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95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focus of the study is in how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affe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focus of the study is in how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affect the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Participants were 430 students (203 male and 227 female 5th and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Ulsan-city.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was measured by the revised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scale(Lee, 2000) and ego-resiliency was measured by the ego-resiliency scale(Park, 1997). Subjective happiness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s of the Seligman's scale(Seligman, 2004/2006).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verall, students whose both parents ha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contrast, students whose both parents had imperative verbal control style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of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revealed that high ego-resiliency students experienced high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울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203명, 여학생 227명, 총 430명이며 사용된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이종헌(2000)의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박은희(1997)의 질문지, 주관적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해 Seligman(2004/200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0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른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 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의 5가지 요인 중 대부분의 요인에서 부-모가 인성적-인성적 유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자아탄력성을 나타냈고, 5가지 모든 요인에서 명령적-명령적 통제유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가장 낮은 자아탄력성을 보여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이 주관적 행복감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소인 활력성과 낙관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이 인성적-인성적일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가장 높고 명령적-명령적일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가장 낮았다. 특히, 주관적 행복감의 경우 어머니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에 관계없이 어머니가 명령적 언어통제를 사용하는 가정의 아동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동들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 또한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가 아동에게 역할재량권을 많이 부여하는 인성적 언어통제를 주로 사용하여 아동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그 결과에 책임지는 경험을 자주 할수록, 아동은 수많은 변화와 문제 상황 속에서도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높은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자녀에게 명령적 언어통제를 주로 사용하여 수동적인 삶을 살아온 아동은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자아탄력성을 갖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주관적 행복감이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5
      • 1) 부모의 언어적 환경의 중요성 5
      • 2) 언어통제유형의 개념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5
      • 1) 부모의 언어적 환경의 중요성 5
      • 2) 언어통제유형의 개념 6
      • 3)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 10
      • 3. 자아탄력성 12
      •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2
      • 2)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 13
      • 4. 주관적 행복감 14
      • 1) 주관적 행복감의 개념 14
      • 2) 주관적 행복감의 구성요인 16
      • 5.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16
      • 1)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16
      • 2)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18
      • 3)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19
      • 6. 연구 문제 및 가설 21
      •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22
      • 1. 연구 대상 22
      • 2. 측정 도구 23
      • 3. 연구 절차 27
      • 4. 자료 분석 28
      • Ⅲ. 연구 결과 28
      • 1. 척도의 요인별 신뢰도 및 상관 28
      • 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31
      • 3.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34
      • 4.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36
      • Ⅳ. 논의 38
      • 참고문헌 43
      • Abstract 49
      • 부록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