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三國史記』의 의미에 대한 문체론적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70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부식의 『삼국사기』 저술은 문체 변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문체 변혁 은 단순한 문장의 개혁이 아니다. 그것은 불교와 도교에 의해 침윤된 이전 세계와 의 단절, 다시 말해 문명의 흐름을 일대 전환하는 의미를 갖는 사건이었다. 김부식의 문체 변혁을 통한 문명 전환의 기획은 송나라 개국주체들이 새로 쓴 당나라 역사서인 『신당서』를 모델로 삼은 것이다. 『삼국사기』는 『신당서』를 찬술 한 송나라 개국주체들이 표출하였던 문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당시 고려 사회에 이월하여 만들어 낸 역사서였다.
      번역하기

      김부식의 『삼국사기』 저술은 문체 변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문체 변혁 은 단순한 문장의 개혁이 아니다. 그것은 불교와 도교에 의해 침윤된 이전 세계와 의 단절, 다시 말해 문명의 ...

      김부식의 『삼국사기』 저술은 문체 변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문체 변혁 은 단순한 문장의 개혁이 아니다. 그것은 불교와 도교에 의해 침윤된 이전 세계와 의 단절, 다시 말해 문명의 흐름을 일대 전환하는 의미를 갖는 사건이었다. 김부식의 문체 변혁을 통한 문명 전환의 기획은 송나라 개국주체들이 새로 쓴 당나라 역사서인 『신당서』를 모델로 삼은 것이다. 『삼국사기』는 『신당서』를 찬술 한 송나라 개국주체들이 표출하였던 문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당시 고려 사회에 이월하여 만들어 낸 역사서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Busik's writing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an be said to be an event of stylistic change. At this time, stylistic change is not a simple reform of literature. It was an event that marked a break with the previous world invaded by Buddhism and Taoism, in other words, a major change in the flow of civilization. Kim Busik's plan to transform civilization through stylistic change was modeled after the Tang Dynasty history book, Sintangseo, newly written by the founders of the Song Dynasty. Samguksagi was a history book created by transferring the critical awareness of writing style expressed by the founders of the Song Dynasty who wrote Sindangseo to the Goryeo society at the time.
      번역하기

      Kim Busik's writing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an be said to be an event of stylistic change. At this time, stylistic change is not a simple reform of literature. It was an event that marked a break with the previous world invaded ...

      Kim Busik's writing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an be said to be an event of stylistic change. At this time, stylistic change is not a simple reform of literature. It was an event that marked a break with the previous world invaded by Buddhism and Taoism, in other words, a major change in the flow of civilization. Kim Busik's plan to transform civilization through stylistic change was modeled after the Tang Dynasty history book, Sintangseo, newly written by the founders of the Song Dynasty. Samguksagi was a history book created by transferring the critical awareness of writing style expressed by the founders of the Song Dynasty who wrote Sindangseo to the Goryeo society at th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의식
      • 2. 문체 변혁의 사건으로서의 『삼국사기』
      • 3. 『신당서』와 『삼국사기』의 문체 의식
      • 4. 김부식의 시대와 『삼국사기』
      • 5. 맺음말
      • 1. 문제의식
      • 2. 문체 변혁의 사건으로서의 『삼국사기』
      • 3. 『신당서』와 『삼국사기』의 문체 의식
      • 4. 김부식의 시대와 『삼국사기』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