-『태교신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41) : 69-92, 2010
29 김혜경, "일제하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0 Sharon Lerner., "육아전쟁"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
31 Dr. Spock., "육아전서" 정음문화사 1986
32 한국교육방송사, "오래된 미래, 전통육아의 비밀" 라이온북스 2012
33 강현식,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살림 2008
34 박명대, "소학" 일신서적 1994
35 김찬웅, "선비의 육아일기를 읽다" (주)문학동네 2008
36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10
37 김지하, "새로운 삶의 길 : 개벽과 생명운동" 천도교중앙총부 1992
38 김종권, "내훈" 명문당 1986
39 지봉환,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58) : 353-396, 2011
조선시대 양반가의 한글교육의 양상 - ‘진주하씨묘 출토 언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 ![]() |
2022-06-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4-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5 | 0.89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